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형외과 check list
-cast 대상자 간호
-Traction 대상자 간호
-splint and brace care
-하반신 마비 대상자 간호
-절단대상자 간호
-관절성형술 대상자 간호(TKR)
-수술 전 대상자 간호
-수술 후 대상자 간호
-척추관 협착증 대상자 간호
-척추골절전위 대상자 간호
-척추증 대상자 간호
-탈구 대상자 간호
-호흡기계 대상자간호
-수액요법과 간호
-수혈요법과 간호
-배액간호
-재활간호
+ 치과
-Fracture of facial bone
-abscess of mouth
-Radicular & jaw cyst
-Mn. Rt. condyle Fx (하악골 과두 골절)
-Mn. prognathism (상악전돌증)
+ 안과
-DM retinopathy
-Epiretinal membrane
-cast 대상자 간호
-Traction 대상자 간호
-splint and brace care
-하반신 마비 대상자 간호
-절단대상자 간호
-관절성형술 대상자 간호(TKR)
-수술 전 대상자 간호
-수술 후 대상자 간호
-척추관 협착증 대상자 간호
-척추골절전위 대상자 간호
-척추증 대상자 간호
-탈구 대상자 간호
-호흡기계 대상자간호
-수액요법과 간호
-수혈요법과 간호
-배액간호
-재활간호
+ 치과
-Fracture of facial bone
-abscess of mouth
-Radicular & jaw cyst
-Mn. Rt. condyle Fx (하악골 과두 골절)
-Mn. prognathism (상악전돌증)
+ 안과
-DM retinopathy
-Epiretinal membrane
본문내용
Thomas collar보다 경추의 운동제한이 큼
-Halo vest
경추골절 및 추궁절제술 상태에서 가슴에서 머리까지 완전 고정하며 두개골에 핀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고정력이 아주 큼. 경추 보조기 중에서 척추 운동제한이 가장 큼
관찰
- TLSO brace
요추를 보호하기위하여 TLSO 착용하며 환자복 위에 보조기를 차고 있었다.착용시에는 누워서 착용한다.
- Night splint야간에 사용하는 splint로 찍찍이로 되어 있어 착용하고 벗기 쉽게 생겨 있어 사용이 편하고 용이하다.
-velpeau brace
humerus나 clavicle의 골절 시 팔을 고정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brace로 생김새는arm sling과 비슷하다.
-philadelphia
목을 둘러서 보호하고 있으며 고개를 숙이지 못하므로 불편함이 다소 있어보인다.
-Halo vest
움직이기에 매우 불편해 보였고 금속이 두부에 박혀있고 머리를 고정하는 핀들이 어깨와 연결되어있었다.
4
경 험:
자가 실습 평가 :
하반신 마비 대상자 간호
- Stryker frame
- Circolectric bed
- Tilt table
- Water mattress
- Pneumopressure mattress
문헌고찰
-Stryker frame/ Circolectric bed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 체위변경을 위해 사용하며 체위변경을 하면서 견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적절하게 패드를 대주고 도뇨관이나 IV줄이 체위변경시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억제대를 단단히 묶어 낙상을 방지하고 빠른 동장으로 회전시킨다. 복위는 가능한한 피하고 환자 옆에 호출 등, 종, 휴지, 물 등을 놓아 준다.
-Tilt table
신경근 손상으로 인해 스스로 서는 경험을 못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선 자세를 경험하게 하는 운동기구로써 오랜 침상 생활에 따른 기립성 저혈압 방지, 관절 구축 및 변형 방지, 욕창 방지, 골다공증 방지, 요로 감염 방지, 근력유지, 전신 순환증진, 족관절 저측 굴곡의 신장운동, 균형운동 등을 위해 사용된다.
척수손상,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근위축증, 파킨슨병, 다발성경화증, 뇌성마비, 퇴행성 관절염, 서는 감각 증진 훈련, 골절, 관절염등의 적응증이 있다.
5
경 험: O (3/3)
자가 실습 평가 : 하
이**(M) 22Y / Traumatic amputation of lower limb, level unspecified
절단대상자 간호
문헌고찰
- 수술 전 간호
심리적 준비를 도와주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환상감각에 대한 준비와 목표설정, 운동, 의족사용법을 교육한다. 신뢰와 학신감을 주어 불안을 감소시키고 긍정적 사고와 낙천적인 생활을 유지시켜준다.
절단부위의 근력을 기르고 체중부하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다른질환 치료나 영양부족, 빈혈, 탈수 등을 살펴 피부손상 위험성이 없도록 하고 발판이나 크래들을 이용하여 사지의 국소적 괴저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 수술 직후 간호
절단부 드레싱과 탄력붕대를 감거나 양말을 신기고 출혈을 확인한다. 24-48시간 동안 절단부 밑에 베게를 대어 상승을 시키고 수술 후 48시간 이후에는 거상시키지 않고 내전시켜 휴식을 한다. 관절구축 예방을 위해 하루 3-4회씩 복위로 체위를 변경하고, 목발보행을 실시하며 1-2일 내에 운동을 시작한다. 수술 부위에 통증증가나 압통, 부종, 피부괴저, 농성배액 등에 유의하고 궤양을 관찰하며 환부를 안정시킨다. 증상을 관찰하고 정신적으로 지지를 해주며 보행의 가능성 등을 설명하여 격려한다.
관찰
BK amputation(무릎 밑 절단) 수술한 환자로 겉으로는 괜찮아 보였으나 수술 부위(절단부위)에 환상지감을 느껴 통증을 호소했고, 정서적 지지가 필요했다.
6
경 험: O (3/4)
자가 실습 평가 : 중
강**(F) 54Y / Tear of meniscus, current
관절 성형술 대상자 간호(TKR. Rt)
관찰
TKR수술 후 오른쪽 발가락의 SMC를 확인한다. Hemovac의 배액 색양상을 확인한다(bloody color확인)
gas out과 장음이 확인 될 때까지 금식을 하고 PCA가 달려있으므로 아플 때마다 누르도록 교육을 하고 수술부위의 피부상태를 학인한다. 기침이나 심호흡을 유도하도록 하고 침상에서 안정을 시킨다.
extension brace를 착용하고 수술 부위에 냉찜질을 한다.
7
경 험: O (3/2)
자가 실습 평가 : 중
박**(M) 50Y / Mn. symphysis & Lt. angle Fx
수술전 대상자 간호
- 수술전 투약
- 수술전 대상자 교육
- 수술전 checklist점검
수술 전에 vital sign을 재고 환자 팔찌를 채운다. 소변을 비우게 한 후 항생제를 투여하고 속옷을 벗었는지 확인하고 틀니나 치장품등을 뺐는지 확인한다.
스트레쳐 카에 눕게 한 후 차트를 챙겨 수술실에 보낸다.(교육은 전날 미리 설명함)
8
경 험: S (3/2)
자가 실습 평가 : 중
심**(F) 28Y / Divergent concomitant strabismus
수술후 대상자 간호
- 수술후 대상자 관찰
- 조기이상 및 운동
- 감염관리
- 기타
vital sign을 재고 머리를 상승시킨다. 전신마취 후라면 2시간 이상 잠을재우지 않는다. (침상을 올림-반좌위)
처방받은 약물을 투여하고 수액을 달며 침상안정보다 조기 이상을 교육하고 피검사를 실시한다. 눈 수술을 한 환자이므로 거즈에 물을 묻인 후 눈을 식히는 cold massage를 보호자에게 교육시킨다.
9
경 험: O(3/8)
자가 실습 평가 : 중
이**(F) 66Y / Spinal stenosis
척추관 협착증 대상자 간호
문헌고찰
척추관 협착증은 척추관 및 추간공이 좁아져 요통과 하지에 신경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이다. 주 증상은 허리디스크처럼 요통과 다리가 저리고 아픈 것 이다. 보존적인 치료로 자세교정과 복근 강화운동을 실시하고 필요하면 보조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증상이 심하거나 보존적 요법으로 효과가 없으면 신경 압박 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감압수술을 한다. 추궁판 절제술로 두꺼워진 추궁판, 황색 인대를 포함하여
-Halo vest
경추골절 및 추궁절제술 상태에서 가슴에서 머리까지 완전 고정하며 두개골에 핀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고정력이 아주 큼. 경추 보조기 중에서 척추 운동제한이 가장 큼
관찰
- TLSO brace
요추를 보호하기위하여 TLSO 착용하며 환자복 위에 보조기를 차고 있었다.착용시에는 누워서 착용한다.
- Night splint야간에 사용하는 splint로 찍찍이로 되어 있어 착용하고 벗기 쉽게 생겨 있어 사용이 편하고 용이하다.
-velpeau brace
humerus나 clavicle의 골절 시 팔을 고정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brace로 생김새는arm sling과 비슷하다.
-philadelphia
목을 둘러서 보호하고 있으며 고개를 숙이지 못하므로 불편함이 다소 있어보인다.
-Halo vest
움직이기에 매우 불편해 보였고 금속이 두부에 박혀있고 머리를 고정하는 핀들이 어깨와 연결되어있었다.
4
경 험:
자가 실습 평가 :
하반신 마비 대상자 간호
- Stryker frame
- Circolectric bed
- Tilt table
- Water mattress
- Pneumopressure mattress
문헌고찰
-Stryker frame/ Circolectric bed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 체위변경을 위해 사용하며 체위변경을 하면서 견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적절하게 패드를 대주고 도뇨관이나 IV줄이 체위변경시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억제대를 단단히 묶어 낙상을 방지하고 빠른 동장으로 회전시킨다. 복위는 가능한한 피하고 환자 옆에 호출 등, 종, 휴지, 물 등을 놓아 준다.
-Tilt table
신경근 손상으로 인해 스스로 서는 경험을 못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선 자세를 경험하게 하는 운동기구로써 오랜 침상 생활에 따른 기립성 저혈압 방지, 관절 구축 및 변형 방지, 욕창 방지, 골다공증 방지, 요로 감염 방지, 근력유지, 전신 순환증진, 족관절 저측 굴곡의 신장운동, 균형운동 등을 위해 사용된다.
척수손상,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근위축증, 파킨슨병, 다발성경화증, 뇌성마비, 퇴행성 관절염, 서는 감각 증진 훈련, 골절, 관절염등의 적응증이 있다.
5
경 험: O (3/3)
자가 실습 평가 : 하
이**(M) 22Y / Traumatic amputation of lower limb, level unspecified
절단대상자 간호
문헌고찰
- 수술 전 간호
심리적 준비를 도와주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환상감각에 대한 준비와 목표설정, 운동, 의족사용법을 교육한다. 신뢰와 학신감을 주어 불안을 감소시키고 긍정적 사고와 낙천적인 생활을 유지시켜준다.
절단부위의 근력을 기르고 체중부하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다른질환 치료나 영양부족, 빈혈, 탈수 등을 살펴 피부손상 위험성이 없도록 하고 발판이나 크래들을 이용하여 사지의 국소적 괴저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 수술 직후 간호
절단부 드레싱과 탄력붕대를 감거나 양말을 신기고 출혈을 확인한다. 24-48시간 동안 절단부 밑에 베게를 대어 상승을 시키고 수술 후 48시간 이후에는 거상시키지 않고 내전시켜 휴식을 한다. 관절구축 예방을 위해 하루 3-4회씩 복위로 체위를 변경하고, 목발보행을 실시하며 1-2일 내에 운동을 시작한다. 수술 부위에 통증증가나 압통, 부종, 피부괴저, 농성배액 등에 유의하고 궤양을 관찰하며 환부를 안정시킨다. 증상을 관찰하고 정신적으로 지지를 해주며 보행의 가능성 등을 설명하여 격려한다.
관찰
BK amputation(무릎 밑 절단) 수술한 환자로 겉으로는 괜찮아 보였으나 수술 부위(절단부위)에 환상지감을 느껴 통증을 호소했고, 정서적 지지가 필요했다.
6
경 험: O (3/4)
자가 실습 평가 : 중
강**(F) 54Y / Tear of meniscus, current
관절 성형술 대상자 간호(TKR. Rt)
관찰
TKR수술 후 오른쪽 발가락의 SMC를 확인한다. Hemovac의 배액 색양상을 확인한다(bloody color확인)
gas out과 장음이 확인 될 때까지 금식을 하고 PCA가 달려있으므로 아플 때마다 누르도록 교육을 하고 수술부위의 피부상태를 학인한다. 기침이나 심호흡을 유도하도록 하고 침상에서 안정을 시킨다.
extension brace를 착용하고 수술 부위에 냉찜질을 한다.
7
경 험: O (3/2)
자가 실습 평가 : 중
박**(M) 50Y / Mn. symphysis & Lt. angle Fx
수술전 대상자 간호
- 수술전 투약
- 수술전 대상자 교육
- 수술전 checklist점검
수술 전에 vital sign을 재고 환자 팔찌를 채운다. 소변을 비우게 한 후 항생제를 투여하고 속옷을 벗었는지 확인하고 틀니나 치장품등을 뺐는지 확인한다.
스트레쳐 카에 눕게 한 후 차트를 챙겨 수술실에 보낸다.(교육은 전날 미리 설명함)
8
경 험: S (3/2)
자가 실습 평가 : 중
심**(F) 28Y / Divergent concomitant strabismus
수술후 대상자 간호
- 수술후 대상자 관찰
- 조기이상 및 운동
- 감염관리
- 기타
vital sign을 재고 머리를 상승시킨다. 전신마취 후라면 2시간 이상 잠을재우지 않는다. (침상을 올림-반좌위)
처방받은 약물을 투여하고 수액을 달며 침상안정보다 조기 이상을 교육하고 피검사를 실시한다. 눈 수술을 한 환자이므로 거즈에 물을 묻인 후 눈을 식히는 cold massage를 보호자에게 교육시킨다.
9
경 험: O(3/8)
자가 실습 평가 : 중
이**(F) 66Y / Spinal stenosis
척추관 협착증 대상자 간호
문헌고찰
척추관 협착증은 척추관 및 추간공이 좁아져 요통과 하지에 신경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이다. 주 증상은 허리디스크처럼 요통과 다리가 저리고 아픈 것 이다. 보존적인 치료로 자세교정과 복근 강화운동을 실시하고 필요하면 보조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증상이 심하거나 보존적 요법으로 효과가 없으면 신경 압박 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감압수술을 한다. 추궁판 절제술로 두꺼워진 추궁판, 황색 인대를 포함하여
추천자료
간호실습내용체크리스트
정신간호학실습-MDD 주요 우울성 기능저하증(major depressive disorder)케이스
[예체능] 대학사회와 양성평등
성인실습-케이스스터디(당뇨)
간호학실습레포트-소화기내과(간병동) C바이러스 간암(C-Virus HCC) 환자 대상자
정신과실습 일일대화 작성
실습레포트 - 간호력 - 재활파트
종료보고서, 사회복지실습종결평가, 실습보고서, 실습종료보고서, 종합사회복지관
정신간호학실습-정신분열병 케이스 A+ (문헌고찰부터 ~ 실습 소감문 포함)
사회복지실습일지(지역아동센타)
성인간호학실습 : 당뇨병(Diabetes Mellitus) 케이스스터디
실습기관의 대상자와 관련된 복지법과 기관설립의 법적 근거 - 노인복지법 필요성, 목적, 주...
어린이집 2월~3월 5주간 보육실습일지 - 보육실습기관현황, 실습생소감, 실습평가보고서, 실...
[A+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분열증(조현병/schizoprenia)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