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방언어휘(방언의 어휘)의 의미
Ⅲ. 방언어휘(방언의 어휘)의 특성
Ⅳ. 황해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1. 동사 부류
2. 형용사 부류
3. 부사 · 감탄사 부류
Ⅴ. 경상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Ⅵ. 경상남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1. 입천장소리되기로 인해 바뀐 어형
1) /ㄱ/입천장소리되기로 인해 바뀐 어형
2) /ㅎ/ 입천장소리되기로 인해 바뀐 어형
2. 자음의 간극동화로 인해 바뀐 어형
1) /ㄴ/의 간극동화로 인해 바뀐 어형
2) /ㄷ/의 간극동화로 인해 바뀐 어형
3. 전설모음화로 인해 바뀐 어형
1) /ㅡ/>/ㅣ/
2) /ㅜ/ > /ㅣ/
3) /ㅏ/>/ㅣ/
4) /ㅓ/>/ㅣ/
5) /ㅗ/>/ㅣ/
Ⅶ. 함경북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1. 어휘
2. 음운
Ⅷ. 결론
참고문헌
Ⅱ. 방언어휘(방언의 어휘)의 의미
Ⅲ. 방언어휘(방언의 어휘)의 특성
Ⅳ. 황해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1. 동사 부류
2. 형용사 부류
3. 부사 · 감탄사 부류
Ⅴ. 경상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Ⅵ. 경상남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1. 입천장소리되기로 인해 바뀐 어형
1) /ㄱ/입천장소리되기로 인해 바뀐 어형
2) /ㅎ/ 입천장소리되기로 인해 바뀐 어형
2. 자음의 간극동화로 인해 바뀐 어형
1) /ㄴ/의 간극동화로 인해 바뀐 어형
2) /ㄷ/의 간극동화로 인해 바뀐 어형
3. 전설모음화로 인해 바뀐 어형
1) /ㅡ/>/ㅣ/
2) /ㅜ/ > /ㅣ/
3) /ㅏ/>/ㅣ/
4) /ㅓ/>/ㅣ/
5) /ㅗ/>/ㅣ/
Ⅶ. 함경북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1. 어휘
2. 음운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지역 방언에 대한 조사는 방언이 반영된 문학 작품의 창작과 이해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고 지역 정서가 반영된 문화를 이해하고 보존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문학 작품이 언어예술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예술적인 표현 수단인 언어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문학을 올바로 이해할 수 없다. 특히 향토성이 짙은 문학 작품 속에 반영된 방언의 이해는 문학 작품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김소월이나 백석의 시, 김유정이나 최명희의 소설 등에 쓰인 방언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문학 작품을 오해해 왔던 점을 상기할 때 방언이 문학 작품의 이해와 해석에 결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예컨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강원도 출신인 김유정의 소설 동백꽃을 흔히 붉은색 동백꽃으로 오해하고 있다. 그런데 소설에서는 산 중턱에 한창 피어 퍼드러진 노란 동백꽃의 알싸한, 그리고 향긋한 그 냄새로 묘사되어 있다. 강원도 방언에서는 동백꽃이 노란색이고 이것이 표준어의 붉은색 동백꽃과 다른 종류인 생강나무 꽃을 가리킨다는 사실을 이해할 때 비로소 소설 동백꽃을 제대로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지용의 시 향수에 나오는 얼룩백이 황소의 얼룩백이가 젖소가 아닌 우리의 토종 한우에 흰 점이 박힌 모습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때 비로소 뒤에 이어지는 게으른 금빛 울음을 우는 곳이 이해되고 동요의 얼룩송아지와 얼룩소가 가진 정서와 문화가 이해된다.
거꾸로 방언은 문학 작품 창작에도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역의 정서와 문화를 응축하여 표현할 수 있는 방언을 구사함으로써 지역과 지역 문화와 정서를 반영하는 문학 작품을 문학 작품답게 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방언은 단순히 지역어나 사투리 정도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방언을 사용하는 지역 주민들의 삶을 반영하게 된다. 방언을 콘텐츠화 할 경우 방언을 문화 산업의 밑거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방언은 언어 자료로서의 가치뿐만이 아니라 방언을 타 학문 분야나 산업과 연계시킬 때 학제간의 연구 및 산업화의 원천이 될 수 있다. 현재 방언으로 휴대전화의 음성을 지원하는 것도 방언을 산업과 연계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표준어로만 되어 있는 전래동화를 각 지방의 방언으로 변환한다면 그 지방의 방언을 반영하는 지역의 정서와 문화를 전달하고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렇게 방언으로 변환한 동화를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등 문화 산업과 연계시킨다면 빨간머리 앤이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백설공주와 일곱 난장이를 보고 머리를 붉게 물들이고 환상에 빠진 공주병 환자가 될 것이 아니라, 우리의 정서에 어울리는 콩쥐와 밭쥐나 해와 달 이야기를 산업화하여 가족과 이웃을 생각하게 하는 문화 산업을 육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순 우리의 토종 방언을 문화와 사업에 연계시킬 때만이 가능하다.
Ⅱ. 방언어휘(방언의 어휘)의 의미
일반적으로 방언이란 독립된 언어체계를 가진 한 어휘의 변종이라고 정의한다. 그러므로 한국어방언이란 독립된 언어체계를 가진 한국어의 변종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한국어의 변종인 방언은 한반도 내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가까이는 일본과 중국에도 있고 멀리는 미국과 카자흐스탄에도 있다. 일본, 중국 등의 해외 거주 동포들이 사용하는 한국어는 대개 그곳으로 이주한 조상들의 말이 근간을 이루기는 하겠지만, 오랜 세월에 걸쳐 변화함으로써 새로운 언어체계를 가진 한국어의 한 변종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국어 방언은 연대를 알 수 없는 먼 옛날부터 분화와 통합을 거듭하면서 독자적으로 또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변해왔다. 한국어 방언은 1960년대까지 비교적 안정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전수되었다. 그 시기까지 대도시를 제외하고는 농업이 주된 생계의 수단이었으며 단독 주택에서 대가족이 함께 살았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집 안에서는 부모와 조부모들의 말을 들으면서 그리고 집 밖에서는 이웃 어른들의 말을 들으면서 자랐다.
그러는 중에 자연스럽게 어른들이 사용하는 우리 고유어를 습득할 수 있었고 그렇게 우리의 고유어는 한자어, 외래어와 함께 다음 세대로 또 다음 세대로 전수될 수 있었다. 그런데 1970년대부터 우리 사회에는 일대 변혁이 일어났다. 종래의 농업 중심의 사회는 점차 산업 중심의 사회로 바뀌었다. 그와 함께 지방의 젊은층이 대도시로 집중함에 따라 가족의 단위가 대가족에서 부모와 자식들만이 생활하는 소가족으로 바뀌었다. 도시의 가옥 형태도 개인 주택에서 아파트로 바뀌었다.
Ⅲ. 방언어휘(방언의 어휘)의 특성
우리가 쓰는 말은 아주 다양하여 하나의 개념에 대하여 둘 이상의 단어를 사용하는 때가 많다. 이 다양성은 방언 어휘 분야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하나의 단어에 여러 가지의 방언형을 쓰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새우\'의 방언형으로 \'생이, 새뱅이, 새갱이, 새강지, 새웅개, 새비\' 등을 비롯하여 모두 10여 개의 방언형이 쓰이고 있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어휘의 양을 늘려 국어를 살찌우고자 할 때에는 단어를 다양하게 구사하는 버릇을 들이는 것이 좋다. 이것은 우리말의 향기와 맛을 더하는 지름길이 될 뿐만 아니라 국어 사랑을 실천하는 방편이 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 방언의 다양성이 문제를 일으키는 때가 적지 않은데 그 예로서 어느 날 담임선생님께서 내일까지 \'새비\'를 하나씩 가져오라고 하셨다. 처음에는 그 말이 무엇을 뜻하는지 얼른 알아들을 수가 없었다. 당시에 사용하던 말로는 \'새비\'가 \'새우\'를 지칭하는 것이었기에 도대체 왜 학교에 \'새우\'를 가져오라고 하는지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이다. 나중에야 담임선생님이 \'새비\'를 \'새 빗자루\'의 뜻으로 말한 것임을 알고 혼자서 쓴웃음을 지은 적이 있다. 이처럼 방언에 얽매이면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때가 적지 않다. 방언의 다양성은 역설적으로 표준어 사정의 필요성을 대변해 준다. 어느 것이 두루 쓰이고 권할 만한 말인지 결정해 주지 않는다면 여러 방언의 화자들이 앞을 다투어 자신의 방언형이 표준이 되고 규범으로 삼을 만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실제로 가나다 전화를 통하여 경북의 한 방언 화자가 \'뚫어\'는 잘못된 말이므로 \'
거꾸로 방언은 문학 작품 창작에도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역의 정서와 문화를 응축하여 표현할 수 있는 방언을 구사함으로써 지역과 지역 문화와 정서를 반영하는 문학 작품을 문학 작품답게 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방언은 단순히 지역어나 사투리 정도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방언을 사용하는 지역 주민들의 삶을 반영하게 된다. 방언을 콘텐츠화 할 경우 방언을 문화 산업의 밑거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방언은 언어 자료로서의 가치뿐만이 아니라 방언을 타 학문 분야나 산업과 연계시킬 때 학제간의 연구 및 산업화의 원천이 될 수 있다. 현재 방언으로 휴대전화의 음성을 지원하는 것도 방언을 산업과 연계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표준어로만 되어 있는 전래동화를 각 지방의 방언으로 변환한다면 그 지방의 방언을 반영하는 지역의 정서와 문화를 전달하고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렇게 방언으로 변환한 동화를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등 문화 산업과 연계시킨다면 빨간머리 앤이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백설공주와 일곱 난장이를 보고 머리를 붉게 물들이고 환상에 빠진 공주병 환자가 될 것이 아니라, 우리의 정서에 어울리는 콩쥐와 밭쥐나 해와 달 이야기를 산업화하여 가족과 이웃을 생각하게 하는 문화 산업을 육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순 우리의 토종 방언을 문화와 사업에 연계시킬 때만이 가능하다.
Ⅱ. 방언어휘(방언의 어휘)의 의미
일반적으로 방언이란 독립된 언어체계를 가진 한 어휘의 변종이라고 정의한다. 그러므로 한국어방언이란 독립된 언어체계를 가진 한국어의 변종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한국어의 변종인 방언은 한반도 내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가까이는 일본과 중국에도 있고 멀리는 미국과 카자흐스탄에도 있다. 일본, 중국 등의 해외 거주 동포들이 사용하는 한국어는 대개 그곳으로 이주한 조상들의 말이 근간을 이루기는 하겠지만, 오랜 세월에 걸쳐 변화함으로써 새로운 언어체계를 가진 한국어의 한 변종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국어 방언은 연대를 알 수 없는 먼 옛날부터 분화와 통합을 거듭하면서 독자적으로 또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변해왔다. 한국어 방언은 1960년대까지 비교적 안정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전수되었다. 그 시기까지 대도시를 제외하고는 농업이 주된 생계의 수단이었으며 단독 주택에서 대가족이 함께 살았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집 안에서는 부모와 조부모들의 말을 들으면서 그리고 집 밖에서는 이웃 어른들의 말을 들으면서 자랐다.
그러는 중에 자연스럽게 어른들이 사용하는 우리 고유어를 습득할 수 있었고 그렇게 우리의 고유어는 한자어, 외래어와 함께 다음 세대로 또 다음 세대로 전수될 수 있었다. 그런데 1970년대부터 우리 사회에는 일대 변혁이 일어났다. 종래의 농업 중심의 사회는 점차 산업 중심의 사회로 바뀌었다. 그와 함께 지방의 젊은층이 대도시로 집중함에 따라 가족의 단위가 대가족에서 부모와 자식들만이 생활하는 소가족으로 바뀌었다. 도시의 가옥 형태도 개인 주택에서 아파트로 바뀌었다.
Ⅲ. 방언어휘(방언의 어휘)의 특성
우리가 쓰는 말은 아주 다양하여 하나의 개념에 대하여 둘 이상의 단어를 사용하는 때가 많다. 이 다양성은 방언 어휘 분야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하나의 단어에 여러 가지의 방언형을 쓰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새우\'의 방언형으로 \'생이, 새뱅이, 새갱이, 새강지, 새웅개, 새비\' 등을 비롯하여 모두 10여 개의 방언형이 쓰이고 있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어휘의 양을 늘려 국어를 살찌우고자 할 때에는 단어를 다양하게 구사하는 버릇을 들이는 것이 좋다. 이것은 우리말의 향기와 맛을 더하는 지름길이 될 뿐만 아니라 국어 사랑을 실천하는 방편이 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 방언의 다양성이 문제를 일으키는 때가 적지 않은데 그 예로서 어느 날 담임선생님께서 내일까지 \'새비\'를 하나씩 가져오라고 하셨다. 처음에는 그 말이 무엇을 뜻하는지 얼른 알아들을 수가 없었다. 당시에 사용하던 말로는 \'새비\'가 \'새우\'를 지칭하는 것이었기에 도대체 왜 학교에 \'새우\'를 가져오라고 하는지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이다. 나중에야 담임선생님이 \'새비\'를 \'새 빗자루\'의 뜻으로 말한 것임을 알고 혼자서 쓴웃음을 지은 적이 있다. 이처럼 방언에 얽매이면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때가 적지 않다. 방언의 다양성은 역설적으로 표준어 사정의 필요성을 대변해 준다. 어느 것이 두루 쓰이고 권할 만한 말인지 결정해 주지 않는다면 여러 방언의 화자들이 앞을 다투어 자신의 방언형이 표준이 되고 규범으로 삼을 만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실제로 가나다 전화를 통하여 경북의 한 방언 화자가 \'뚫어\'는 잘못된 말이므로 \'
추천자료
고구려말 문헌자료연구
남·북한 언어 이질화 탐구와 통일 후 생길 언어 문제 해결 방안 고찰
미국영어와 영국 영어의 차이점
영어구문 미국과 영국영어 비교
전설모음화
[남북한 표준어][남북한 언어관][남북한 언어정책][남북한 언어사용][어문정책]남북한의 표준...
2009년 2학기 국어사 기말시험 핵심체크
국어의 역사(김무림) 요약, 정리
[영어][모음][자음][음운현상][운율][은유][영어 시][영어 일기]영어의 역사, 영어의 모음, ...
현대국어사 - 우리말 연구
2014년 1학기 우리말의역사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4년 1학기 우리말의역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우리말의역사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