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국가] 월남 패망을 다시 생각한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쟁과 국가] 월남 패망을 다시 생각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가. 월남과 미국의 내부의 문제점은 무엇이었나?
1) 월남전쟁은 내전이 아니다.
2) 월남의 적은 누구였나?
3) 월남 지식인과 젊은 학생들은 무엇을 했나?
4) 지도자의 지지도와 당시 사회상은?
5) 미국과 월남의 국민의지는?
6) 힘의 중심(Center of Gravity)이 된 언론은?
7) 위험(危險)에 대한 극복 노력은?
8) 국내조건은?
9) 공포(恐怖)의 통제와 공황(恐慌 : Panic)의 현상은?
나. 전쟁원칙에서 본 패전(敗戰)의 원인
1) 전략(戰略) 전술(戰術) 개념 적용은?
2) 목표(目標)선정은 적절했나?
3) 공세(攻勢)의 원칙은 잘 적용되었나?
4) 집중(集中), 절약, 기동(機動)의 원칙 적용은?
5) 지휘(指揮)통일(統一)은 잘 되었나?
6) 경계(警戒) 및 기습(奇襲)의 원칙은?
7) 간명(簡明)의 원칙은?
8) 부자(富者)의 전술, 가난뱅이 전술
9) 미 행정부의 간섭(干涉)
10) 헬기의 문제점
다. 공산 혁명(革命)과 학살(虐殺)
1) Karl Marx의 전쟁
2) 월남 패망국에는 무엇이 일어났나?
3) Russia 혁명 후에는?
4) 중국 혁명 후에는
5) 한국 전쟁 시에는?
6) 캄보디아 에서는?

3. 결론

본문내용

짊어져야 할 대학생들이 월남의 미래를 걱정하기는커녕 오히려 정부에 반기를 드니 내부의 문제가 심각했음은 불 보듯 뻔하다. 이런 분위기를 이용하여 월맹 노동당 비밀당원인 사이공 의대생 Mam은 학생운동을 교모히 조종하였으며, 경찰이 시위주동자인 Mam을 체포하자 석방하라는 시위와 수업거부가 계속되었다. 나라가 어려운 시기에 학생들은 이처럼 정부와 대립하였다. 티우(Thieu) 정권에 반대한다는 구실이 있었으며, 티우(Thieu)가 재선에 성공하자 전국은 거의 무정부 상태과 되어서 혼란이 극에 달하였으며 월맹이라는 눈앞의 무서운 적을 보지 못했다. 미국에서는 월남전 반전운동이 전개되어서 미국은 미국 나름대로 시끄러웠으며 반 티우(Thieu) 전선이 형성되어 있어 그것이 월맹의 뜻대로 움직이자 월맹은 승리를 확신하고 무력도발을 하기에 이른다. 결국 내부로부터의 혼란은 월맹에게 호기로 작용한 것이다. 한국의 경우 6.25를 돌아보더라도 비슷한 상황을 볼 수 있다. 광복 직후 한국 내부의 혼란은 북한에게 하나의 호기로 작용했던 것이다.
4) 지도자의 지지도와 당시 사회상은?
월맹의 호 지명은 8년간 대불항쟁을 주도하여 독립을 가져온 민족지도자로 부각되어있다. 베트남이 중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중국으로부터 배운 것이라곤 각종 부정부패뿐이라는 것을 하는 월맹은 강력한 통제를 실시하여 언론과 집회를 철저히 통제하여 불만이 노출되지 않도록 했다. 반면에 월남의 Diem 대통령은 시간이 지나면서 권위주의적인 인물로 변했고 월남 내부에서는 부정부패는 심화되고 매관매직이 성행하고, 직위에는 공식 가격이 매겨지고 급행료와 사례금이 공식화되었다. 미국의 원조가 개인의 욕심을 채우는데 사용되고 인구의 대부분은 엄청난 물가상승에 허덕이고 토지문제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월남은 지도자들부터 부정부패가 만연했기에 사회상은 보나마나이었던 것이다. 인사정책이 실패하고 부정부패는 갈수록 더해만 가고 토지문제 역시 실패하고 정치인들은 사리사욕을 챙기기에 바뻐 사회는 내부에서 금이 가고 있었다. 60년대 초반 무려 16번의 쿠데타가 일어났고 티우(Thieu)가 1867년 선거에서 대통령이 되기 이전 3년 10 개월동안 정권교체가 10번이나 시도되었다. 월맹과의 전쟁에 집중해야 할 군대는 내부의 싸움에 동원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 내부에 침투한 간첩에 의해 혼란은 더욱 심해져만 갔고, 반정부 투쟁의 주모자가 국민의 영웅(英雄)이 되는 이상한 현상이 나타났다. 적과 싸워야 할 군대가 타락하니 월맹과의 전쟁은 진 것이나 다름없었다. 직책이 돈에 팔려나가고 승진은 혈연, 지연, 재산으로 결정났다. 25.000정의 소총과 8.000대의 무전기를 베트콩에게 팔아먹은 군의 이야기는 부정부패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준다. 적과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도자가 국민의 지지를 얻지 못하며 사회의 리더들이 부패에 빠지니 월남은 스스로 무너질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5) 미국과 월남의 국민의지는?
전쟁을 수행함에 있어 그 나라의 국민의 지지는 필수적이다. 국민의 대다수가 반대하는 전쟁은 성공적일 수 없다. 그라나 미국은 국회의 동의 없이 월남에 군대를 보내고 선전포고도 없이 전쟁에 참여하여 미국 내에서 상당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결국 미군은 월남에서 철수하였다. 월남 또한 미국에게 전쟁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같은 문제까지 떠넘김으로서 전쟁의지를 상실했다. 월남의 지도자는 전쟁의 승리보다는 자신의 정쟁에만 관심이 있었고 월남의 국민 또한 전쟁에 적극적인 참여가 없었기에 월남 측을 볼 때 총체적으로 월남전에 대한 의지가 없었던 것이다. 그런 상태에서 미국이 개입을 하여 전쟁을 하니 아무리 우수한 화력을 자랑하더라도 전쟁에 대한 의지가 없는 월남은 군대는 이길 수가 없었던 것이다. 여기서 국가가 어떠한 일을 추진함에 있어서 국민의 지지가 얼마나 중요한 지 알 수 있다.
6) 힘의 중심(Center of Gravity)이 된 언론은?
월남전 때에는 TV가 등장하여 전투현장이 월남의 안방까지 전달되었던 시기이다. 전쟁을 함에 있어선 살생이 있을 수가 없는 그 자체가 잔인한 것인데도 불구하고 월맹의 수도인 하노이를 폭격하는 현장을 TV를 통해 보고는 비 인도주의라는 여론이 일어났다. 미 공군의 폭격으로 울어대는 소녀의 모습이 언론에 의해 전파되자 미국 국민은 자국 군대에 대해 잔인성을 느끼고 혐오감을 낳게 되는 오류를 범했다. 언론은 전쟁이라는 상황에 대해 제대로 이해를 시키지는 못할망정 여론을 잘못 이끌어 월남전을 부도덕한 전쟁으로 인식하게끔 하였던 것이다. 국익을 생각하지 않고 특종만을 찾아다니는 카메라는 전쟁에 조금의 도움도 되지 못하고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키기만 했다. 이처럼 힘의 중심이 된 언론이 이적행위를 하자 월맹은 이를 이용하여 맹렬한 비난을 퍼부었으며 국내 TV마저 여론을 월맹에게 유리하게 만드는 데 큰 기여를 했다. 그리하여 월남 측에선 반전시위가 들끓었고 여론은 월맹 측으로 넘어가 월맹에게 힘이 되었다. 언론은 생생한 보도도 중요하지만 국익을 생각해야 한다는 것을 망각한 것이다. 그러한 언론이 판칠 때 한 국가의 여론은 정부를 등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7) 위험(危險)에 대한 극복 노력은?
전쟁에 임할 때는 적에 대한 공포에서 비롯한 선입견을 버려야 하며 극복해야만 한다. 만약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상대방의 위협에 굴복하게 되며 전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없다. 한국전의 경우 중공군에 개입에 대한 미국의 판단이 그러하였으며 중공의 핵실험 성공에 대한 미국을 비롯한 연합군의 두려움이 바로 그것이었다. 월남전의 경우 미국은 자국의 여론을 두려워하여 결국 미국은 월맹군과 싸움 한번 제대로 못해보고 월남에서 철수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는 모든 전쟁이 마찬가지이다. 전쟁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그 전쟁에서는 절대 승리할 수 없다.
8) 국내조건은?
월남의 입장에서 적은 월맹, 라오스, 캄보디아와 연하는 1천마일 이상의 국경을 이용하여 지원을 받았고, 이곳에 병력을 보존했다. 반면에 월남은 중요 군사 및 민간시설 경계뿐만 아니라 주민과 촌락도 보호해야 했기에 각지에 분산된 병력은 월맹군에게 각개격파 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7.13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4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