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고충처리제도의 의의, 취지, 특징
Ⅱ. 고충처리제도의 내용
Ⅲ. 노사협의회와의 관계
Ⅳ. 마치며
Ⅱ. 고충처리제도의 내용
Ⅲ. 노사협의회와의 관계
Ⅳ. 마치며
본문내용
Ⅳ. 마치며
1) 고충처리위원 설치대상을 확대. 근로자의 근로조건과 근로환경에 관한 애로와 불만은 대기업보다는 오히려 30인 미만의 소기업에서 일반적으로 높다는 점을 감안하여 대상사업장의 범위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2) 고충처리위원수를 현실화. 근로자 수가 수천명 이상되는 대기업의 경우 3명 이내의 고충위원이 이를 감당할 수 없다. 따라서 근로자 수에 따른 합리적인 고충처리위원 수를 정하여야 한다.
3) 근로자의 참여의 폭을 확대시켜야 한다.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 사용자가 고충처리위원을 위촉하도록 되어 있는데 근로자의 고충을 청취하고 해결하는 역할을 하는 이상 어느 정도 근로자 측의 의견을 수렴하여 위촉해야 한다.
4) 여성근로자를 위해 고충처리위원 중 1인은 여성으로 하는 방향의 검토도 필요하다.
1) 고충처리위원 설치대상을 확대. 근로자의 근로조건과 근로환경에 관한 애로와 불만은 대기업보다는 오히려 30인 미만의 소기업에서 일반적으로 높다는 점을 감안하여 대상사업장의 범위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2) 고충처리위원수를 현실화. 근로자 수가 수천명 이상되는 대기업의 경우 3명 이내의 고충위원이 이를 감당할 수 없다. 따라서 근로자 수에 따른 합리적인 고충처리위원 수를 정하여야 한다.
3) 근로자의 참여의 폭을 확대시켜야 한다.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 사용자가 고충처리위원을 위촉하도록 되어 있는데 근로자의 고충을 청취하고 해결하는 역할을 하는 이상 어느 정도 근로자 측의 의견을 수렴하여 위촉해야 한다.
4) 여성근로자를 위해 고충처리위원 중 1인은 여성으로 하는 방향의 검토도 필요하다.
추천자료
근로자의 방출관리(근로관계의 종료)에 대한 문제
노동위원회의 기능과 권한
기업합병과 근로관계에 대한 노동법상 쟁점
단결권 전반에 관한 노동법상 검토
[근로조건][노동환경][경기보조원][수도검침원]4인이하 사업장의 근로조건(노동환경)과 골프...
[골프경기보조원][캐디][골프]골프경기보조원(캐디)의 역할, 골프경기보조원(캐디)의 업무내...
노동법상 임금 파트 전반에 대한 연구
노동분쟁 중 권리분쟁 해결제도의 개선방안
국민적연금제도 확립을 위한 기업연금제도의 모형과 정책방향
행정법상 채권관계에 대한 법적 검토
[퇴출제도, 퇴출제도 개념, 퇴출제도 체계, 퇴출제도 문제점, 퇴출제도 외국 사례, 퇴출제도 ...
[중소기업][기업][중소기업 개념][중소기업 역할]중소기업의 개념, 중소기업의 역할, 중소기...
[2018 건강보험론3E] 우리나라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에 대하여 약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