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Ⅱ 문헌고찰
◆ thyroid cancer : 갑상선암 ◆
1. 정상해부 및 생리
갑상선이란 무엇인가
2. 병태생리
• 유두암
• 여포선암
• 수질암
• 미분화암
3. 원인과 증상
4. 진 단 법(그에 대한 간호)
▶ 혈액검사
▶ 갑상선 스캔 (Thyoid scane)
▶초음파 검사
▶ 미세침 흡인세포 검사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5. 치 료 법 (그에 대한 간호)
▶ 수 술
▶ 방사성 요드 치료
▶ 갑상선 호르몬의 투여
▶ 항암화학요법
◁ 병기에 따른 치료방법
6. 예 후
Ⅲ. 본 론
1. 간호사정
1) 대상자의 건강양상
2) 대상자의 건강력
3) 약 물
4) 진단검사
◆ 간호 진단과 간호중재 ◆
◆ thyroid cancer : 갑상선암 ◆
1. 정상해부 및 생리
갑상선이란 무엇인가
2. 병태생리
• 유두암
• 여포선암
• 수질암
• 미분화암
3. 원인과 증상
4. 진 단 법(그에 대한 간호)
▶ 혈액검사
▶ 갑상선 스캔 (Thyoid scane)
▶초음파 검사
▶ 미세침 흡인세포 검사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5. 치 료 법 (그에 대한 간호)
▶ 수 술
▶ 방사성 요드 치료
▶ 갑상선 호르몬의 투여
▶ 항암화학요법
◁ 병기에 따른 치료방법
6. 예 후
Ⅲ. 본 론
1. 간호사정
1) 대상자의 건강양상
2) 대상자의 건강력
3) 약 물
4) 진단검사
◆ 간호 진단과 간호중재 ◆
본문내용
ubin
-
nitrite
-
color
yellow
◆ 간호 진단과 간호중재 ◆
#1. 수술로 인한 통증과 관련된 안위변화
◎ 주관적 자료
“진통제는 안주나...줬다는대 준거야 안준거야 왜이렇게 아파?”
“아유... 목이야....겁나게 아파요?”
“주위는 왜 이렇게 시끄러운거야 가뜩이나 아픈데 성가시게..조용하게 해줘”
◎ 객관적 자료
대상자는 49세 여성 갑상선 종양환자임
현제 28일 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상태임
지난 4월 상기 진단받아 5월말에 입원함
op후 활력징후 140/100 ,98 , 36.5도의 상태 보임
심한 통증 호소 중이며 목을 가누기 힘들어함
대상자는 인상을 찌푸리고 누워있다.
대상자는 주먹을 쥐었다폈다 한다.
◎ 간호목표 및 평가기준
목표 - 대상자는 편안함을 느낄 것이다.
평가기준 - 대상자는 5월 말일까지 목에 통증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 대상자는 5월 29일 오전까지 식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간호계획
v/s check q 4 hrs.
통증수준을 사정하고 기록한다 : 부위, 강도, 악화요인, 완화시키는 방법
환자와 함께 비약물적 통증경감요법을 계획하고 실시한다.
식사, 군것질 등을 할때 지지해준다.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하고 그 효과 및 부작용을 관찰한다.
◎ 수행
v/s check q 4 hrs.
통증수준을 사정한다.
치료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적당한 실내온도, 조용한 환경과 방문객)
연상법, 이완법을 교육한다.
식사때 지지해준다.
부드러운 음식을 먹도록 교육한다.
언어적, 비언어적 통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한다.
단단한 음식이나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도록 교육한다.
진통제 투여시 observation하고, 그 효과 및 부작용(쇽, 소화성 궤양, 발진, 두드러기, 황달, 식욕부진, 구역, 구토) 유무를 관찰한다.
◎ 평가
환자는 5월 30일 목에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
대상자는 5월 29일 아침 미음을 드셨다.
#2 입원과 관련된 불안
◎ 주관적 자료
“여기 주변이 왜 이렇게 시끄러워~사람들이 기차 화통을 삶아 먹엇나?”
“병원이 무슨 시장이야 안정을 할 수가 없자나 집에가는게 낫겟구만”
“집에는 언제 올라갈수 있는감?”
◎ 객관적 자료
대상자는 49세 여성 갑상선 종양환자임
현제 28일 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상태임
지난 4월 상기 진단받아 5월말에 입원함
29일 활력징후 120/80 ,80 , 36.5도의 상태 보임
대상자는 잠을 자지 못한다.
기계 소리에 깜짝 놀랜다.
대상자는 의사나 간호사 선생님들이 가까이 오면 쳐다본다.
◎ 간호목표 및 평가기준
목표 : 불안이 감소된다.
평가기준
- 대상자는 5월 30일까지 입원전 상태로 수면을 취할 수 있다.(수면시간 7-8hrs/day)
- 대상자는 5월 30일 불안함에 대해 말할 수 있다.
◎ 간호계획
대상자의 불안의 정도, 태도, 행동을 사정한다.
대상자에게 수술 후 관리, 주의사항 등에 대해 설명한다.
대상자의 불안에 대한 표현에 대해 격려한다.
병동 내부에 대해 설명한다.
◎ 간호수행
불안의 정도, 태도, 행동에 대해 사정한다.
대상자와 불안이나 질병에 대해 대화한다. (암에 대한 것과 갑상선암의 좋은 예후 수술 후 목소리가 변할 수 있다는 것 등)
대상자에게 수술을 하는 이유와 통증은 몇일이 지나면 사라진다고 설명한다.
◎ 평가
대상자는 6월 30일 안정된 수면을 취하였다.
대상자는 불안의 원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었다.
#4. 수술부위 오염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 주관적 자료
“목이 자꾸 따끔거린다...”
◎ 객관적 자료
대상자의 체온이 37.9℃를 기록한다.
대상자의 몸이 경하게 떨린다.
◎ 간호목표 및 평가기준
목표 - 대상자는 감염 증상이 없다.
평가기준 - 대상자는 6월 14일까지 체온이 37℃이하로 내려간다.
- 대상자는 몸의 떨림이 사라진다.
◎ 간호계획
V/S check q2hrs
손을 자주 씻는다
감염의 증상인 발열, 연하곤란, 인후통을 사정한다.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 수행
V/S check q 2hrs
손을 자주 씻는다.
감염의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수술 부위를 만지지 말 것을 교육한다.
후두 부종이나 수술 부위의 부종을 나타내는 호흡곤란이나 출혈이 있는지 관찰한다.
Semi-Fowler 체위를 취하고 베개를 지지하여 목의 굴곡을 피한다.
출혈을 의미하는 빈맥과 저혈압을 관찰한다.
불규칙한 호흡, 목의 부종, 질식 등을 관찰한다.
출혈과 다른 기관지 압박이 있는지 활력 징후를 관찰한다.
구강함수를 지지한다.
◎ 평가
대상자는 6월 14일 체온이 37℃를 기록하였다.
대상자는 6월 14일 출혈이나 부종 없이 일반 병동으로 옮기셨다.
#3. 갑상선 글로불린 형성 장애로 인한 저린감
주관적 자료
“손발이 너무 저려요 찌릿 찌릿 전기가 통하는 것 같아요..”
“수술 부작용은 아닌가요 왜 갑자기 저리지??”
객관적 자료
대상자는 49세 여성으로 감상선 종양을 진단받아
28일 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상태임
5월 28일 저녁 갑자기 손발의 저린감을 호소 했따고 함
호로몬 투여후 호전 되었다가 오후쯤 다시 느껴진다고 말함
간호 목표 평가 기준
목표: 대상자는 저린감을 호소하지않고 편안한 수면을 취한다
평가기준: 대상자는 29일 저녁이후 저린감을 호소 하지않는다
간호계획
통증 호소를 사정하고 기록한다- 통증 부위 손 발 어느 부위인지 사정한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호르몬을 적당량 투여 하여 통증을 사정한다
그 후에 저린감이 다시 발생하는지 발생했다면 그 즉시 간호사에게 알리라고 말한다.
수행
V/S check q 4hrs
저린감의 정도를 사정한다
호르몬 투여시 느낌이나 왜 저린감이 느껴지고 왜 호르몬을 투여해주는지
대상자에게 설명한 후 너무 심려치 말며 이런 증상은 호르몬투여로 치료 가능 하며
수술로 인해 잠깐 동안의 현상임을 설명함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여 저린감은 즉시 알리도록 하고 대상자에게 자주 찾아간다
평가
환자는 29일 오후 이후로 저린감 호소 없음
그날 이후로 저린감 호소 전혀 없음
Ⅳ. 결 론
45병동에 실습을 하게 된 첫날 첫 수술 대상자를 보게 되었다.
수술 환자를 처음 본 나로 써는 그 대상자가 무엇
-
nitrite
-
color
yellow
◆ 간호 진단과 간호중재 ◆
#1. 수술로 인한 통증과 관련된 안위변화
◎ 주관적 자료
“진통제는 안주나...줬다는대 준거야 안준거야 왜이렇게 아파?”
“아유... 목이야....겁나게 아파요?”
“주위는 왜 이렇게 시끄러운거야 가뜩이나 아픈데 성가시게..조용하게 해줘”
◎ 객관적 자료
대상자는 49세 여성 갑상선 종양환자임
현제 28일 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상태임
지난 4월 상기 진단받아 5월말에 입원함
op후 활력징후 140/100 ,98 , 36.5도의 상태 보임
심한 통증 호소 중이며 목을 가누기 힘들어함
대상자는 인상을 찌푸리고 누워있다.
대상자는 주먹을 쥐었다폈다 한다.
◎ 간호목표 및 평가기준
목표 - 대상자는 편안함을 느낄 것이다.
평가기준 - 대상자는 5월 말일까지 목에 통증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 대상자는 5월 29일 오전까지 식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간호계획
v/s check q 4 hrs.
통증수준을 사정하고 기록한다 : 부위, 강도, 악화요인, 완화시키는 방법
환자와 함께 비약물적 통증경감요법을 계획하고 실시한다.
식사, 군것질 등을 할때 지지해준다.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하고 그 효과 및 부작용을 관찰한다.
◎ 수행
v/s check q 4 hrs.
통증수준을 사정한다.
치료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적당한 실내온도, 조용한 환경과 방문객)
연상법, 이완법을 교육한다.
식사때 지지해준다.
부드러운 음식을 먹도록 교육한다.
언어적, 비언어적 통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한다.
단단한 음식이나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도록 교육한다.
진통제 투여시 observation하고, 그 효과 및 부작용(쇽, 소화성 궤양, 발진, 두드러기, 황달, 식욕부진, 구역, 구토) 유무를 관찰한다.
◎ 평가
환자는 5월 30일 목에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
대상자는 5월 29일 아침 미음을 드셨다.
#2 입원과 관련된 불안
◎ 주관적 자료
“여기 주변이 왜 이렇게 시끄러워~사람들이 기차 화통을 삶아 먹엇나?”
“병원이 무슨 시장이야 안정을 할 수가 없자나 집에가는게 낫겟구만”
“집에는 언제 올라갈수 있는감?”
◎ 객관적 자료
대상자는 49세 여성 갑상선 종양환자임
현제 28일 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상태임
지난 4월 상기 진단받아 5월말에 입원함
29일 활력징후 120/80 ,80 , 36.5도의 상태 보임
대상자는 잠을 자지 못한다.
기계 소리에 깜짝 놀랜다.
대상자는 의사나 간호사 선생님들이 가까이 오면 쳐다본다.
◎ 간호목표 및 평가기준
목표 : 불안이 감소된다.
평가기준
- 대상자는 5월 30일까지 입원전 상태로 수면을 취할 수 있다.(수면시간 7-8hrs/day)
- 대상자는 5월 30일 불안함에 대해 말할 수 있다.
◎ 간호계획
대상자의 불안의 정도, 태도, 행동을 사정한다.
대상자에게 수술 후 관리, 주의사항 등에 대해 설명한다.
대상자의 불안에 대한 표현에 대해 격려한다.
병동 내부에 대해 설명한다.
◎ 간호수행
불안의 정도, 태도, 행동에 대해 사정한다.
대상자와 불안이나 질병에 대해 대화한다. (암에 대한 것과 갑상선암의 좋은 예후 수술 후 목소리가 변할 수 있다는 것 등)
대상자에게 수술을 하는 이유와 통증은 몇일이 지나면 사라진다고 설명한다.
◎ 평가
대상자는 6월 30일 안정된 수면을 취하였다.
대상자는 불안의 원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었다.
#4. 수술부위 오염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 주관적 자료
“목이 자꾸 따끔거린다...”
◎ 객관적 자료
대상자의 체온이 37.9℃를 기록한다.
대상자의 몸이 경하게 떨린다.
◎ 간호목표 및 평가기준
목표 - 대상자는 감염 증상이 없다.
평가기준 - 대상자는 6월 14일까지 체온이 37℃이하로 내려간다.
- 대상자는 몸의 떨림이 사라진다.
◎ 간호계획
V/S check q2hrs
손을 자주 씻는다
감염의 증상인 발열, 연하곤란, 인후통을 사정한다.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 수행
V/S check q 2hrs
손을 자주 씻는다.
감염의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수술 부위를 만지지 말 것을 교육한다.
후두 부종이나 수술 부위의 부종을 나타내는 호흡곤란이나 출혈이 있는지 관찰한다.
Semi-Fowler 체위를 취하고 베개를 지지하여 목의 굴곡을 피한다.
출혈을 의미하는 빈맥과 저혈압을 관찰한다.
불규칙한 호흡, 목의 부종, 질식 등을 관찰한다.
출혈과 다른 기관지 압박이 있는지 활력 징후를 관찰한다.
구강함수를 지지한다.
◎ 평가
대상자는 6월 14일 체온이 37℃를 기록하였다.
대상자는 6월 14일 출혈이나 부종 없이 일반 병동으로 옮기셨다.
#3. 갑상선 글로불린 형성 장애로 인한 저린감
주관적 자료
“손발이 너무 저려요 찌릿 찌릿 전기가 통하는 것 같아요..”
“수술 부작용은 아닌가요 왜 갑자기 저리지??”
객관적 자료
대상자는 49세 여성으로 감상선 종양을 진단받아
28일 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상태임
5월 28일 저녁 갑자기 손발의 저린감을 호소 했따고 함
호로몬 투여후 호전 되었다가 오후쯤 다시 느껴진다고 말함
간호 목표 평가 기준
목표: 대상자는 저린감을 호소하지않고 편안한 수면을 취한다
평가기준: 대상자는 29일 저녁이후 저린감을 호소 하지않는다
간호계획
통증 호소를 사정하고 기록한다- 통증 부위 손 발 어느 부위인지 사정한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호르몬을 적당량 투여 하여 통증을 사정한다
그 후에 저린감이 다시 발생하는지 발생했다면 그 즉시 간호사에게 알리라고 말한다.
수행
V/S check q 4hrs
저린감의 정도를 사정한다
호르몬 투여시 느낌이나 왜 저린감이 느껴지고 왜 호르몬을 투여해주는지
대상자에게 설명한 후 너무 심려치 말며 이런 증상은 호르몬투여로 치료 가능 하며
수술로 인해 잠깐 동안의 현상임을 설명함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여 저린감은 즉시 알리도록 하고 대상자에게 자주 찾아간다
평가
환자는 29일 오후 이후로 저린감 호소 없음
그날 이후로 저린감 호소 전혀 없음
Ⅳ. 결 론
45병동에 실습을 하게 된 첫날 첫 수술 대상자를 보게 되었다.
수술 환자를 처음 본 나로 써는 그 대상자가 무엇
추천자료
성인 간호학 수술 간호중재
유방암 간호진단중재 case study (Breast cancer)
[기초간호과학] 면역에 관여하는 3가지 세포와 4가지 형태의 과민반응, 악성종양과 양성종양...
[기초간호과학공통] 면역에 관여하는 3가지 세포 4가지형태 과민반응,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의...
(기초간호과학 1500원,11p)면역 관여 세포 4가지 과민반응 악성종양 양성종양 차이 국소영향 ...
[간호중재][간호]간호중재의 정의, 비사용증후군 간호중재, 간헐적 도뇨 간호중재, 영적 간호...
기초간호과학>면역에서 과민반응이 무엇을의미하는지 설명,기초간호과학,4가지과민반응별로 ...
성인 간호학 위암case/위암문헌고찰/위암병태생리/위암간호진단/위암간호중재/진행성위암/gas...
백혈병 정의, 분류, 병태생리, 진단평가, 치료관리, 예후, 간호중재, 백혈병 환아의 간호진단...
기초간호과학]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영향 전신영향, 종양병기, 악성종양 병기 TNM분류방...
[성인간호학 공통] 1 영양지원 방법의 유형 적응증 및 장단점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각각의 주...
기초간호과학 공통형-종양이 인체에 미치는영향종양의병기TNM분류방법혈액응고과정의3단계범...
[상급 성인 간호학 세미나] 희망 (Hope) - [희망 개념 정의 희망 속성 희망 선행 요인 희망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