목차
Ⅰ. 머리말
Ⅱ. 파생어의 구분
2.1 파생어
2.1.1 접두 파생어
2.1.2 접미 파생어
Ⅲ. 맺음말
<참고문헌>
Ⅱ. 파생어의 구분
2.1 파생어
2.1.1 접두 파생어
2.1.2 접미 파생어
Ⅲ.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처럼 [(접사+단어)+단어], [(단어+어간)+접사]의 형성법도 있다. 일반적으로 파생어는 어근과 접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개 어근은 실질형태소이고 접사는 형식형태소이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착하다’의 ‘착’과 ‘개구장이’의 ‘개구’는 그 정체를 알 수 없으므로 어근이 반드시 실질형태소여야 한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이다.
여기서는 단어의 짜임과 형성 원리를 바탕으로 근대국어의 파생어에 대한 조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1997. 국립국어연구원. 근대국어 형태
한다.
Ⅱ. 파생어의 구분
2.1 파생어
파생어에는 접두 파생어와 접미 파생어가 있다. 접두 파생어는 어근의 앞에 접사 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파생어이고, 접미 파생어는 어근 뒤에 접사가 결합하여 이 루어진 파생어이다.
2.1.1 접두 파생어
접두사 중 명사 앞에 놓이는 것은 관형사와 비슷한 성질을 가지며, 용언 앞에 놓 이는 것은 부사와 비슷한 성질을 가지는 면이 있다. 여기에 대해 이익섭채완
(1999)은 접두사는 관형사와 달리 자립성이 없어서, 독자적으로 문장 성분이 될 수 없고, 또한 그 분포에 있어서도 관형사나 부사는 그 뒤에 놓이는 단어에 큰 제약을 받지 않음에 반해 접두사는 큰 제약을 받는다고 한다.
국어의 파생접두사는 단어의 품사를 바꾸지 못하고 그 의미만 바꾸는 구실을 한 다. 그만큼 그 하는 일이 접미사보다 단조롭고 그 종류도 적다.
먼저 고유어 접두사에 의한 예를 보면 (1)과 같다.
(1) a. 맨 - 맨이름 암 - 암꽃게 쫄 - 쫄바지 되 - 되흘러들다 덧 -덧바르다
b. 통 -통북어 c. 개 - 개폼 잔 - 잔체크 찰 - 찰고무
d. 햇 - 햇양파
e. 헛 - 헛이름, 헛공약, 헛소망 맞 - 맞카드, 맞트레이드
접두사와 체언의 결합
접두사와 체언이 결합하는 경우를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먼저 동물의 명칭을 만드는 데에 사용되는 접두사들이 있는데
‘갈-/-과 ’표-‘ 등이 이에 속한다.
이들 접두사가 쓰인 예는 다음과 같다.
(1) 虎 갈범 (물명 1:10b), / 가마괴(동의 1:38a)
(1)과 관련하여 ‘갈가미괴, 갈거미, 갈고등어, 갈가자미, 갈돔, 갈쥐치
등 현대국어 동물의 명칭에도 접두사 ‘갈’의 쓰임이 나타나는데 공통된
특징을 찾기 어려워 ‘갈’의 의미를 하나로 결정할 수가 없다.
2) 식물의 명칭을 만드는 데에만 사용되는 접두사들에는 ‘곰, 돌-, 들-/
‘착하다’의 ‘착’과 ‘개구장이’의 ‘개구’는 그 정체를 알 수 없으므로 어근이 반드시 실질형태소여야 한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이다.
여기서는 단어의 짜임과 형성 원리를 바탕으로 근대국어의 파생어에 대한 조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1997. 국립국어연구원. 근대국어 형태
한다.
Ⅱ. 파생어의 구분
2.1 파생어
파생어에는 접두 파생어와 접미 파생어가 있다. 접두 파생어는 어근의 앞에 접사 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파생어이고, 접미 파생어는 어근 뒤에 접사가 결합하여 이 루어진 파생어이다.
2.1.1 접두 파생어
접두사 중 명사 앞에 놓이는 것은 관형사와 비슷한 성질을 가지며, 용언 앞에 놓 이는 것은 부사와 비슷한 성질을 가지는 면이 있다. 여기에 대해 이익섭채완
(1999)은 접두사는 관형사와 달리 자립성이 없어서, 독자적으로 문장 성분이 될 수 없고, 또한 그 분포에 있어서도 관형사나 부사는 그 뒤에 놓이는 단어에 큰 제약을 받지 않음에 반해 접두사는 큰 제약을 받는다고 한다.
국어의 파생접두사는 단어의 품사를 바꾸지 못하고 그 의미만 바꾸는 구실을 한 다. 그만큼 그 하는 일이 접미사보다 단조롭고 그 종류도 적다.
먼저 고유어 접두사에 의한 예를 보면 (1)과 같다.
(1) a. 맨 - 맨이름 암 - 암꽃게 쫄 - 쫄바지 되 - 되흘러들다 덧 -덧바르다
b. 통 -통북어 c. 개 - 개폼 잔 - 잔체크 찰 - 찰고무
d. 햇 - 햇양파
e. 헛 - 헛이름, 헛공약, 헛소망 맞 - 맞카드, 맞트레이드
접두사와 체언의 결합
접두사와 체언이 결합하는 경우를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먼저 동물의 명칭을 만드는 데에 사용되는 접두사들이 있는데
‘갈-/-과 ’표-‘ 등이 이에 속한다.
이들 접두사가 쓰인 예는 다음과 같다.
(1) 虎 갈범 (물명 1:10b), / 가마괴(동의 1:38a)
(1)과 관련하여 ‘갈가미괴, 갈거미, 갈고등어, 갈가자미, 갈돔, 갈쥐치
등 현대국어 동물의 명칭에도 접두사 ‘갈’의 쓰임이 나타나는데 공통된
특징을 찾기 어려워 ‘갈’의 의미를 하나로 결정할 수가 없다.
2) 식물의 명칭을 만드는 데에만 사용되는 접두사들에는 ‘곰, 돌-, 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