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Acting nurse (간호활동)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형외과 Acting nurse (간호활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활력징후 및 위생간호 (구강간호, 회음간호, Tracheostomy 관리)

2. 무균술 부위별 Dressing, Irrigation 방법 ( 손씻기, 소독물품 관리 및 사용법)

3. 수술 전, 후 간호

4. 냉, 온요법 (Aircast 사용) 및 통증관리 (PCA 사용방법)

5. 영양관리 및 안전관리

6. 배설 관리 (관장, 단순도뇨, 유치도뇨, 각종 tube 관리(L-tube, T-tube, R-tube, H-vac관리))

7. Cast

8. Splint

9. Traction

10. 투약 간호 Ⅰ

11. 투약 간호 Ⅱ

12. 수혈 관리

13. 혈당 측정법 및 인슐린 주사제 사용법

14. 산소요법과 흡인 간호

15. 감염관리 및 욕창간호

16. 입원, 퇴원 관리

본문내용

- 심리적, 정서적 불편감 완화
대화나 음악을 통해 대상자의 주의를 다른곳으로 돌림
잠시동안 심호흡을 하도록 격려
아동의 경우 두려워 하는 감정을 수용하며 주사과정을 빨리 끝낸다
1) 근육주사
: 조직을 자극하는 약물을 근육에 깊숙히 주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
: 한 부위에 1회 주입용량은 최대 4ml 까지
(1) 근육주사부위
① 둔근의 배면(dorsogluteal site) : 근육주사시 가장 많이 쓰는 부위
주로 중둔근과 일부의 대둔근을 포함
부위선정방법 - 후상장골극과 대전자를 연결한 선의
상외측 부위
3세미만의 아동에겐 근육발달 미비로 사용 못함
② 둔근의 복면(ventrogluteal site)
: 실금대상자에서도 대소변 오염이 적은 부위
중둔근과 소둔근을 포함
부위선정 방법 - 간호사의 손바닥을 대전자위에 놓고 시지는 전상장골극에 놓고 중지는 장골능을 따라 벌려서 V자형태의 중심부위에 주사
7개월 이상된 아동과 어른에게 가능
③ 외측광근(vastus lateralis)
: 근육발달이 좋고 심한 손상의 위험이 없어 자주 권함
대퇴의 앞쪽 중간에서 옆쪽 중간부위(3등분하여 중간부위)
주사시 자세 - 앙와위, 좌위
둔근발달이 미약한 영아와 아이에게 유용한 부위
성인의 경우에도 자주 이용(self injection)
④ 대퇴직근(rectus femoris) : 대퇴의 앞쪽에 있는 근육
: 자가주사시 이용되며 앙와위와 좌위에서 가능
⑤ 삼각근 (deltoid site)
: 상박의 외측에 위치 / B형간염 접종에 사용
근육량이 적어 잘 사용치 않음
요골동맥과 요골신경을 건드릴 위험있고 많은 양의 약
물흡수 불능
성인에게만 가능한 부위
최대 주입용량이 1ml
주사부위 선정 - 견봉돌기 하단과 액와선 사이의 역삼
각형 부위
(2) 주사방법
- 1회당 4ml 이상은 주입 못함
- 21 ~ 23G의 2.5 ~ 3.8cm 길이의 주사침 이용
- 주사기를 90°로 창을 던지듯이 재빠르게 찌르고 혈액이
나오는지 내관 당겨본다
- 약물주입은 서서히(1cc를 10초동안 주입)하고 주사후 부드럽게 마사지 → 기록
(3) 근육주사 및 피하주사시 통증 줄이는 방법
- 가능한 제일 가는 주사침과 적절한 길이의 주사침 선택
- 피하조직에 자극성있는 약물은 주사침 주위에 약물이
묻지않게함
- 주사침은 재빠르게 찌르고 같은 각도로 빨리 뽑는다
- 약물은 서서히 주입(근육주사시 최소 15초이상 유지)
- 계속 주사 맞아야 할 경우는 돌려가면서 주사
- Z-track 방법으로 주사
(4) 근육주사 손상 및 합병증
- 통증 및 불편감
- 피하, 근육조직에 흡수되지 못한 단단한 덩어리 형성
- 말초신경 손상(일시적 혹은 영구적 마비)
- 뼈손상(통증. 손상-골막염)
- 약물의 기대이상의 빠른 흡수
- 근육조직의 감염
2) 피하주사
: 피하는 진피와 근육 사이에 존재
: 근육층만큼 굵은 혈관 분포가 없어 근육주사보다 흡수 가 느림
: 조직에 대한 약물의 자극성도 크다
(1) 피하주사부위 선정
: 상박의 외측, 대퇴의 앞쪽, 복부의 아래쪽, 등의 상부, 복둔근과 배둔근의 위쪽 옆구리
(2) 주사기와 주사침 : 약물에 따라 다름
① 1.2 ~ 2.5cm길이의 25G 주사침을 주로 사용
② 주사용량은 1ml이하
(3) 주사방법
① 주사바늘의 각도는 보통 45˚로 하나 비만이나 피하지 방층이 두꺼운 경우 90˚로 주사
② 주사침을 찌른후 내관을 당겨보아 혈액의 유무 확인
③ 헤파린과 인슐린 주사시는 마사지 안함
④ 다른 약물 주사시 마사지하여 흡수 돕는다
⑤ 지속적인 인슐린 투여시 먼저 주사한 부위로부터 1.5 인치이상 떨어진 곳에 주사하며 주사부위 기록표를 작성 환자의 침상가에 부착 → 환자와 간호사가 기 록하며 알도록 함
⑥ 인슐린이 혈액으로 이동하는 속도가 복부에서 가장 빠르므로 자가주사시 추천되는 부위
3) 피내주사
- 표피 바로 아래 진피에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
: 모든 비경구 투약중 가장 흡수가 느린 경로
: 각종 약물의 알러지 테스트(AST)에 이용
: 약물에 대한 반응을 눈으로 쉽게 볼 수 있고 반응정도 비교 가능
① 피내주사 부위
: 전박의 내측면, 흉곽의 상부, 등상부, 상박의 외측면
② 주사기
: 1cc주사기 사용 / 주입용량 - 0.01 ~ 0.02ml
: 수포의 직경 - 3 ~ 4mm가 되도록 약물주입
③ 주사후 반응 판독
: 발적직경 및 팽진직경으로 음성/의양성/양성 구분
튜베르쿨린 반응(Manteaux test) : 검사후 48 ~ 72시간후에 판독
- BCG 접종 대상자 선정이 목적일때 팽진직경이 5mm이상이면 양성, 이하면 음성
- 이미 BCG접종을 받은 대상자는 10mm이상이면 양성, 이하면 음성
④ 주사방법 : 주사각도는 피부와 근접한 15˚로 하며 주사바늘의 사면이 위로 가게하여 수포를 직경 5mm정도로 만들고 → 주사바늘을 뺀후 문지르면 안되고 살짝 닦아준다 → 수포주위를 볼펜으로 그려서 표시하고 약명과 시간을 기록함
2. AST 방법
1) 목적-질병을 진단하고 약물의 과민반응을 알아보기 위 함이다.
2) 방법
①주사기를 오른손의 위로 가게 한다.
②피부와 15도 각도로 바늘의 경사진 면을 위로 향하게 한 후 왼손으로 피부를 탱탱하게 잡고 피부 외측 바로 밑에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낭포가 0.5~1cm 되게 약물을 주입한 후 주사바늘을 뺀다.
③마른 멸균거즈로 주사부위를 닦아낸다. 마사지는 하지 않는다.
④낭포의 둘레, 주사약명, 주사일시를 표시한 후 항생제는 15분 후,MR test는 48~72시간 후에 판독한다.
3.Infusion Pump 사용법
1)사용목적
-주입할 정확한 양의 수액을 정확한 시간동안 주입하기 위해 사용하며, 총 주입해야 할 양을 정한 후 사용하고자 할 때에도 사용합니다.
2)사용방법
① IV pole에 pump의 clamp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접속시킵니다.
② 전원을 연결합니다.
③ Pump의 문을 열고 기계 뒤에 있는 POWER 스위치를 켭니다.
④ Infusion pump용 수액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9.08.09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8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