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전설,민담의 이야기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화,전설,민담의 이야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神話
1.불개․․․․․․․․․․․․․․․․․․․․․․․․․․․․․․․․․․․․․․․․․․․․․․․․․․ 1
2. 구미호와 여의주․․․․․․․․․․․․․․․ 2
3.처녀의 무덤․․․․․․․․․․․․․․․․․․․․․․․․․․․․․․ 3
4. 나비․․․․․․․․․․․․․․․․․․․․․․․․․․․․․․․․․․․․․․․․․․․․․․․ 4
5. 대홍수․․․․․․․․․․․․․․․․․․․․․․․․․․․․․․․․․․․․․․․․․ 5․
6. 파․․․․․․․․․․․․․․․․․․․․․․․․․․․․․․․․․․․․․․․․․․․․․․․․․․․․․ 6
7. 삼태성․․․․․․․․․․․․․․․․․․․․․․․․․․․․․․․․․․․․․․․․․ 7
8. 산과 강․․․․․․․․․․․․․․․․․․․․․․․․․․․․․․․․․․․․․․ 7
9. 메뚜기 개미와 물총새 8
10. 개미와 토끼․․․․․․․․․․․․․․․․․․․․․․․․ 9 Ⅱ. 傳說
1. 효심 깊은 아들․․․․․․․․․․․․․․․․․ 10
2. 서울의 성곽․․․․․․․․․․․․․․․․․․․․․․․․․․ 11
3. 도술내기;․․․․․․․․․․․․․․․․․․․․․․․․․․․․․․․․ 12
4. 우투리․․․․․․․․․․․․․․․․․․․․․․․․․․․․․․․․․․․․․․․․ 13
5. 감사와 스님․․․․․․․․․․․․․․․․․․․․․․․․․․ 14
6. 모래 돛대․․․․․․․․․․․․․․․․․․․․․․․․․․․․․․․ 15
7. 용변 소어․․․․․․․․․․․․․․̶

본문내용

《 次 例》
Ⅰ. 神話
1.불개 1
2. 구미호와 여의주 2
3.처녀의 무덤 3
4. 나비 4
5. 대홍수 5
6. 파 6
7. 삼태성 7
8. 산과 강 7
9. 메뚜기 개미와 물총새 8
10. 개미와 토끼 9
Ⅱ. 傳說
1. 효심 깊은 아들 10
2. 서울의 성곽 11
3. 도술내기; 12
4. 우투리 13
5. 감사와 스님 14
6. 모래 돛대 15
7. 용변 소어 16
8. 아랑 16
9. 장자 못 17
10. 오뉘힘내기 18
Ⅲ. 民譚
1. 원님의 판결 19
2. 우렁각시 20
3. 좁 쌀 한 알 21
4. 어느 가난한 선비 22
5. 살림 잘하는 며느리 22
6. 두 명의 방탕한 남편 23
7. 두 가지 거짓말 24
8. 말이 많은 할머니 25
9. 독약이 든 곶감 26
10. 늙은 아버지 27
Ⅰ. 神話
神話 1. 불개
하늘 아래 세상에 나라가 많은 것처럼 하늘에도 나라가 많이 있다. 그 중에 암흑의 나라, ‘가막나라’라고 불리는 나라가 있었는데 그곳의 백성들은 사나운 개들을 많이 기르고 있었다. 그 개는 불개로 알려졌다. 그 나라의 임금은 나라가 어두운 것에 대해 걱정하였는데 그래서 때때로 그의 개들을 인간세상의 해와 달을 훔쳐오라고 보냈다.
아주 옛날에 임금은 개들 중 가장 사나운 불개를 불러 해를 훔쳐오라고 명령했다. 불개는 해를 훔쳐오기 위해 애를 썼지만 해가 너무 뜨거웠다. 성과 없이 돌아오니 임금은 다음 사나운 개를 시켜 달을 훔쳐오라고 했다. 임금은 달이 해만큼 뜨겁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개가 달을 물려고 할 때 그것은 너무 차가워서 입이 얼어버렸다. 개는 반복해서 이빨로 물려고 했지만 어쩔 수 없이 내뱉을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성과 없이 돌아와야만 했다.
그러나 암흑 나라의 왕은 절대 희망을 버리지 않고 종종 불개를 보냈지만 결국 실패했다.
일식과 월식은 암흑 나라에서 온 불개들에 의해 생기는 것이라고 전해진다. 그리고 일식과 월식이 일어나는 동안 불개들이 해와 달을 무는 부분이 어둡게 보인다.
우리는 일식을 직접 볼 수 없다. 왜냐하면 그것이 너무 눈부시게 밝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야의 물에 해가 반사되어 검은 부분이 사라지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월식 또한 같은 방법으로 볼 수 있다. 우리는 물의 검은 표면에서 불개가 해를 물고 또다시 그것을 내뱉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① 옛날 하늘나라에 깜깜한 암흑나라가 있었다.
② 그곳 사람들은 밤낮을 갖는 것이 유일의 소망이라 그 나라 임금은 불개라는 사나운 개를 파견하여 해와 달을 훔쳐오게 한다.
③ 그러나 불개가 가서 무니깐 해는 너무 뜨겁고, 달은 너무 차가워 물고 올 수가 없었다.
④ 빛을 구하려는 왕의 열망은 계속 되어 지금도 포기하지 않고 불개로 하여금 물어 오게 하므로 일식과 월식이 생긴다고 한다.
일식과 월식에 대한 설화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이집트와 인도에도 각각의 신화가 전해진다. 일식이란 달에 의하여 태양이 가려지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러한 과학적 현상은 과거 천문에 대한 지식이 거의 갖추어지지 않았을 당시 받아드리기 어려운 현상 중 하나였을 것이다. 특히 하늘을 숭배했던 사람들에게 예상치 못한 현상은 자연의 이치가 어긋난 하나의 흉조로 여겼을 법도 하다. 그래서 사람들의 착각에서 생겨난 오해를 사람들은 인식하지 못한 채, 해결하려고 했지만 결국 해결되지 못한 구조를 나타낸 것은 아닐까?
神話 2. 구미호와 여의주
옛날 어느 시골 마을에 커다란 서당이 있었는데 이 서당에는 백 명이나 되는 아이들이 주로 밤에 책을 읽으며 공부했고 시간이 늦으면 다함께 잠을 자곤 했다. 아이들이 잠든 어느 날, 7살 아이는 아이들의 신발을 세는 여자의 목소리를 들었다. 그러자 한 예쁜 소녀가 창문을 열고 들어와 방을 기어 다니는데 아이는 너무 놀라 후미진 곳으로 숨었다. 소녀가 한 명, 한 명에게 입을 맞추자 아이들이 숨을 멈추며 죽었고 아이는 죽은 아이들 틈에 끼어 오들오들 떨며 누워있었다.
소녀는 마지막 아이까지 세고는 한 명이 없음을 알았다. “신발은 100켤레인데 사람은 99명이지? 한명만 더 찾으면 하늘나라로 갈 수 있을 텐데..” 갑자기 수탉이 울자 소녀는 울부짖으며 뛰쳐나갔다. 아이는 소녀의 뒤를 쫓아 무덤 쪽 큰 바위 뒤로 사라지는 것을 보았다. 아이가 돌아가려 하자 소녀는 아이 앞에 나타나 바위 뒤로 끌고 갔다. 소녀가 아이에게 입을 맞추려 했으나 도깨비나 여우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소녀는 자신의 입에서 구슬을 아이의 입으로 굴려 보내고 다시 빨아들이며, 아이의 얼굴이 창백해 질 때가지 이를 반복했다.
갑자기 아이는 사람이 여우의 구슬을 삼키게 되었을 때 구슬이 녹기 전 하늘을 올려다보면 하늘의 모든 지혜를 얻고 땅을 보게 되면 땅의 지혜를 얻게 된다는 속신을 생각했다. 아이는 구슬을 삼키고 하늘을 보려했으나 땅을 먼저 보았고 아이는 소리를 지르자 소녀가 사라졌다. 아이는 사람들에게 이 이야기를 전해 창과 화살을 들고 무덤가에서 여우를 찾았고 구미호가 뛰어 나오자 바로 죽였다. 그 후로 사람들은 땅의 지혜를 얻게 되었으나 하늘의 지혜는 얻지 못했다고 한다.
① 한 소년이 99명의 소년들과 서당을 다니게 된다.
② 어느 날 밤 서당에서 한 소년을 제외하고 잠이 든다.
③ 여자로 변신한 여우는 99명의 소년에게 입을 맞추어 숨이 끊어지게 한다.
④ 여자는 자신을 뒤

키워드

신화,   전설,   민담,   이야기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9.12.06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52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