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Ⅱ.선행연구검토 1
Ⅲ.리더로써 추구할 주체사상의 검토 2
1.김일성, 김정일에 대한 기본적 이해 2
(1)김일성, 김정일은 누구인가? 2
1)김일성은 누구인가? 2
2) 김정일은 누구인가? 4
2. 리더로써 그들이 추구한 사상 6
(1) 김일성 주체사상 6
(2) 김정일 주체사상 7
3. 주체사상의 성립배경 9
4. 주체사상을 통해 추구하려고 한 것과 사상이 낳은 북한현실 10
(1) 주체사상을 통해 추구하고자 한 것 10
1) 북한 사람은 북한의 혁명을 해야 한다는데 착안해 북한의 독립성을 찾는데 공헌하기 10
2) 주체사상의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통한 북한 사회 통치 11
3) 혁명과 건설을 영구적으로 추진하려는 정책 지도 원리를 추구 12
4) 김정일의 권력 승계를 사상적으로 뒷받침함을 추구 15
(2) 북한의 주체사상이 낳은 현실 15
1)북한의 현실 모습에서 경제적 전략과 경제난 15
5. 주체사상 뒷받침을 위한 김일성, 김정일의 대중설득 전략 18
(1) 김일성 지배체제와 대중설득 19
(2) 북한의 언어정책 20
(3) 김일성 저작의 언어기법 21
1) 김일성 저작의 절대화 장치 21
2) 김일성 문풍의 전략적 성격 22
6. 주체사상의 역사적 변화과정 22
7. 리더로써 추구한 사상의 문제점 24
(1) 김일성과 김정일의 출생에서 약력에 이르기까지 왜곡된 내용 24
(2) 주체사상 비판 24
1) 김일성 사상의 문제점 26
2) 김정일사상의 문제점 27
(3) 주체사상의 논리적 취약성과 현실성 결여 문제점 28
(4) 북한의 경제전략의 문제점 28
(5) 대중설득전략의 언어적인 문제점 28
Ⅳ. 앞으로 김정일이 추구해야 할 사상과 대응방안 29
1. 주체사상 변화에 대한 비판적 의견 필요 29
2. 사상의 올바른 확립을 위한 지도자의 정체성 확보의 필요 29
3. 경제전략에 대한 구조적 개혁필요 30
4. 북한 언어의 정치적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30
Ⅴ. 결론 30
Ⅱ.선행연구검토 1
Ⅲ.리더로써 추구할 주체사상의 검토 2
1.김일성, 김정일에 대한 기본적 이해 2
(1)김일성, 김정일은 누구인가? 2
1)김일성은 누구인가? 2
2) 김정일은 누구인가? 4
2. 리더로써 그들이 추구한 사상 6
(1) 김일성 주체사상 6
(2) 김정일 주체사상 7
3. 주체사상의 성립배경 9
4. 주체사상을 통해 추구하려고 한 것과 사상이 낳은 북한현실 10
(1) 주체사상을 통해 추구하고자 한 것 10
1) 북한 사람은 북한의 혁명을 해야 한다는데 착안해 북한의 독립성을 찾는데 공헌하기 10
2) 주체사상의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통한 북한 사회 통치 11
3) 혁명과 건설을 영구적으로 추진하려는 정책 지도 원리를 추구 12
4) 김정일의 권력 승계를 사상적으로 뒷받침함을 추구 15
(2) 북한의 주체사상이 낳은 현실 15
1)북한의 현실 모습에서 경제적 전략과 경제난 15
5. 주체사상 뒷받침을 위한 김일성, 김정일의 대중설득 전략 18
(1) 김일성 지배체제와 대중설득 19
(2) 북한의 언어정책 20
(3) 김일성 저작의 언어기법 21
1) 김일성 저작의 절대화 장치 21
2) 김일성 문풍의 전략적 성격 22
6. 주체사상의 역사적 변화과정 22
7. 리더로써 추구한 사상의 문제점 24
(1) 김일성과 김정일의 출생에서 약력에 이르기까지 왜곡된 내용 24
(2) 주체사상 비판 24
1) 김일성 사상의 문제점 26
2) 김정일사상의 문제점 27
(3) 주체사상의 논리적 취약성과 현실성 결여 문제점 28
(4) 북한의 경제전략의 문제점 28
(5) 대중설득전략의 언어적인 문제점 28
Ⅳ. 앞으로 김정일이 추구해야 할 사상과 대응방안 29
1. 주체사상 변화에 대한 비판적 의견 필요 29
2. 사상의 올바른 확립을 위한 지도자의 정체성 확보의 필요 29
3. 경제전략에 대한 구조적 개혁필요 30
4. 북한 언어의 정치적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30
Ⅴ. 결론 30
본문내용
체성을 올바로 획득하지 않을 경우 북한은 더욱더 힘들어지는 모습을 보일 것이다.
김일성이 보여줬던 주체사상 역시 인민들을 설득하고 권력을 잡기 위한 도구로 이용되었기도 했지만, 현재 김정일이 보여주는 사상은 심각한 북한모습을 보여주고 있기에, 북한의 주체적 모습을 찾고자 한다면 김정일이 주체적 인간으로서 면모를 가짐으로써 북한의 정치적 지도자로서 진정한 리더를 발휘할 때 주체사상은 그 모습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3. 경제전략에 대한 구조적 개혁필요
북한은 9년 연속 마이너스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총체적인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직접적으로 사회주의권의 붕괴, 연속된 자연재해의 발생에 기인하나 근본적으로는 북한 사회주의 계획경제가 지닌 각종 구조적 모순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한 광범위한 경제개혁의 추진 시 발생될 김정일 정권의 정치적 불안정, 경제개혁이 수반되지 않는 대외개방의 한계 등 각종 제약조건으로 인해 그 회생 여부가 크게 의문시되고 있다.
이런 것들로 인한 경제적인 성장의 불안정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주의계획경제체제의 전면적 개혁과 시장경제요소의 도입에 의해서 해결이 가능할 것이다.
북한의 식량난은 중국식 ‘농가생산청부제’로 전환하여 농업생산관계 자체를 구조적으로 개혁해야만 해결될 수 있는 과제를 안고 있으므로 이런 노력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4. 북한 언어의 정치적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혁명의 무기로서 철저한 의도 속에 조직되고 이데올로기적으로 위장된 북한의 정치 언어들의 이면에 감추어진 정치적 의도를 파악할 수 있어야만 북한 체제 본질에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북한에 대한 무비판적인 인식은 맹목적인 적대감만큼이나 위험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북한에 대한 객관적 인식을 통해서만 바람직한 통일정책을 준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Ⅴ. 결론
대통령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를 통해 리더로써 가진 자질과 그의 성향에 따라서 한 나라의 운명이 좌우될 수 있단 것을 실감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는 일본의 통치체제 하에서 독립을 하였고, 어쩔 수 없이 소련과 미국의 지휘 안에서 나라의 운명을 결정하게 되었다. 당시 상황에서는 한국과 북한의 리더들이 추구해야하는 조국의 하나된 모습을 그들은 지켜내지 못했다. 물론 분단된 조국을 하나로 합치는 역할에 대한 임무를 완벽히 수행하지는 못했으나 각 지도자들은 조국의 통일을 염원하고 있었다. 그러나 조국의 통일에 대해 서로 다른 체제 속에서 나라를 지도하고 있는 그들의 입장에선 각각 독립된 체제를 주장하며, 통일의 접근방식에 대해 많은 방법과 연구를 한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
각기 다른 체제 속에서 하나가 되는 조국을 기원할 때엔 부딪히게 되는 갈등이 있기 마련인 것이다.
그 속에서 한국과 북한의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체제를 유지하고, 그 체제를 정당화하기 위한 노력을 펼쳤으며, 한 나라를 건설하는 욕구 속에서 자신들의 지위를 다져온 것이다.
그렇게 다른 길로 나뉘어진 한국과 북한은 지금껏 통일에 대한 염원만 간직할 뿐 통일로 가는 길은 멀었는 듯 하다. 이렇게 반세기가 지난 현재의 모습에서 북한과 남한을 볼 수 있고, 두 조국 속에서 지금을 만들어 놓은 지도자들이 존재했다.
북한의 지도자들을 연구해 보면서 그들이 이뤄놓은 주체사상을 통해 그들의 모습도 볼 수 있게 되었다.
주체사상을 통해 북한의 외세의존적 태도에서 벗어나 자주적인 국가를 건설하려는 김일성의 모습을 보았고, 이 사상으로 자신의 권력을 뒷받침하기 위한 대중들을 설득하기 위한 그들의 언어적인 전략도 볼 수 있었다. 또한, 부자세습이란 어처구니없는 권력승계를 주체사상을 통해 정당화하는 그들의 모습도 엿볼 수 있었다.
현재 북한의 지도자 김정일은 김일성의 후계자로써 그 면모를 잘 발휘하고 있지는 않은 듯하다. 그의 아버지에게 이어받은 주체사상을 통해 주체적인 나라 건설보다 자신의 권력을 뒷받침하고 있는 도구로써 사상을 변질시키고 있기도 하다.
이 논문을 연구하면서, 대통령의 리더십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었다. 그 나라의 체제 속에서 지도자가 어떤 이념을 가지고, 어떻게 그 이념을 실천하는가, 그리고 나라를 지도하는 지도자의 입장으로써 국민들을 위한 진정한 지도자의 모습을 갖추고 있는가..등 지도자의 리더십을 통해 나라가 어지러울 수도 있고, 안정될 수도 있단 걸 절실히 깨달았다.
지도자로써 김일성과 김정일은 공산주의 체제 속에서 자신들의 사상을 통해 나라를 건설하고, 지금의 북한을 만들었지만, 과연 국제환경에 따라 나라의 위기와 존재가 중요시되는 이때에 김정일의 주체사상은 사상적으로 북한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지가 염려스럽다.
그의 사상은 변질되고 있고, 굶주리는 한 나라를 만들고 있을 뿐이다.
북한은 우리나라이며, 우리 조국이다. 하지만 지금의 북한을 이해하기에는 많은 역사적인 이해과정이 필요할 것이고, 한 핏줄에 대한 하나가 되는 과정을 심각히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통일에 대한 염원은 항상 모든 이들의 가슴속에 간직될 것이지만, 실질적인 북한을 이해하고, 그들과 통합되기 위해선 염원뿐만 아닌 그들을 알아가기 위한 노력도 상당히 중요할 것 같다.
대통령의 리더에 관한 연구를 통해 북한의 지도자들의 리더십을 연구했으며, 리더로써 그들의 지위에 존재했던 주체사상은 앞으로 북한의 존재를 더 악화시킬 우려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도자의 역할이 나라의 존폐를 결정하는데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단 걸 깨달으면서, 북한의 지도자 김정일의 리더 방식에 대한 염려 또한 가시지 않음을 느꼈다.
리더에 대한 연구이지만, 이 연구를 통해서 북한 주민들의 모습을 상상해 보았고, 제대로 된 리더의 모습을 김정일이 갖추기를 바라면서, 앞으로 김정일의 주체사상에 대한 연구를 비롯해 그의 정치적 리더 모습의 성향이 제대로 변화되는 과정을 담은 논문이 발표되는 날을 기다려본다.
<참고문헌>
서대숙. (2000). 현대 북한의 지도자 - 김일성과 김정일. 서울 : 을유문화사
남경태. (2007). 종횡무진 한국사 (하). 서울 : 도서출판 그린비
조창용. (2005). 김일성과 항일무장투쟁. 중부일보 <조창용칼럼>
김일성이 보여줬던 주체사상 역시 인민들을 설득하고 권력을 잡기 위한 도구로 이용되었기도 했지만, 현재 김정일이 보여주는 사상은 심각한 북한모습을 보여주고 있기에, 북한의 주체적 모습을 찾고자 한다면 김정일이 주체적 인간으로서 면모를 가짐으로써 북한의 정치적 지도자로서 진정한 리더를 발휘할 때 주체사상은 그 모습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3. 경제전략에 대한 구조적 개혁필요
북한은 9년 연속 마이너스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총체적인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직접적으로 사회주의권의 붕괴, 연속된 자연재해의 발생에 기인하나 근본적으로는 북한 사회주의 계획경제가 지닌 각종 구조적 모순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한 광범위한 경제개혁의 추진 시 발생될 김정일 정권의 정치적 불안정, 경제개혁이 수반되지 않는 대외개방의 한계 등 각종 제약조건으로 인해 그 회생 여부가 크게 의문시되고 있다.
이런 것들로 인한 경제적인 성장의 불안정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주의계획경제체제의 전면적 개혁과 시장경제요소의 도입에 의해서 해결이 가능할 것이다.
북한의 식량난은 중국식 ‘농가생산청부제’로 전환하여 농업생산관계 자체를 구조적으로 개혁해야만 해결될 수 있는 과제를 안고 있으므로 이런 노력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4. 북한 언어의 정치적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혁명의 무기로서 철저한 의도 속에 조직되고 이데올로기적으로 위장된 북한의 정치 언어들의 이면에 감추어진 정치적 의도를 파악할 수 있어야만 북한 체제 본질에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북한에 대한 무비판적인 인식은 맹목적인 적대감만큼이나 위험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북한에 대한 객관적 인식을 통해서만 바람직한 통일정책을 준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Ⅴ. 결론
대통령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를 통해 리더로써 가진 자질과 그의 성향에 따라서 한 나라의 운명이 좌우될 수 있단 것을 실감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는 일본의 통치체제 하에서 독립을 하였고, 어쩔 수 없이 소련과 미국의 지휘 안에서 나라의 운명을 결정하게 되었다. 당시 상황에서는 한국과 북한의 리더들이 추구해야하는 조국의 하나된 모습을 그들은 지켜내지 못했다. 물론 분단된 조국을 하나로 합치는 역할에 대한 임무를 완벽히 수행하지는 못했으나 각 지도자들은 조국의 통일을 염원하고 있었다. 그러나 조국의 통일에 대해 서로 다른 체제 속에서 나라를 지도하고 있는 그들의 입장에선 각각 독립된 체제를 주장하며, 통일의 접근방식에 대해 많은 방법과 연구를 한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
각기 다른 체제 속에서 하나가 되는 조국을 기원할 때엔 부딪히게 되는 갈등이 있기 마련인 것이다.
그 속에서 한국과 북한의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체제를 유지하고, 그 체제를 정당화하기 위한 노력을 펼쳤으며, 한 나라를 건설하는 욕구 속에서 자신들의 지위를 다져온 것이다.
그렇게 다른 길로 나뉘어진 한국과 북한은 지금껏 통일에 대한 염원만 간직할 뿐 통일로 가는 길은 멀었는 듯 하다. 이렇게 반세기가 지난 현재의 모습에서 북한과 남한을 볼 수 있고, 두 조국 속에서 지금을 만들어 놓은 지도자들이 존재했다.
북한의 지도자들을 연구해 보면서 그들이 이뤄놓은 주체사상을 통해 그들의 모습도 볼 수 있게 되었다.
주체사상을 통해 북한의 외세의존적 태도에서 벗어나 자주적인 국가를 건설하려는 김일성의 모습을 보았고, 이 사상으로 자신의 권력을 뒷받침하기 위한 대중들을 설득하기 위한 그들의 언어적인 전략도 볼 수 있었다. 또한, 부자세습이란 어처구니없는 권력승계를 주체사상을 통해 정당화하는 그들의 모습도 엿볼 수 있었다.
현재 북한의 지도자 김정일은 김일성의 후계자로써 그 면모를 잘 발휘하고 있지는 않은 듯하다. 그의 아버지에게 이어받은 주체사상을 통해 주체적인 나라 건설보다 자신의 권력을 뒷받침하고 있는 도구로써 사상을 변질시키고 있기도 하다.
이 논문을 연구하면서, 대통령의 리더십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었다. 그 나라의 체제 속에서 지도자가 어떤 이념을 가지고, 어떻게 그 이념을 실천하는가, 그리고 나라를 지도하는 지도자의 입장으로써 국민들을 위한 진정한 지도자의 모습을 갖추고 있는가..등 지도자의 리더십을 통해 나라가 어지러울 수도 있고, 안정될 수도 있단 걸 절실히 깨달았다.
지도자로써 김일성과 김정일은 공산주의 체제 속에서 자신들의 사상을 통해 나라를 건설하고, 지금의 북한을 만들었지만, 과연 국제환경에 따라 나라의 위기와 존재가 중요시되는 이때에 김정일의 주체사상은 사상적으로 북한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지가 염려스럽다.
그의 사상은 변질되고 있고, 굶주리는 한 나라를 만들고 있을 뿐이다.
북한은 우리나라이며, 우리 조국이다. 하지만 지금의 북한을 이해하기에는 많은 역사적인 이해과정이 필요할 것이고, 한 핏줄에 대한 하나가 되는 과정을 심각히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통일에 대한 염원은 항상 모든 이들의 가슴속에 간직될 것이지만, 실질적인 북한을 이해하고, 그들과 통합되기 위해선 염원뿐만 아닌 그들을 알아가기 위한 노력도 상당히 중요할 것 같다.
대통령의 리더에 관한 연구를 통해 북한의 지도자들의 리더십을 연구했으며, 리더로써 그들의 지위에 존재했던 주체사상은 앞으로 북한의 존재를 더 악화시킬 우려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도자의 역할이 나라의 존폐를 결정하는데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단 걸 깨달으면서, 북한의 지도자 김정일의 리더 방식에 대한 염려 또한 가시지 않음을 느꼈다.
리더에 대한 연구이지만, 이 연구를 통해서 북한 주민들의 모습을 상상해 보았고, 제대로 된 리더의 모습을 김정일이 갖추기를 바라면서, 앞으로 김정일의 주체사상에 대한 연구를 비롯해 그의 정치적 리더 모습의 성향이 제대로 변화되는 과정을 담은 논문이 발표되는 날을 기다려본다.
<참고문헌>
서대숙. (2000). 현대 북한의 지도자 - 김일성과 김정일. 서울 : 을유문화사
남경태. (2007). 종횡무진 한국사 (하). 서울 : 도서출판 그린비
조창용. (2005). 김일성과 항일무장투쟁. 중부일보 <조창용칼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