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실학의 의미와 변천
2)실학의 특징
3)학파의 형성
3. 결론-실학사상의 윤리적 의의
2. 본론
1)실학의 의미와 변천
2)실학의 특징
3)학파의 형성
3. 결론-실학사상의 윤리적 의의
본문내용
은 선악이 임금의 의사나 천리, 인욕 등에 의하여 규정된다는 주자학적 관점을 부정하고, 백성의 의사나 노동에 의하여 선악이 평가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최한기는 윤리 도덕은 선천적이며 고정불변한다는 종래의 주자학자들의 관점을 비판하면서, 선은 영원한 것이 없고 악도 일정한 한도가 없다고 하였다. 그래서 그는 선악이 제왕의 의사나 천리 인욕에 맞는지 여부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백성들의 의사와 요구에 의하여 평가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실학자들의 윤리 도덕관은 비록 유교적 윤리 도덕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였지만, 당시에 직면한 새로운 사조를 반영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즉, 실학의 윤리 도덕설은 도덕을 물질문제와 연관시키고 있으며, 평등이라는 민본주의적 도덕 이상을 평등 박애 인도주의의 도덕 이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또한 성리학적 공리공담을 비판하고 도덕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새로운 도덕의 기준과 가치관을 형성하려 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당시 백성들의 이익과 바람을 반영한 진보적 윤리도덕관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조현규(2008),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이해』, 새문사
윤사순(2002), 『한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실학자들의 윤리 도덕관은 비록 유교적 윤리 도덕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였지만, 당시에 직면한 새로운 사조를 반영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즉, 실학의 윤리 도덕설은 도덕을 물질문제와 연관시키고 있으며, 평등이라는 민본주의적 도덕 이상을 평등 박애 인도주의의 도덕 이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또한 성리학적 공리공담을 비판하고 도덕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새로운 도덕의 기준과 가치관을 형성하려 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당시 백성들의 이익과 바람을 반영한 진보적 윤리도덕관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조현규(2008),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이해』, 새문사
윤사순(2002), 『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