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품사 분류 유형과 그 문제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품사 분류 유형과 그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학교 문법의 품사 분류와 각 학자별 품사 분류
1. 학교문법의 품사 분류
2. 주시경의 품사 분류
3. 최현배의 품사 분류
4. 이희승의 품사 분류
5. 이숭녕의 품사 분류

Ⅲ. 현행 학교 문법에 따른 각 학자별 품사 분류의 차이와 문제점
1. 학교문법과 비교한 주시경 품사 분류와 문제점
2. 학교문법과 비교한 최현배 품사 분류와 문제점
3. 학교문법과 비교한 이희승 품사 분류
4. 학교문법과 비교한 이숭녕 품사 분류

Ⅳ. 맺음말

본문내용

기, 저기...
*느낌씨(感動詞) : 느낌씨는 마디(節)나 월(文)의 우에서 그것들을 꾸미는 씨를 이름이니 그 꾸미는 내용은 여러 가지의 느낌하고 부름과 대답의 첫머리 하고를 들어 내는 것이니라 - 어, 허허, 에익, 에고, 아이구, 에따, 참, 정말, 만세, 에라, 피, 애개개, 아따, 쉿,...
*토씨(助詞) : 걸림씨 또는 토씨는 생각씨에 붙어서 그것들 사이의 걸림(關係)을 보이며, 또는 그 뜻을 더하는 씨이니라 - 가, 이, 에서, 께서, 께옵서, 에게, 한테, 으로, 하고, 라고, 과, 처럼, 같이, 만, 을, 를, 부터, 까지, 조차, 만, 마다, 이나...
4. 이희승의 품사 분류
이희승은 단어를 ‘생명을 가진 말로써 글월 속에 나타나는 가장 작은 단위’라 하면서 생명을 가졌다는 뜻을 ①일정한 소리에 뜻이 있다. ②일상 우리가 쓰는 말에서 단어는 그 중간에서 끊어서 발음 할 수 없다. ③일상 쓰는 말에서 단어는 그 앞뒤에서 끊어서 발음할 수 있다는 것이라 한다. 이러한 바탕 아래서 이희승은 단어를 명사, 대명사, 조사, 동사, 형용사, 존재사, 관형사, 부사, 접속사, 감탄사로 나누어 모두 10품사를 설정하였다. 이에 대해 그 규정과 예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명 사 : 무슨 물건이나 일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를 문법에서 명사(名詞)라고 부른다 - 산, 물, 덕, 수, 김유신, 신라, 나라....
*대명사 : 사람이나 물건이나 일이나 또는 처소 같은 것을 그 이름을 부르지 않고 그 대신 으로 직접 가리켜서 표시 하는 것을 대명사(代名詞)라 일컫는다 - 나, 너, 누구, 이, 그, 저, 이것, 그것, 저것, 무엇, 여기, 저기, 거기, 어디...
*조 사 : 말들이 다른 말에 대한 관계를 분명리 밝히어 두는 직능을 나타내는 말들을 조 사(助詞)라 일컫는다 - 가, 를, 는, 와, 로, 이, 을, 은, 과, 으로, 야, 이야, 에게, 도, 만, 부터...
*동 사 : 사람이나 동물이나 그 밖의 자연물들의 어떠한 움직임 즉, 행동이나 작용을 나 타내는 말을 동사(動詞)라 일컫는다 - 불다, 깨다, 떼다, 나다, 쫓다. 쳐다보다, 쑤 다, 듣다, 않다, 들다, 보다, 자다, 꾸다, 가다...
*형용사 : 무슨 물건이나 일이 ‘어떠하다’든디 또는 ‘어떠한 것’ 이;라고, 그 상태나 성질이 나 모양을 형용하여 하는 말들을 형용사(形容詞)라 이른다 - 밝다, 크다, 깊다, 검 다, 희다, 차다...
*존재사 : 존재사는 동작이나 작용 또는 상태나 성질과 아주 같지 아니한 ‘있느냐, 없느냐’ 의 뜻을 가진 말을 말한다 - 있다, 없다, 계시다, 안계시다...
*관형사 : 명사 위레만 쓰이어서 명사의 뜻을 꾸미어 주는 직책과 활용이 되지 아니하는 즉 어미가 붙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말을 관형사(冠形詞)라 이른다 - 이런, 한, 그, 어떤, 무슨, 두, 그런...
*부 사 : ①관형사와 마찬가지로 활용이 되지 않는 일 ②관형사는 수직어로만 쓰이는 반 면에 이 말들은 한정어로 쓰임 이러한 말들을 부사(副詞)라고 이른다 - 다시, 아 니, 제법, 슬며시, 곰곰, 또, 바로, 다, 조금도, 더욱, 자못, 결단코, 잘, 모두...
*접속사 : 앞에 있는 글월을 받아서 뒤에 오는 다른 글월에 이어주는 직책을 가진 말을 말 한다 - 그런데, 그래서, 그리고, 그러니, 그래서말이야, 그랬더니...
*감탄사 : ① 한 개의 단어로서 한 덩어리의 느낌이나 생각을 단번에 나타내는 일 ②따라 서, 주어나 서술어가 없어도 한 개의 글월 노릇을 하는 일 ③ 흔히는 감탄하고 느 낌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은 일들을 나타내는 말을 감탄사(感歎詞)라 일컫는다 - 자아, 허허, 호호, 옳지, 아아, 아이쿠, 얼합쇼...
5. 이숭녕의 품사 분류
이숭녕은 품사 분류의 방법으로 뜻과 구실과 형태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모두 8품사로 나누었다.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가 그것이다. 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명 사(名詞) : 독립된 관념(뜻)을 나타내는 품사다 - 개가, 밥을, 정희는, 광주에, 무등산 에, 말, 마, 덧, 즈음, 녘, 바, 데, 것, 수, 줄, 제, 체, 터, 사람, 아비, 집, 나 라, 솥, 서울, 자유, 국기, 통일, 마음, 영국, 파리, 이순신, 압록강...
*대명사(代名詞) :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는 뜻과 글에서의 구실을 가지고 있는 품사이다 - 나, 너, 이이, 저이, 그이, 누구, 아무, 우리, 너희, 이이들, 저이들, 그이 들, 누구들, 아무들, 나는, 내, 내가, 내게, 내게서, 누구는, 뉘, 뉘게, 누구를, 누구와, 누구로, 이것, 그것, 저것, 어느것, 아무것, 여기, 거기, 저기...
*수 사(數詞) : 계산의 단위라는 중요한 구실을 가진 품사이다 - 하나, 둘, 셋, 열, 백, 일, 이, 삼, 사, 한, 두, 세, 서, 석, 12. 567, 첫째, 둘째, 셋째, 제일, 제이, 제 삼, 하나는, 하나가, 하나의, 하나에, 하나를, 하나와, 하나로...
*동 사(動詞) : 동사는 행동 또는 움직이는 동작을 나타내는 말이다 - 가다, 가는, 간, 갈, 가게, 먹다, 먹는다, 먹어라, 먹더라, 먹고, 먹자, 먹게, 먹고, 먹겠다, 먹히다, 먹이다...
*형용사(形容詞) : 형용사는 물건 또는 일의 형상,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다 - 크다, 크니, 컸더라면, 큰, 높다, 평평하다, 높으냐, 높을까, 높구나, 높고, 높으면, 높아야, 높아, 높지, 높음, 있다, 없다, 싶다, 답다, 지다, 롭다, 스럽다, 랗다, 수그레 하다, 쭉하다, 쑥하다, 쭈막하다, 되다, 항복하다, 무안하다, 쓸쓸하다, 아니 다, 아니하다, 못하다...
*관형사(冠形詞) : 글의 체언 앞에서 체언을 형용하는 품사이다 - 새, 헌, 헛, 웃, 첫, 무슨, 여러, 어느, 옛...
*부 사(副詞) : 부사는 동사나 형용사를 한정하여 행동의 정도나 모양의 정도를 한정하는 말이다 - 대단히, 똑똑히, 그윽히, 그리, 항상, 더, 꽤, 가장, 꼭, 덜, 아마, 좀, 먼저, 아니, 못, 뚱뚱, 풀썩풀썩, 또닥또닥, 이리, 그리, 저리, 아무리,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12.29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04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