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물러 있는 상황에서 총공급곡선만 계속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물가, 국내총생산, 그리고 실업률은 각각 어떤 움직임을 보이게 될까? 또한 총공급곡선이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상황에서 총수요곡선만 계속 오른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이들의 움직임이 어떻게 달라질까?
-총공급곡선만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물가는 하락/ 국내총생산은 증가/ 실업률은 감소
총수요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물가는 상승/ 국내총생산은 증가/ 실업률은 감소
제14장
[5번]국내총생산(GDP)과 국민총생산(GNP) 사이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설명하라. 우리나라의 경우 이 둘 중 어느 쪽이 더 큰 경향이 있으며, 어떤 이유에서 그런 현상이 나타는지 설명하라.
-GDP는 일정기간 국내에서 생산된 제품이면 제조자의 국적을 따지지 않고 생산량에 포함시키며, GNP의 경우는 일정기간 자국민이 생산한 제품이면 제조지를 따지지 않고 생산량에 포함 시킨다. 우리나라의 경우, GDP가 GNP보다 큰 경향이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에서 외국인이 번 돈이 우리나라사람이 외국에서 번 돈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10번]자동차와 사과 두가지 상품만을 생산, 소비하는 경제가 있다. 2000년과 2007년에 이 경제에서 생산해 낸 자동차, 사과의 양과 가격은 다음과 같다.
2000년
2007년
자동차
가격
300만원
600만원
생산량
100대
150대
사과
가격
1,000원
1,500원
생산량
20만 개
40만 개
(1)2000년을 기준연도로 하여 2000년과 2007년의 명목국내총생산, 실질국내총생산, GDP디플 레이터, 소비자물가지수를 구하라.
-2000년 명목국내총생산:300만 x 100 +1,000 x 20만 =5억
2007년 명목국내총생산:600만 x 150 +1,500 x 40만 =15억
-2000년 실질국내총생산: 기준연도와 같으므로 5억
2007년 실질국내총생산: 300만 x 150 +1,000x 40만= 8.5억
-2000년 GDP 디플레이터: 기준연도가 2000년이므로 100
2007년 GDP 디플레이터: 15억/8.5억 x 100= 약 176.46
-2000년 소비자 물가지수: 기준연도가 2000년이므로 100
2007년 소비자 물가지수: 600만x100+1500x20만/300만x100+1000x20만=180
(2)2000년과 2007년 사이의 물가상승률은 얼마인가? GDP디플레이터와 소비자물가지수에 기 초해 계산한 물가상승률을 제시하라.
-GDP디플레이터에 의할 경우: 76.46
소비자물가지수에 의할 경우: 80
(3)GDP디플레이터와 소비자물가지수는 각각 어떤 장/단점을 갖고 있는지 간단히 설명해보라.
-GDP디플레이터는 소비재를 기준으로 측정하는 소비자물가지수보다 폭넓은 물가지수이나, 수입품의 경우 이 수치에 반영될 수 없다. 따라서 소비자의 입장에선 소비자 물가지수가 물가의 동향을 좀 더 충실히 나타내는 물가지수가 될 수 있다.
제15장
[2번]다음에 제시된 A국의 처분가능소득과 소비지출의 자료를 보고, 양자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을 도출하는 동시에 한계소비성향이 얼마인지 알아내보라.
연도
처분가능소득
소비지출
2002
200
180
2003
300
270
2004
400
360
2005
500
450
2006
600
540
-매년처분가능소득이 100늘 때 소비지출은 90이 증가하므로, 0.9로 일정한 기울기를 갖게 되고, 따라서 한계소비성향은 0.9이다.
[5번]다음의 여러 행위 중 엄밀한 의미에서의 투자라고 볼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1)어떤 사람이 주식시장에서 한 기업의 주식을 구입했다.
(2)A기업이 B기업을 인수했다.
(3)C기업이 사옥을 이전하기 위해 지은 지 3년 된 건물을 구입했다.
(4)D기업이 업무용으로 새 자동차를 10대 구입했다.
->이미 존재하고 있던 자산에 대한 소유권 이전행위는 엄밀한 의미에서 투자라고 볼 수 없으므로, 새로 만들어진 자본재를 구입하는 D만이 투자로 볼 수 있다.
[8번]상아탑사는 다음 표에서 보는 것과 같은 세 가지 사업기회, 즉 투자기회를 갖고 있다. 표 안의 숫자는 각 사업을 선택했을 경우 매기 발생하는 순수익을 백만원의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모든 사업은 3기로 만료되어 더 이상의 순수익이 없다고 가정하며, 단위는 억원임)
투자기회
1기
2기
3기
사업1
-1,800
1,600
1,200
사업2
-2,600
2,500
1,200
사업3
-2,200
900
2,400
(기간당)이자율이 30%라면 이 기업은 어느 사업에 투자하기로 선택할 것인지 말해보라. 이자율이 35%로 상승하면 그 기업의 선택이 어떻게 달라질지 말해보라.(도움말: 여러 가지 사업을 동시에 수행하기로 선택할 수도 있음에 유의 할 것)
-사업1의 순수익의 현재가치
-1800/1.3+1600/(1.3)²+1200/(1.3)³=108.33
사업2의 순수익의 현재가치
-2600/1.3+2500/(1.3)²+1200/(1.3)³=25.49
사업3의 순수익의 현재가치
-2200/1.3+900/(1.3)²+2400/(1.3)³=-67.36
=>따라서 사업1과 사업2를 택한다.
-이율이 35%인 경우
사업1:-1800/1.35+1600/(1.35)²+1200/(1.35)³=32.31
사업2:-2600/1.35+2500/(1.35)²+1200/(1.35)³=-66.45
사업3:-2200/1.35+900/(1.35)²+2400/(1.35)³=-160.34
=>따라서 이율이 35%인 경우 사업1만, 택한다.
제16장
[3번]다음 자료를 사용하여 총지출곡선을 그린 후, 소득-지출분석을 통해 균형국민소득을 도출하라.(단위: 억원)
소득
소비
투자
정부지출
순수출
360
322
24
12
4
370
331
24
12
4
380
340
24
12
4
390
349
24
12
4
400
358
24
12
4
-소득이 투자/정부지출/순수출/소비의 합과 같을 때 균형국민소득이라 하는데 이 경우 소득이 380일 때 이루어지므로 균형국민소득은 380억 원이다.
총지출
총지출곡선
380
362
0 360 370 380 390 400 국민소득
[4번]어떤 나라의 소비지출, 투자지출, 순수출, 조세 납부액이 다음과
-총공급곡선만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물가는 하락/ 국내총생산은 증가/ 실업률은 감소
총수요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물가는 상승/ 국내총생산은 증가/ 실업률은 감소
제14장
[5번]국내총생산(GDP)과 국민총생산(GNP) 사이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설명하라. 우리나라의 경우 이 둘 중 어느 쪽이 더 큰 경향이 있으며, 어떤 이유에서 그런 현상이 나타는지 설명하라.
-GDP는 일정기간 국내에서 생산된 제품이면 제조자의 국적을 따지지 않고 생산량에 포함시키며, GNP의 경우는 일정기간 자국민이 생산한 제품이면 제조지를 따지지 않고 생산량에 포함 시킨다. 우리나라의 경우, GDP가 GNP보다 큰 경향이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에서 외국인이 번 돈이 우리나라사람이 외국에서 번 돈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10번]자동차와 사과 두가지 상품만을 생산, 소비하는 경제가 있다. 2000년과 2007년에 이 경제에서 생산해 낸 자동차, 사과의 양과 가격은 다음과 같다.
2000년
2007년
자동차
가격
300만원
600만원
생산량
100대
150대
사과
가격
1,000원
1,500원
생산량
20만 개
40만 개
(1)2000년을 기준연도로 하여 2000년과 2007년의 명목국내총생산, 실질국내총생산, GDP디플 레이터, 소비자물가지수를 구하라.
-2000년 명목국내총생산:300만 x 100 +1,000 x 20만 =5억
2007년 명목국내총생산:600만 x 150 +1,500 x 40만 =15억
-2000년 실질국내총생산: 기준연도와 같으므로 5억
2007년 실질국내총생산: 300만 x 150 +1,000x 40만= 8.5억
-2000년 GDP 디플레이터: 기준연도가 2000년이므로 100
2007년 GDP 디플레이터: 15억/8.5억 x 100= 약 176.46
-2000년 소비자 물가지수: 기준연도가 2000년이므로 100
2007년 소비자 물가지수: 600만x100+1500x20만/300만x100+1000x20만=180
(2)2000년과 2007년 사이의 물가상승률은 얼마인가? GDP디플레이터와 소비자물가지수에 기 초해 계산한 물가상승률을 제시하라.
-GDP디플레이터에 의할 경우: 76.46
소비자물가지수에 의할 경우: 80
(3)GDP디플레이터와 소비자물가지수는 각각 어떤 장/단점을 갖고 있는지 간단히 설명해보라.
-GDP디플레이터는 소비재를 기준으로 측정하는 소비자물가지수보다 폭넓은 물가지수이나, 수입품의 경우 이 수치에 반영될 수 없다. 따라서 소비자의 입장에선 소비자 물가지수가 물가의 동향을 좀 더 충실히 나타내는 물가지수가 될 수 있다.
제15장
[2번]다음에 제시된 A국의 처분가능소득과 소비지출의 자료를 보고, 양자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을 도출하는 동시에 한계소비성향이 얼마인지 알아내보라.
연도
처분가능소득
소비지출
2002
200
180
2003
300
270
2004
400
360
2005
500
450
2006
600
540
-매년처분가능소득이 100늘 때 소비지출은 90이 증가하므로, 0.9로 일정한 기울기를 갖게 되고, 따라서 한계소비성향은 0.9이다.
[5번]다음의 여러 행위 중 엄밀한 의미에서의 투자라고 볼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1)어떤 사람이 주식시장에서 한 기업의 주식을 구입했다.
(2)A기업이 B기업을 인수했다.
(3)C기업이 사옥을 이전하기 위해 지은 지 3년 된 건물을 구입했다.
(4)D기업이 업무용으로 새 자동차를 10대 구입했다.
->이미 존재하고 있던 자산에 대한 소유권 이전행위는 엄밀한 의미에서 투자라고 볼 수 없으므로, 새로 만들어진 자본재를 구입하는 D만이 투자로 볼 수 있다.
[8번]상아탑사는 다음 표에서 보는 것과 같은 세 가지 사업기회, 즉 투자기회를 갖고 있다. 표 안의 숫자는 각 사업을 선택했을 경우 매기 발생하는 순수익을 백만원의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모든 사업은 3기로 만료되어 더 이상의 순수익이 없다고 가정하며, 단위는 억원임)
투자기회
1기
2기
3기
사업1
-1,800
1,600
1,200
사업2
-2,600
2,500
1,200
사업3
-2,200
900
2,400
(기간당)이자율이 30%라면 이 기업은 어느 사업에 투자하기로 선택할 것인지 말해보라. 이자율이 35%로 상승하면 그 기업의 선택이 어떻게 달라질지 말해보라.(도움말: 여러 가지 사업을 동시에 수행하기로 선택할 수도 있음에 유의 할 것)
-사업1의 순수익의 현재가치
-1800/1.3+1600/(1.3)²+1200/(1.3)³=108.33
사업2의 순수익의 현재가치
-2600/1.3+2500/(1.3)²+1200/(1.3)³=25.49
사업3의 순수익의 현재가치
-2200/1.3+900/(1.3)²+2400/(1.3)³=-67.36
=>따라서 사업1과 사업2를 택한다.
-이율이 35%인 경우
사업1:-1800/1.35+1600/(1.35)²+1200/(1.35)³=32.31
사업2:-2600/1.35+2500/(1.35)²+1200/(1.35)³=-66.45
사업3:-2200/1.35+900/(1.35)²+2400/(1.35)³=-160.34
=>따라서 이율이 35%인 경우 사업1만, 택한다.
제16장
[3번]다음 자료를 사용하여 총지출곡선을 그린 후, 소득-지출분석을 통해 균형국민소득을 도출하라.(단위: 억원)
소득
소비
투자
정부지출
순수출
360
322
24
12
4
370
331
24
12
4
380
340
24
12
4
390
349
24
12
4
400
358
24
12
4
-소득이 투자/정부지출/순수출/소비의 합과 같을 때 균형국민소득이라 하는데 이 경우 소득이 380일 때 이루어지므로 균형국민소득은 380억 원이다.
총지출
총지출곡선
380
362
0 360 370 380 390 400 국민소득
[4번]어떤 나라의 소비지출, 투자지출, 순수출, 조세 납부액이 다음과
추천자료
화폐와 금융 연습문제 19장
경영공학 연습문제 풀이
경제학입문 - summary 해석 윤영상교수님 조별과제
윤영상 경제학입문/경제학원론 중간고사 대체과제(A+받은 자료입니다)
윤영상 경제학입문/경제학원론 중간고사 대체과제(A+받은 자료입니다)
계량 경제학 회귀분석 문제풀이
소득분배론 [차별의 경제학] 임금차별 문제
윤영상 경제학입문/경제학원론 중간고사 대체과제(A+받은 자료입니다)
알기쉬운 경제학입문 2010년 기말고사 완벽시험 정리
[경제학입문 독후감]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토드 부크홀츠 저)
경영의 이해 연습문제 제1장~제4장(43문제)
[경제학개론] 청년실업문제 - 청년실업의 현황과 원인, 대책
경제학입문summary 해석
경제학입문 조별 과제 Summary 번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