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석증(Cholelithiasis) 수술실LC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담석증(Cholelithiasis) 수술실LC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A. 연구의 필요성
B.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Ⅱ. 본 론
A. 문헌고찰
1. 담낭의 해부와 생리
2. 담석증 (Cholelithiasis)
(1) 담석증의 정의
(2) 원인
(3) 형태
(4) 질병의 병태생리
(5) 진단검사
(6) 증상
(7) 치료 및 간호
3. 복강경 담낭절제술(Laparoscopic cholecystectomy)
(1) 복강경 수술의 역사
(2) 복강경 수술에 필요한 장비
(3) 필요한 기구
(4) 복강경 담낭절제술 수술과정
(5) 복강경 수술의 단점
(6) 개복술로 전환 하는 경우
(7) 복강경 수술의 합병증
(8) 복강경 수술의 금기증
B.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환자 간호력
(2) 수술실 환자기록
2. Procedure
수술명 : Laparoscopic cholecystectomy(LC)
(1) 준비물
(2) 수술 과정 및 간호
수술기록지 COMMENT
3. 간호진단
#1. 외과절개와 조직외상과 관련된 통증
#2. 수술과 관련된 불안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Dissolution agent - 담즙산 성분으로 콜레스테롤계 담석 용해
CDCA(chenodeoxycholic acid) - 간에서의 콜레스테롤 합성과 분비 차단
설사를 유발시키므로 보편적으로 이용되지 않음
UDCA(urxodeoxycholic acid, Ursa) - 널리 이용됨
b) ERCP & endoscopic papillotomy
: 내시경을 통해 ampulla of Vater를 통하는 Oddi spincter의 유두를 절개
합병증으로 출혈, 천공, 췌장염 증상 관찰
3) 대증요법 - 증상완화를 위해
a) 안정과 금식
b) 비위관 흡인 - 구토 완화와 췌장염 의심되는 대상자의 증상완화를 위해
c) 비경구적 진통제 투여 - Meperidine 투여, Nitrate제제도 산통을 완화시킬 수 있음
d) 위산과다로 인한 통증 경감을 위해 제산제 투여
e) 오심, 구토 있으면 진토제
f) 감염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항생제 요법
g) 식이는 저지방 유동식을 하며 공복 후 과식은 피하도록 한다.
3. 복강경 담낭절제술(Laparoscopic cholecystectomy)
(1) 복강경 수술의 역사
: (1982)년 (프랑스)의 Semm 이 처음으로 복강경을 이용하여 충수절제술(Appendectomy)를 시작하였고 (1987)년 (프랑스)의Philipe Mouret이 복강경담낭절제술(Laparoscopic Cholecystectomy)을 처음 실시하였으나 의학계에서 선뜻 받아들여지지 않고있다가, (1989)년 (미국)의 Reddick와 Olssen등이 복강경담낭절제술을 보편화시켜 개원가를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 되었다. 한국에서는 1990년 이후 시술되기 시작하여 초기에는 고액의 수술료로 선택적으로 시술되었으나 보험료 책정으로 수술비가 내려가면서 현재는 담낭절제술의 표준술기로 자리 잡았다.
(2) 복강경 수술에 필요한 장비
1. 복강경 및 비디오 camera
2. 영상장치(Video monitor)
3. 조명장치(Light source)
4. 탄산가스 주입기(CO2 insufflator)
5. 흡입 세척기(Suction & Irrigator)
6. 전기 소작기 또는 Laser
(3) 필요한 기구
1. 삽관기(Trochar) 와 Veress 침
2. 견인 및 지압 감자(Forcep & grasping instrument)
3. 박리감자(Dissector)
4. 가위(Scissor)
5. Stapler
6. Endoloop & EndoGIA
(4) 복강경 담낭절제술 수술과정
1. 환자는 똑바로(앙와위) 눕히고 전신 마취를 하며 수술대의 좌우로 영상모니터를 설치하여 술자 및 보조자가 수술 시야를 볼 수 있게 하며 술자가 한 손으로 하는one-hand technic 시에는 복강경 카메라를 잡는 보조자가 한명 더 필요하나 두 손으로 수술하는 two-hand technic 시에는 보조자가 한명만 있어도 수술이 가능하다.
2. 마취가 되면 복강 내 장기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비위장관(콧줄) 및 배뇨관을(소변줄)을 삽입하고 배꼽 직 상방(또는 하방)에 좌우로 1.5cm의 절개를 가한 후 복벽을 손으로 잡아 올려 복강 내 장기 손상을 조심하면서 Verres침을 복강내로 삽입한다. 생리적 식염수를 주사기로 주입하여 Verres 침이 복강 내로 제대로 들어 간 것을 확인 한 후 탄산가스를 주입한다. 처음에는 1L/min의 저속도로 주입하여 복강이 균등하게 기복이 형성되면 5L/min 의 고속주입을 한 후 어느 정도 복압이 오르면 12mmHg로 자동 조절시켜 놓는다.
3. 기복이 형성되면 Verres침을 뽑고 그 자리에 10mm 삽관을 꼽고 내시경을 넣어 복강경으로 수술이 가능한 지를 판단한 후 심와부(명치 밑)에 10mm,우측 전액와선과 늑골 하단에 5mm 삽관을 한다. 때에 따라서는 5mm 삽관은 하나만 하여도 수술이 가능하다.
4. 수술대를 환자 머리쪽이 약간 들리게 올리고 환자의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수술 시야를 확보한다.(이러면 간 및 담낭이 잘 보이게 된다) 감자로 담낭의 체부를 잡고 우측 상방으로 밀고 다른 겸자로는 담낭의 저부를 하방으로 당겨 담관을 노출시킨다.
5. 담관 주위를 조심스럽게 박리하여 담낭 동맥을 노출 한 후 크립으로 아래, 위로 잡고 자른다. 그 다음 담관 위, 아래 부분을 크립으로 잡은 후 자른다.
6. 담낭을 밑에서부터 간에 붙은 부위를 레이져 또는 전기소작기로 박리하여 나간다. 박리 중 큰 혈관은 크립으로 잡고 자른다. 작은 혈관은 소작기로 지혈하여도 충분하다.
7. 담낭이 떨어지면 간접합부의 출혈과 담즙 누출을 확인하고 담낭을 배꼽부위를 통하여 밖으로 꺼낸다. 이때 담즙이 많거나 담석이 크면 담낭 안을 흡인하거나 담낭 내에서 담석을 겸자 등으로 분쇄시킨 후 작게 하여 꺼낸다. 담낭 자체가 많이 커져있거나 딱딱한 경우는 절개를 약간 연장하여 꺼낸다.
8. 담즙 누출이 우려되면 우측 5mm 삽관 부위로 silastic drain을 삽입하고 절개부위는 흡수 봉합사로 피하봉합을 한다. 비위관 및 배뇨관은 수술이 끝나면 제거해 준다.
(5) 복강경 수술의 단점
1. 3차원의 수술시야가 모니터 상에 2차원으로 평면화 되어 나타나므로 거리감이 없어 수술시 적응을 필요로 한다. 현재는 이를 보완하는 3차원의 3D camera가 나와 있으나 너무 비싸다.
2.수술시야가 제한된 범위로 나타나, 술기가 제한되며 ,실제 움직임과는 반대로 움직여 역시 훈련이 필요하다.
3. 큰 혈관 출혈 시 압박 지혈이나 소작에 한계가 있어 개복 술로 전환이 필요하다
4. 모니터를 오래보며 수술하면 시야가 흔들리므로 두통, 멀미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고 수술자 에게 많은 끈기와 인내심이 요구되며, 기구 사용으로 인해 손가락에 티눈이 생길 수 있다.
(6) 개복술로 전환 하는 경우
1. 출혈이 심한 경우(시야가 어두어져 진행이 안된다)
2. 1시간이 지나도 수술 진행이 안되는 경우
3. 해부학적 구조의 변형이 심하거나 정확한 구조를 알 수 없을 때
4. 복강내 장기(십이지장,소장,대장등)의 손상,큰 혈관 손상,담도 손상 시
5. 담낭암, 간암 등 다른 병변이 발견
  • 가격2,2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9.04.10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94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