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오농민전쟁 개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갑오농민전쟁 개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갑오농민전쟁의 사회경제적 배경

2. 고부민란

3. 제1차 농민전쟁

4. 집강소 통치

5. 제2차 농민전쟁

6. 갑오농민전쟁의 의의

본문내용

이 ‘서면 백산, 앉으면 죽산’이라는 표현이 생길만큼 백산에는 많은 농민군이 모여 들었다.
백산은 해발 47m의 낮은 야산이지만 정상에서는 사방이 탁 트여 주변에 펼쳐진 수십지의 들판이 한눈에 들어오는 지형상 대단히 유리한 고지이다. 정상은 꽤 넓고 평평한 지형으로서 산성을 쌓으면 그 안에 300~400명의 군사를 주둔시킬수 있고, 성 바깥 주위에 배치할 수 있는 군사까지 합치면 천명 이상도 주둔이 가능한 공격과 수비에 대단히 유리한 요새였다. 농민군은 호남창의대장소를 설치하고 전봉준을 대장으로, 손화중과 김개남을 총관령으로, 김덕명과 오시영을 총참모로, 최경선을 영솔장으로, 송희옥과 정백현을 비서로 추대하였다. 농민군은 행동지침으로 4대 강령과 농민군에 동참할 것을 알리는 격문을 발표하고 3월 26일 전주를 향해 진군하였다. 3월 29일 농민군은 태인을 점령하고 부안 동헌을 공격하여 농민군의 지배아래 두었다. 농민군의 세력이 커지자 전라 감사 김문현은 감영군과 보부상패의 연합군으로 농민군을 진압하러 나섰고, 중앙정부도 홍계훈을 양호 초토사로 임명하여 파견하였다. 4월초 감영군과 보부상패 연합군이 고부로 진격해오자 지형에 익숙한 농민군은 이들을 황토재로 유인하여 공격하였다. 4월 4일 감영군이 화호나루터에 진을 치자 농민군은 부안에서 매교로 나와 감영군과 전투를 벌였다. 이때 농민군은 패한척 하면서 부안 쪽으로 달아났다. 후퇴하던 농민군은 두패로 나누어 한패는 고부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농민군은 감영군이 따라오는 것을 확인하면서 도교산 위로 올라가서 능선을 따라 남쪽의 시사봉으로 옮겼다. 감영군은 농민군을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1.2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55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