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시의 갈래
1. 내용상 분류
2. 형식상 분류
3. 목적상 분류
4. 태도상 분류
Ⅱ. 시기별 시의 주제 (1) - 개화기의 시가
1. 시대개관
2. 개화가사
3. 창가
4. 신체시
Ⅲ. 시기별 시의 주제 (2) - 1910년대 ~ 광복 이전의 시
1. 시대개관
2. 1910년대 ⇒ 자유시의 등장
3. 1920년대 ⇒ ① 퇴폐적 낭만주의와 상징주의 시
② 경향파 시
③ 민족주의적 경향의 식
4. 1930년대 ⇒ ① 순수서정시
② 모더니즘 시
③ 생명의식의 탐구의 시
5. 1940년대 ⇒ ① 청록파 시
② 저항시
③ 광복의 기쁨과 역사의식을 노래한 시
Ⅳ. 시기별 시의 주제 (3) - 광복 이후의 시
1. 시대개관
2. 전후문학
3. 현실 참여의 시
4. 순수시의 옹호
5. 소외된 이웃을 위한 시
1. 내용상 분류
2. 형식상 분류
3. 목적상 분류
4. 태도상 분류
Ⅱ. 시기별 시의 주제 (1) - 개화기의 시가
1. 시대개관
2. 개화가사
3. 창가
4. 신체시
Ⅲ. 시기별 시의 주제 (2) - 1910년대 ~ 광복 이전의 시
1. 시대개관
2. 1910년대 ⇒ 자유시의 등장
3. 1920년대 ⇒ ① 퇴폐적 낭만주의와 상징주의 시
② 경향파 시
③ 민족주의적 경향의 식
4. 1930년대 ⇒ ① 순수서정시
② 모더니즘 시
③ 생명의식의 탐구의 시
5. 1940년대 ⇒ ① 청록파 시
② 저항시
③ 광복의 기쁨과 역사의식을 노래한 시
Ⅳ. 시기별 시의 주제 (3) - 광복 이후의 시
1. 시대개관
2. 전후문학
3. 현실 참여의 시
4. 순수시의 옹호
5. 소외된 이웃을 위한 시
본문내용
개화기의 시가
1. 시대개관
2. 개화가사
3. 창가
4. 신체시
Ⅲ. 시기별 시의 주제 (2) - 1910년대 ~ 광복 이전의 시
1. 시대개관
2. 1910년대 ⇒ 자유시의 등장
3. 1920년대 ⇒ ① 퇴폐적 낭만주의와 상징주의 시
② 경향파 시
③ 민족주의적 경향의 식
4. 1930년대 ⇒ ① 순수서정시
② 모더니즘 시
③ 생명의식의 탐구의 시
5. 1940년대 ⇒ ① 청록파 시
② 저항시
③ 광복의 기쁨과 역사의식을 노래한 시
Ⅳ. 시기별 시의 주제 (3) - 광복 이후의 시
1. 시대개관
2. 전후문학
3. 현실 참여의 시
4. 순수시의 옹호
5. 소외된 이웃을 위한 시
Ⅰ. 시의 갈래
1. 내용상 분류
서정시 - 개인적인 정서를 압축하여 표현하는 형식이다.
서사시 - 민족적인 사건이나 신화, 전설, 민담 등을 소재로 하여 줄거리를 가진 이야기를 길게 서술한 시를 말한다. 김동환의 ‘국경의 밤’이 이에 해당한다.
극시 - 극의 중심이 되는 등장인물의 대사를 시적인 형식으로 구성한 것을 말한다. 고대 그리 스의 극에서 셰익스피어의 연극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창작되었다.
2. 형식상 분류
정형시 - 운율을 형성하는 요소가 일정한 규칙성을 지니고 있는 시를 가리킨다. 시조(時調)가 이에 해당한다.
자유시 - 정형적인 운율을 벗어나 내재율을 지니고 있는 시를 가리킨다.
산문시 - 자유시처럼 행을 구분하지 않고 산문처럼 줄글로 붙여서 쓴 시를 가리킨다.
3. 목적상 분류
순수시 - 예술성을 중시하는 시로, 개인적 정서를 주로 드러낸다.
목적시 - 역사와 현실적 문제를 다루는 시로, 시를 목적 전달의 수단으로 삼는다.
4. 태도상 분류
주정시 - 인간적인 감정이나 정서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시를 가리킨다.
주의시 - 강렬한 주관적 의지와 정신세계 표현에 중점을 두고 전개되는 시를 가리킨다.
주지시 - 인간의 감정보다는 지적인 측면을 중시하여 관념, 의식 등을 드러내며 전개되는 시를
가리킨다.
Ⅱ. 시기별 시의 주제 (1) - 개화기의 시가
1. 시대개관
이 시기는 우리나라가 서구 문물의 영향을 받아 종래의 봉건적인 사회 질서를 타파하고 근대적 사회로 개혁되어 가던 시대를 일컫는다. 개화기는 서구 열강의 침략에 맞서는 한편 조선 시대의 봉건 질서를 해체하고 새로운 민족 국가를 설계하고자 모색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는 갑오개혁(1894)을 계기로 조선 왕조의 자주 독립선언, 신분 제도의 철폐, 국한문혼용 등과 같이 정치, 사회 제도를 근대적으로 개혁함으로써 근대 국가로의 틀과 기초를 다지게 된다. 또 근대적인 각급 학교가 설립되고 ‘한성순보’, ‘독립신문’과 같은 신문이 발행되는 등 근대적인 체재와 기구가 정비되었다.
2. 개화가사
(1) 개념
전통적인 가사 형식에 개화기의 새로운 사상을 담아 표현한 시가 형식을 말한다. 외세의 침략에 대한 비판, 자주 독립의식의 고취, 사회현실의 풍자 등이 중심 내용을 이룬다.
(2) 작품
「동심가」(이중원)
잠을 깨세, 잠을 깨세, 사천 년이 꿈 쇽이라. 만국이 會同(회동)하야 四海(사해)가 一家(일가)로다.
區區細節(구구세졀) 다 바리고 샹하 同心(동심) 同德(동덕)하셰. 남으 부강 불어 하고 근본 업시 回賓(회빈)하랴. 「동심가」일부
* 출전 : 독립신문* 연대 : 1896년* 작자 : 이중원* 종류 : 개화가사* 성격 : 교훈적, 계몽적* 제재 : 동심결(同心結), 개화사상* 주제 : 문명개화를 위한 일치단결
⇒1876년의 개항과 1884년의 갑신정변에서 비롯된 근대적 개화의 물결은 1894년의 갑오개혁으로 이어졌으며, 동학 농민 운동은 이러한 근대화의 과정을 더욱 재촉하게 되었다. 이 시기는 우리의 근세사에서 가장 격동의 시기였으므로, 외세와 외국 문물이 급격하게 유입되었고, 그런 만큼 민족의 각성과 저항도 강하게 요구되었던 시기였다.이 노래는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우리도 잠을 깨어 문명개화를 실천하여 보자고 역설하고 있다. 시대적 흐름을 직시하고 주체성을 견지할 것을 주장하면서 우리의 현실에 대한 반성과 그 극복의 방법까지 제시하고 있다.
「애국하는 노래」(이필균)
아셰아에 대죠션이 쥬 독립 분명다.
(합가) 야에야 국셰 나라 위 죽어 보셰.
분골고 쇄신토록 츙군고 국셰.
(합가) 우리 정부 놉혀 주고 우리 군면 도와 주셰.
깁흔 잠을 어셔 여 부국 강병(富國强兵) 진보셰.
(합가) 의 쳔 밧게 되니 후회 막급 업시셰.
합심고 일심되야 셔셰 동졈(西勢東漸) 막아 보셰.
(합가) 롱공샹(士農工商) 진력야 사마다 유셰. 「애국하는 노래」일부
* 저자 : 리필균(생몰연대 미상)
* 별칭 : 애국가
* 연대 : 1896년
* 갈래 : 개화 가사(4. 4조)
* 성격 : 계몽적, 교훈적, 설득적, 교술적, 목적 문학적 애국가사
* 어조 : 설득적이고 계몽적인 남자의 목소리
* 표현 : 청유형과 열거법이 쓰이고, 직설적으로 표현, 반복법도 사용됨.
* 사상 : 개화, 계몽사상
* 율격 : 외형률, 음수율, 4·4조의 4음보
* 제재 : 애국하는 방법
* 주제 : 개화하여 애국하자, 개화 계몽을 통한 애국
⇒개화기 애국 계몽 문학은 민중을 계몽하고 사회적 각성을 촉구하고자 하는 의도로 지어졌다. 이 시기에 우리 민족에게 주어진 과제는, 외세의 침략에 맞서 주권을 수호하고 근대 국가를 수립하는 것이었다. 이 노래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으로 문명개화를 이루어야 하며, 부국강병을 통한 외세 배격으로 자주 독립 국가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 노래의 특징적인 점은 \'합가\' 부분이다.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는 후렴과 달리 각 연마다 다른 내용으로 되어 있으며, 한 사람이 선창을 하면 여러 명이 후장을 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가창 방식은 앞소리와 뒷소리가 있는 민요의 가창 방식을 본받은 것이다.
3. 창가
(1) 개념
개화가사와 신체시를 연결하는 교량역할을 했던 시가 형식을 말한다. 민요와 기독교 찬송가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주로 새로운 시대 사조와 문명개화를 예찬하고 있다.
(2) 작품
「경부철도가」(최남선)
우렁탸게 토하난 긔
1. 시대개관
2. 개화가사
3. 창가
4. 신체시
Ⅲ. 시기별 시의 주제 (2) - 1910년대 ~ 광복 이전의 시
1. 시대개관
2. 1910년대 ⇒ 자유시의 등장
3. 1920년대 ⇒ ① 퇴폐적 낭만주의와 상징주의 시
② 경향파 시
③ 민족주의적 경향의 식
4. 1930년대 ⇒ ① 순수서정시
② 모더니즘 시
③ 생명의식의 탐구의 시
5. 1940년대 ⇒ ① 청록파 시
② 저항시
③ 광복의 기쁨과 역사의식을 노래한 시
Ⅳ. 시기별 시의 주제 (3) - 광복 이후의 시
1. 시대개관
2. 전후문학
3. 현실 참여의 시
4. 순수시의 옹호
5. 소외된 이웃을 위한 시
Ⅰ. 시의 갈래
1. 내용상 분류
서정시 - 개인적인 정서를 압축하여 표현하는 형식이다.
서사시 - 민족적인 사건이나 신화, 전설, 민담 등을 소재로 하여 줄거리를 가진 이야기를 길게 서술한 시를 말한다. 김동환의 ‘국경의 밤’이 이에 해당한다.
극시 - 극의 중심이 되는 등장인물의 대사를 시적인 형식으로 구성한 것을 말한다. 고대 그리 스의 극에서 셰익스피어의 연극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창작되었다.
2. 형식상 분류
정형시 - 운율을 형성하는 요소가 일정한 규칙성을 지니고 있는 시를 가리킨다. 시조(時調)가 이에 해당한다.
자유시 - 정형적인 운율을 벗어나 내재율을 지니고 있는 시를 가리킨다.
산문시 - 자유시처럼 행을 구분하지 않고 산문처럼 줄글로 붙여서 쓴 시를 가리킨다.
3. 목적상 분류
순수시 - 예술성을 중시하는 시로, 개인적 정서를 주로 드러낸다.
목적시 - 역사와 현실적 문제를 다루는 시로, 시를 목적 전달의 수단으로 삼는다.
4. 태도상 분류
주정시 - 인간적인 감정이나 정서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시를 가리킨다.
주의시 - 강렬한 주관적 의지와 정신세계 표현에 중점을 두고 전개되는 시를 가리킨다.
주지시 - 인간의 감정보다는 지적인 측면을 중시하여 관념, 의식 등을 드러내며 전개되는 시를
가리킨다.
Ⅱ. 시기별 시의 주제 (1) - 개화기의 시가
1. 시대개관
이 시기는 우리나라가 서구 문물의 영향을 받아 종래의 봉건적인 사회 질서를 타파하고 근대적 사회로 개혁되어 가던 시대를 일컫는다. 개화기는 서구 열강의 침략에 맞서는 한편 조선 시대의 봉건 질서를 해체하고 새로운 민족 국가를 설계하고자 모색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는 갑오개혁(1894)을 계기로 조선 왕조의 자주 독립선언, 신분 제도의 철폐, 국한문혼용 등과 같이 정치, 사회 제도를 근대적으로 개혁함으로써 근대 국가로의 틀과 기초를 다지게 된다. 또 근대적인 각급 학교가 설립되고 ‘한성순보’, ‘독립신문’과 같은 신문이 발행되는 등 근대적인 체재와 기구가 정비되었다.
2. 개화가사
(1) 개념
전통적인 가사 형식에 개화기의 새로운 사상을 담아 표현한 시가 형식을 말한다. 외세의 침략에 대한 비판, 자주 독립의식의 고취, 사회현실의 풍자 등이 중심 내용을 이룬다.
(2) 작품
「동심가」(이중원)
잠을 깨세, 잠을 깨세, 사천 년이 꿈 쇽이라. 만국이 會同(회동)하야 四海(사해)가 一家(일가)로다.
區區細節(구구세졀) 다 바리고 샹하 同心(동심) 同德(동덕)하셰. 남으 부강 불어 하고 근본 업시 回賓(회빈)하랴. 「동심가」일부
* 출전 : 독립신문* 연대 : 1896년* 작자 : 이중원* 종류 : 개화가사* 성격 : 교훈적, 계몽적* 제재 : 동심결(同心結), 개화사상* 주제 : 문명개화를 위한 일치단결
⇒1876년의 개항과 1884년의 갑신정변에서 비롯된 근대적 개화의 물결은 1894년의 갑오개혁으로 이어졌으며, 동학 농민 운동은 이러한 근대화의 과정을 더욱 재촉하게 되었다. 이 시기는 우리의 근세사에서 가장 격동의 시기였으므로, 외세와 외국 문물이 급격하게 유입되었고, 그런 만큼 민족의 각성과 저항도 강하게 요구되었던 시기였다.이 노래는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우리도 잠을 깨어 문명개화를 실천하여 보자고 역설하고 있다. 시대적 흐름을 직시하고 주체성을 견지할 것을 주장하면서 우리의 현실에 대한 반성과 그 극복의 방법까지 제시하고 있다.
「애국하는 노래」(이필균)
아셰아에 대죠션이 쥬 독립 분명다.
(합가) 야에야 국셰 나라 위 죽어 보셰.
분골고 쇄신토록 츙군고 국셰.
(합가) 우리 정부 놉혀 주고 우리 군면 도와 주셰.
깁흔 잠을 어셔 여 부국 강병(富國强兵) 진보셰.
(합가) 의 쳔 밧게 되니 후회 막급 업시셰.
합심고 일심되야 셔셰 동졈(西勢東漸) 막아 보셰.
(합가) 롱공샹(士農工商) 진력야 사마다 유셰. 「애국하는 노래」일부
* 저자 : 리필균(생몰연대 미상)
* 별칭 : 애국가
* 연대 : 1896년
* 갈래 : 개화 가사(4. 4조)
* 성격 : 계몽적, 교훈적, 설득적, 교술적, 목적 문학적 애국가사
* 어조 : 설득적이고 계몽적인 남자의 목소리
* 표현 : 청유형과 열거법이 쓰이고, 직설적으로 표현, 반복법도 사용됨.
* 사상 : 개화, 계몽사상
* 율격 : 외형률, 음수율, 4·4조의 4음보
* 제재 : 애국하는 방법
* 주제 : 개화하여 애국하자, 개화 계몽을 통한 애국
⇒개화기 애국 계몽 문학은 민중을 계몽하고 사회적 각성을 촉구하고자 하는 의도로 지어졌다. 이 시기에 우리 민족에게 주어진 과제는, 외세의 침략에 맞서 주권을 수호하고 근대 국가를 수립하는 것이었다. 이 노래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으로 문명개화를 이루어야 하며, 부국강병을 통한 외세 배격으로 자주 독립 국가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 노래의 특징적인 점은 \'합가\' 부분이다.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는 후렴과 달리 각 연마다 다른 내용으로 되어 있으며, 한 사람이 선창을 하면 여러 명이 후장을 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가창 방식은 앞소리와 뒷소리가 있는 민요의 가창 방식을 본받은 것이다.
3. 창가
(1) 개념
개화가사와 신체시를 연결하는 교량역할을 했던 시가 형식을 말한다. 민요와 기독교 찬송가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주로 새로운 시대 사조와 문명개화를 예찬하고 있다.
(2) 작품
「경부철도가」(최남선)
우렁탸게 토하난 긔
추천자료
[현대문학사] 1960년대의 시
[현대시론] 김춘수와 이승훈의 시와 사상
한국 현대 해체시 연구
(현대문학강독)청록파시인 3인의 시세계가 지니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조지훈,박목...
[현대시론][시적 화자][모더니즘][김기림][박인환][김규동][시론]현대시론과 시적 화자, 현대...
[민중][민중예술][민중시][한국현대문학][김태준][뷔히너][남미민중][인도민중]민중과 민중예...
[현대시강독] <1940년대 한국시>
현대 미국시에 대한 성찰
[현대문학사] 1930년~1945년대 전반의 시대적 배경과 시
[현대문학교육론] 김소월과 한용운의 시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진달래꽃」과 「님의 침...
[한국 현대 시론] 제 4장 시의 방법
현대문학 - 정지용(민족의 기억에 빛날 시의 성좌)
현대문학 - 괴기함을 통한 인식의 변화(그로테스크적 표현을 중심으로 본 ‘최승호’ 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