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민속과 민속학의 개념
2. 그렇다면 民이란 무엇인가
3. 그렇다면 민속과 문화는?
4. 민속의 속성과 전통문화
5. 민속학의 연구분야
2. 그렇다면 民이란 무엇인가
3. 그렇다면 민속과 문화는?
4. 민속의 속성과 전통문화
5. 민속학의 연구분야
본문내용
민속과 민속학
한국의 민속
목차
1. 민속과 민속학의 개념
2. 그렇다면 民이란 무엇인가
3. 그렇다면 민속과 문화는?
4. 민속의 속성과 전통문화
5. 민속학의 연구분야
1. 민속과 민속학의 개념
- 민속이란 말 그대로 ‘민간인들의 오랜 문화적 관습과 생활풍속’이다. 곧 민속은 한 민족이나 국가를 구성하고 있는 대다수 국민들이 다 같이 누리고 있는 옛날부터 전해져 그 민족이나 국가가 존재하는 한 영원히 전승될 생활양식이자 문화이다.
즉, 민속이란 민족의 기반적 생활문화이다. 따라서 민속은 과거에도 있어왔고, 현재에도 계승되며, 또한 새로이 양성되고, 물론 미래에도 있을 한 민족의 생활양식이요 기층문화라 할만하다(김택규, 1982:ⅲ).
- 민속 또는 민속학을 영어로 ‘Folklore’라 하며 1846년 영국의 고고학자 톰스 William I. Thoms(1803-1885)가 영국의 시사주간지 『애씨니엄 The Athenaeum』(1846)에 민간구습(popular antiquities)이나 민간문예(popular literature)를 총칭하는 말로 사용한 이래 학문의 이름으로 서구에서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Folklore’란 용어는 ‘folk’는 민간과 대중, ‘lore’는 지식, 지혜의 합성으로서 민간의 지식(the learning of the people)이라는 뜻이다. 특정한 한 지역의 구성원이 생활해 나가는데 필요로 하는 지식은 생활양식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우리가 사용하는 민속이란 용어와 그 개념이 일치한다고 본다.
- 민속학이란 민속, 즉, 민간에 전해지고 있는 그 민족의 고유문화(기층문화)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문화를 크게 상층문화와 하층문화(기층문화)로 나누었을 때, 하층문화가 지닌 민족문화로서의 비중과 의의는 매우 크다. 민족 또는 민족적 문화가 되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대부분이 누리는 문화이어야 하는데, 상층문화는 극소수의 특권층에 의해서만 향유되었다. 따라서 민속학의 중심대상은 하층문화, 곧 기층문화라 하겠다. 프랑스의
한국의 민속
목차
1. 민속과 민속학의 개념
2. 그렇다면 民이란 무엇인가
3. 그렇다면 민속과 문화는?
4. 민속의 속성과 전통문화
5. 민속학의 연구분야
1. 민속과 민속학의 개념
- 민속이란 말 그대로 ‘민간인들의 오랜 문화적 관습과 생활풍속’이다. 곧 민속은 한 민족이나 국가를 구성하고 있는 대다수 국민들이 다 같이 누리고 있는 옛날부터 전해져 그 민족이나 국가가 존재하는 한 영원히 전승될 생활양식이자 문화이다.
즉, 민속이란 민족의 기반적 생활문화이다. 따라서 민속은 과거에도 있어왔고, 현재에도 계승되며, 또한 새로이 양성되고, 물론 미래에도 있을 한 민족의 생활양식이요 기층문화라 할만하다(김택규, 1982:ⅲ).
- 민속 또는 민속학을 영어로 ‘Folklore’라 하며 1846년 영국의 고고학자 톰스 William I. Thoms(1803-1885)가 영국의 시사주간지 『애씨니엄 The Athenaeum』(1846)에 민간구습(popular antiquities)이나 민간문예(popular literature)를 총칭하는 말로 사용한 이래 학문의 이름으로 서구에서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Folklore’란 용어는 ‘folk’는 민간과 대중, ‘lore’는 지식, 지혜의 합성으로서 민간의 지식(the learning of the people)이라는 뜻이다. 특정한 한 지역의 구성원이 생활해 나가는데 필요로 하는 지식은 생활양식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우리가 사용하는 민속이란 용어와 그 개념이 일치한다고 본다.
- 민속학이란 민속, 즉, 민간에 전해지고 있는 그 민족의 고유문화(기층문화)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문화를 크게 상층문화와 하층문화(기층문화)로 나누었을 때, 하층문화가 지닌 민족문화로서의 비중과 의의는 매우 크다. 민족 또는 민족적 문화가 되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대부분이 누리는 문화이어야 하는데, 상층문화는 극소수의 특권층에 의해서만 향유되었다. 따라서 민속학의 중심대상은 하층문화, 곧 기층문화라 하겠다. 프랑스의
추천자료
삼국유사의 이해
신화에 대한 정리자료
전통혼례(인문과학, 조사, 분석)
한국과 일본 축제의 비교를 통한 한국 지역 축제의 발전방향
[안동][하회마을][하회탈][충효당][안동원지정사]안동하회마을, 안동병산서원, 안동용계리 은...
[윷놀이][윷판 유래][도개걸윷모][윷놀이 성격][윷놀이 도구][윷놀이 하는 법][윷놀이에 숨겨...
[탈춤][탈춤 분포][탈춤과 탈][탈춤 공연 방식][경상도지역 탈춤 수영 들놀음]탈춤의 기원, ...
[체육사]동양체육사
[한국 의식주생활][의식주생활][의생활][식생활][주생활]한국 의식주생활의 의의와 한국 의식...
[동해안 별신굿]동해안 별신굿의 특징, 동해안 별신굿의 고정성, 동해안 별신굿의 유동성, 동...
[신의 영물로서의 거북이]
말, 달리기만 하는 동물인가
[관광자원화, 비무장지대]관광자원화의 의미, DMZ(비무장지대)의 관광자원화, 현충시설의 관...
[한국의현대문화] 한국의 언어가 한국의 문화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으며 세계 속의 한국어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