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투자의 교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남아투자의 교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기업소개

2. 해외진출

3. 당면과제

4. 전략제시

5.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스리랑카 선정이유

1.문화적 동질성 – 불교국가
2. 영어 통용국 - 영국식민지로 인해 영어 사용가능
3. 적극적인 스리랑카 정부의 해외투자유치
4. 스리랑카 정부의 유연한 행정업무
: 투자진흥청의 한 부서에서 수입허가부터 통관까지의 모든 업무 처리
단독투자 결정 : 합작투자시 합작 파트너와의 의사소통문제와 그에 따른 결별 가능성
수출자유공단 외 공장 입지
1.현지 법인 명의로 투자자가토지 소유가능(현지법에 의건 현지인과 동등한 대우)
2.이를 통한 은행대출가능
현지 인력관리
1.현지인을 관리인으로 임명
2. 현지 생산인력과의 좋은 관계(情)유지로 생산성 향상
3. 계급화되어 있는 문화적 특성 반영

전략 – 투자 우선대상국 선정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프린트에 언급된 국가는 이미 본 회사가 1차 공장기지 설립 시 배제된 국가임
그.래.서.
베트남, 캄보디아, 폴란드 고려
베트남 : 많은 한국 기업들이 진출, 정보수집이 용이
값싼 노동력과 젊은 인구
캄보디아 : 불교 권 국가, 저렴한 임금
역사적으로 섬유업 강점
폴란드 : 동유럽 국가로 유럽 진출 시 유리
상대적으로 임금이 저렴
투자형태 결정
합작투자
장점
- 지분 중 현지인이 51%를 차지하게 되면 법인명의로 토지구입소유가 가능하며 이 경우 현지인에게 명의를  빌리고 서류상만 지분을 인정하는 형태로 합작법인을 설립가능
- 현지인이 건물을 투자하고 외국투자가가 기계설비와 운영비 및 노하우를 투자함으로써 시너지 창출이 가능
단점
-  외국인 투자가가 믿을 만한 신의 있는 캄보디아인을 빠른 시일에 만나는 것 어려움
-  캄보디아에 투자한 후 생산제품을 제3국 등지에 수출에 전념하게 될 경우 현지인 파트너의 기여도는 크게 기대 못함
단독투자장점
-  법인세 인하, 수입, 관세 면제 등 투자 인센티브를 받을 수 없는 분야가 따로 규정돼 있으나 섬유산업의 경우 해당사항이 없으므로 인센티브 혜택      
단독투자 단점
-  현행 캄보디아의 헌법이나 관련 법상
외국인의 토지 소유가 금지
-  현지 사람들이 캄보디아 실정을 모르는 외국투자가에게 여러 가지로 괴롭힌다거나 바가지를 당할 가능성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8.11.28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972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