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랑스의 중등교육
1. 중학교(Le collège)
2. 고등학교(Le lycée)
(1) 일반계 고등학교
① 고등학교 1년차
② 2학년과 3학년
ⓐ인문계열
ⓑ이공계열
(2) 직업고등학교(Lycée Professionnel)
(3) 기술 고등학교(Lycée Technique)
① 취득과정
② 교육기관
③ DUT와 BTS 취득 후 진로
④ 국제학교
⑤ 자율고등학교
⑥ 기술견습
프랑스의 고등교육
1. 대학(L'université) 교육
2. 프랑스의 대학과 한국 대학의 비교
(1)입학방법
①프랑스 ②한국
(2)대학서열
①프랑스 ②한국
(3)교육과정
①프랑스 ②한국
(4)규율 및 성적 산출
①프랑스 ②한국
(5)평점제도
①프랑스 ②한국
그랑제꼴 (Grandes écoles)
1. 중학교(Le collège)
2. 고등학교(Le lycée)
(1) 일반계 고등학교
① 고등학교 1년차
② 2학년과 3학년
ⓐ인문계열
ⓑ이공계열
(2) 직업고등학교(Lycée Professionnel)
(3) 기술 고등학교(Lycée Technique)
① 취득과정
② 교육기관
③ DUT와 BTS 취득 후 진로
④ 국제학교
⑤ 자율고등학교
⑥ 기술견습
프랑스의 고등교육
1. 대학(L'université) 교육
2. 프랑스의 대학과 한국 대학의 비교
(1)입학방법
①프랑스 ②한국
(2)대학서열
①프랑스 ②한국
(3)교육과정
①프랑스 ②한국
(4)규율 및 성적 산출
①프랑스 ②한국
(5)평점제도
①프랑스 ②한국
그랑제꼴 (Grandes écoles)
본문내용
T.S.를 준비하는 학생은 약 20여만 명으로 10년 전보다 3배 정도 증가 하였다. 그랑제꼴 준비반도 역시 고등학교에서 운영된다. 이외에도 무수히 많은 특수 전문 대학들이 고등 직업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2. 프랑스의 대학과 한국 대학의 비교
(1)입학방법
①프랑스
- 고등학교 졸업시험 (바깔로레아)
바깔로레아에 무사히 힙격하면 입학시험 없이 자기가 공부하고 싶은 학과를 선택해서 대
학 입학이 가능하다.
- 바깔로레아는 아래와 같은 계열로 나뉜다.
*일반계 3계열 : 문학(BAC L), 경제사회(BAC ES), 과학(BAC S)
*기술계 4계열 : 과학산업기술(BAC STI), 과학실험기술(BAC STL), 사회의학(BAC
SMS), 서비스공학(BAC STT)
*직업계 1계열 : 직업계(BAC pro)
②한국
-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수학능력평가 성적과 대학별 자체고사(면접, 논술시험 등)를 치룬 후, 우수 학생을 대학에서 선발한다.
(2)대학서열
①프랑스
- 일반 대학은 모두 국립이며 평준화되어 있다
- 학교 간의 우열이 없고 전공학과별로 권위 있는 대학이 있기는 하지만 대학간의 이동은
자유로운 편이다.
- 일반 대학과 달리 치열한 경쟁을 통해 입학할 수 있는 에꼴과 그랑제꼴은 여러 방면의 전문 고등 인력을 산출해내기 위한 교육 기관이다
②한국
- 대학 간 서열이 암묵적으로 정해져 있어 그에 따른 입시 경쟁이 치열하다
- 대학 간 교류가 활발하지 않으며, 대학 이동은 불가능하지 않으나 이 경우에도 대학 자체 의 선발 시험을 거치게 된다.
(3)교육과정
①프랑스
1기 : 일종의 교양학부이며 2년 과정이다.
2번의 학년말 시험을 세 번 이내에 합격해야 졸업이 가능하다.
합격하지 못하면 그 학과는 영원히 프랑스에서 공부할 수 없다.
DEUG와 DEUST가 있는데 DEUG는 주로 2기 과정으로 진입하기 위한 학위이고
DEUST는 직업 진출을 위한 학위이다.
2기 : 2년 과정이며, 각각 1년 과정인 LICENCE와 MAITRISE로 나뉜다.
LICENCE는 우리나라의 학사 학위에 해당하며 MAITRISE는 우리나라의 석사 학위 에 해당한다.
3기 : 1-2년 간의 DEA (박사예비과정학위)와 3-5년의 DOCTORAT(박사과정)을 거쳐 논문
을 제출하면 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②한국
- 학부제인 경우 1학년은 교양 과목을 수강하며, 2학년부터 전공을 배정받게 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1학년부터 전공을 배정받는다.
4학년의 학부과정을 졸업한 후, 학사 학위를 받고, 대학원에 진학하면 석사, 박사 학위 과
정을 밟게 된다.
(4)규율 및 성적 산출
①프랑스
- 모든 것은 학생들 스스로 알아서 하도록, 단 한 마디의 간섭도 안 하고, 1년 동안의 모든
수업과 학업에 관해서 순전히 학생들의 자유에 맡겨두며, 매년 한 학년이 끝날 때마다 학 년말 고사를 치러서, 떨어진 학생은 퇴학시킨다.
②한국
- 학과목에 따라 다르나 대부분 출석과 과제, 시험을 비슷한 비율로 성적에 반영하여, 성적
을 산출한다.
(5)평점제도
①프랑스
- 2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며, 10점 이상 받아야 과정 이수와 진학 가능하다.
20-17 : 최우수 tres bien
16-14 : 우수 bien
13-12 : 보통 assez bien
11-10 : 급제 passable
②한국
- 학교에 따라 다르나, 보통 4.5 혹은 4.3 만점을 기준으로 성적을 산출한다.
4.5점이 만점일 경우에
A+ : 4.5, A : 4.0, B+ : 3.5, B : 3.0, C+ : 2.5, C : 2.0, D+ : 1.5, D : 1.0, F : 낙제
그랑제꼴 (Grandes ecoles)
프랑스는 1968년 5월 혁명이후 전국 대학에 일련번호를 붙여 평준화를 시키고 선발 시험을 없앴다. 그리하여 고교 졸업반 학생들은 바깔로레아에 합격만 하면, 합격통지서를 받고 거주지와 법정 통학거리 이내에 있는 대학에 선착순으로 신청만 하면 국비 대학생이 저절로 되고, 대신 2년 후에 50%가 진급에 탈락하여 3학년에 승급하는 그 순간까지 그대로 머문다.
이에 프랑스 자국내의 비판도 만만찮다. 한 교실에 수백 명씩 몰리는 시장과 같은 강의실과 싸구려 교육평등주의에 편승한 엄청난 젊은 인력 낭비 같은 것들이다. 그러나, 우리가 주목해야하는 것은 프랑스의 엘리트 양성기관은 대학이 아니라 그랑제꼴(Grandes ecoles: “큰 학교”라는 뜻)이다. 나폴레옹 시대에 만들어진 국립토목학교에서부터 2차대전 이후에 창설된 국립행정학교(둠)에 이르기까지 그랑제꼴은 200년 넘게 프랑스를 지탱하고 있다.
선발 시험이 없는 대학과는 달리 그랑제꼴은 입학시험이 있다. 정원이 50명 정도인 고등사범이나 폴리테크닉에 들어가려면 우선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다시 2년간 준비반에 들어가야 한다. 이 준비만의 입학마저도 재수, 삼수는 기본이다.
경쟁력 없는 프랑스 대학에서는 바깔로레아를 통과한 둔재들이 시민들이 낸 세금으로 자기가 하고 싶은 공부를 국비로 하고, 나라를 이끌 미래의 인재들은 국민세금의 국비로 장학금을 별도로 지급받으면서 그랑제꼴에서 공부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데카르트 이후의 프랑스의 합리주의 정신의 하나이다.
그리고 또 하나, 그랑제꼴은 프랑스 시민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아울러, 이곳의 졸업자들도 그에 부응하는 국가적 사명감을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정기수, 「어떻게 교육을 하는가, 프랑스는? 그런데 한국은…」, 배영사, 2005.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프랑스 : 하나 그리고 여럿」, 강출판, 2004.
원윤수, 류진현, 「프랑스의 고등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임영희, 「프랑스의 고등교육」, 2000.
Meiller, Daniel, 김경랑 역, 「프랑스 학교」, 창해, 2000.
최호열, 「프랑스와 프랑스인」, 도서출판 어문학사, 1998.
서울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프랑스의 고등교육과 그랑제꼴」,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95.
프랑스 교육 연구부 http://www.education.gouv.fr
EDU FRANCE http://edufrance.fr
2. 프랑스의 대학과 한국 대학의 비교
(1)입학방법
①프랑스
- 고등학교 졸업시험 (바깔로레아)
바깔로레아에 무사히 힙격하면 입학시험 없이 자기가 공부하고 싶은 학과를 선택해서 대
학 입학이 가능하다.
- 바깔로레아는 아래와 같은 계열로 나뉜다.
*일반계 3계열 : 문학(BAC L), 경제사회(BAC ES), 과학(BAC S)
*기술계 4계열 : 과학산업기술(BAC STI), 과학실험기술(BAC STL), 사회의학(BAC
SMS), 서비스공학(BAC STT)
*직업계 1계열 : 직업계(BAC pro)
②한국
-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수학능력평가 성적과 대학별 자체고사(면접, 논술시험 등)를 치룬 후, 우수 학생을 대학에서 선발한다.
(2)대학서열
①프랑스
- 일반 대학은 모두 국립이며 평준화되어 있다
- 학교 간의 우열이 없고 전공학과별로 권위 있는 대학이 있기는 하지만 대학간의 이동은
자유로운 편이다.
- 일반 대학과 달리 치열한 경쟁을 통해 입학할 수 있는 에꼴과 그랑제꼴은 여러 방면의 전문 고등 인력을 산출해내기 위한 교육 기관이다
②한국
- 대학 간 서열이 암묵적으로 정해져 있어 그에 따른 입시 경쟁이 치열하다
- 대학 간 교류가 활발하지 않으며, 대학 이동은 불가능하지 않으나 이 경우에도 대학 자체 의 선발 시험을 거치게 된다.
(3)교육과정
①프랑스
1기 : 일종의 교양학부이며 2년 과정이다.
2번의 학년말 시험을 세 번 이내에 합격해야 졸업이 가능하다.
합격하지 못하면 그 학과는 영원히 프랑스에서 공부할 수 없다.
DEUG와 DEUST가 있는데 DEUG는 주로 2기 과정으로 진입하기 위한 학위이고
DEUST는 직업 진출을 위한 학위이다.
2기 : 2년 과정이며, 각각 1년 과정인 LICENCE와 MAITRISE로 나뉜다.
LICENCE는 우리나라의 학사 학위에 해당하며 MAITRISE는 우리나라의 석사 학위 에 해당한다.
3기 : 1-2년 간의 DEA (박사예비과정학위)와 3-5년의 DOCTORAT(박사과정)을 거쳐 논문
을 제출하면 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②한국
- 학부제인 경우 1학년은 교양 과목을 수강하며, 2학년부터 전공을 배정받게 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1학년부터 전공을 배정받는다.
4학년의 학부과정을 졸업한 후, 학사 학위를 받고, 대학원에 진학하면 석사, 박사 학위 과
정을 밟게 된다.
(4)규율 및 성적 산출
①프랑스
- 모든 것은 학생들 스스로 알아서 하도록, 단 한 마디의 간섭도 안 하고, 1년 동안의 모든
수업과 학업에 관해서 순전히 학생들의 자유에 맡겨두며, 매년 한 학년이 끝날 때마다 학 년말 고사를 치러서, 떨어진 학생은 퇴학시킨다.
②한국
- 학과목에 따라 다르나 대부분 출석과 과제, 시험을 비슷한 비율로 성적에 반영하여, 성적
을 산출한다.
(5)평점제도
①프랑스
- 2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며, 10점 이상 받아야 과정 이수와 진학 가능하다.
20-17 : 최우수 tres bien
16-14 : 우수 bien
13-12 : 보통 assez bien
11-10 : 급제 passable
②한국
- 학교에 따라 다르나, 보통 4.5 혹은 4.3 만점을 기준으로 성적을 산출한다.
4.5점이 만점일 경우에
A+ : 4.5, A : 4.0, B+ : 3.5, B : 3.0, C+ : 2.5, C : 2.0, D+ : 1.5, D : 1.0, F : 낙제
그랑제꼴 (Grandes ecoles)
프랑스는 1968년 5월 혁명이후 전국 대학에 일련번호를 붙여 평준화를 시키고 선발 시험을 없앴다. 그리하여 고교 졸업반 학생들은 바깔로레아에 합격만 하면, 합격통지서를 받고 거주지와 법정 통학거리 이내에 있는 대학에 선착순으로 신청만 하면 국비 대학생이 저절로 되고, 대신 2년 후에 50%가 진급에 탈락하여 3학년에 승급하는 그 순간까지 그대로 머문다.
이에 프랑스 자국내의 비판도 만만찮다. 한 교실에 수백 명씩 몰리는 시장과 같은 강의실과 싸구려 교육평등주의에 편승한 엄청난 젊은 인력 낭비 같은 것들이다. 그러나, 우리가 주목해야하는 것은 프랑스의 엘리트 양성기관은 대학이 아니라 그랑제꼴(Grandes ecoles: “큰 학교”라는 뜻)이다. 나폴레옹 시대에 만들어진 국립토목학교에서부터 2차대전 이후에 창설된 국립행정학교(둠)에 이르기까지 그랑제꼴은 200년 넘게 프랑스를 지탱하고 있다.
선발 시험이 없는 대학과는 달리 그랑제꼴은 입학시험이 있다. 정원이 50명 정도인 고등사범이나 폴리테크닉에 들어가려면 우선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다시 2년간 준비반에 들어가야 한다. 이 준비만의 입학마저도 재수, 삼수는 기본이다.
경쟁력 없는 프랑스 대학에서는 바깔로레아를 통과한 둔재들이 시민들이 낸 세금으로 자기가 하고 싶은 공부를 국비로 하고, 나라를 이끌 미래의 인재들은 국민세금의 국비로 장학금을 별도로 지급받으면서 그랑제꼴에서 공부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데카르트 이후의 프랑스의 합리주의 정신의 하나이다.
그리고 또 하나, 그랑제꼴은 프랑스 시민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아울러, 이곳의 졸업자들도 그에 부응하는 국가적 사명감을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정기수, 「어떻게 교육을 하는가, 프랑스는? 그런데 한국은…」, 배영사, 2005.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프랑스 : 하나 그리고 여럿」, 강출판, 2004.
원윤수, 류진현, 「프랑스의 고등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임영희, 「프랑스의 고등교육」, 2000.
Meiller, Daniel, 김경랑 역, 「프랑스 학교」, 창해, 2000.
최호열, 「프랑스와 프랑스인」, 도서출판 어문학사, 1998.
서울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프랑스의 고등교육과 그랑제꼴」,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95.
프랑스 교육 연구부 http://www.education.gouv.fr
EDU FRANCE http://edufrance.fr
추천자료
- 사회복지로서의 가족수당 교육정책 주택정책
- 외국의 중등 실업교육 개편 동향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 외국 대안 교육의 내용과 현실
-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감정교육'
- 우리나라와 여러나라의 유아교육 교원양성과 임용 비교
- 주5일수업제(주5일제수업)의 개념, 의의와 주5일수업제(주5일제수업)의 긍정적견해, 부정적견...
- 외국의 초등 교육 측정과 평가
- 세계의 유아교육제도
- 프랑스어(불어)의 실태와 법적 지위, 프랑스어(불어)의 자음 구조, 프랑스어(불어)의 통사적 ...
- 프랑스어(불어)의 발전과정, 프랑스어(불어)의 관련정부기구, 프랑스어(불어) 올바른 용법, ...
- 프랑스어(불어)의 성격, 프랑스어(불어)의 법적지위, 프랑스어(불어)의 음절구조, 프랑스어(...
- 국가주의 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