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계획) 전시시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계획) 전시시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높이의 비가 적어도 2 : 1인 경우가 적합하다.
③ 반사벽은 전시품 색과 실내 온도에 영향을 끼치므로 주의한다.
④ 다층 건물시 직접 아래층까지 자연광을 유입시킨다.
⑵ 채광 방식
① 정광창 형식(top light)
- 천장의 중앙에 천창을 설계하는 방법으로 전시실의 중앙부는 가장 밝게 하여 전시벽면에 조도를 균등하게 한다.
- 조각 등의 전시실에는 적당하지만 유리 케이스내의 공예품 전시들에 대해서는 적합하지 못하다.
② 측광창 형식(side light)
- 측면 창에 관선을 들이는 방법으로, 소규모 전시실 외에는 부적합하다.
- 광선의 확산, 광량의 조절, 열절연 설비를 병용하는 것이 좋다.
③ 고측광창 형식(top side light)
- 관람자가 서 있는 상부에 천창을 불투명하게 하여 측벽에 가깝게 채광창을 설치하는 방법
- 관람자의 위치는 어둡고 전시 벽면의 조도가 밝은 이상적인 형이다.
- 측광창의 광선이 약할 우려가 있다.
④ 정측광창 형식 (clearstory)
- 정광창형식의 균일한 조도의 장점과, 고측광창형식의 전시 벽면의 조도를 밝게하는 장점을 결합시킨 방법
⑤ 특수채광형식 : 천창은 상부에서 경사 방향으로 빛을 도입하여 벽면을 주로 비치게 하는 방법.
⑶ 전시물과 광원의 위치
① 전시물과 최량의 각도는 15 ~ 45° 이내의 광원의 위치를 결정한다.
② 실내 조명은 눈부심, 반사를 일으키지 않도록 확산광이 되도록 한다.
③ 시점의 위치는 성인 1.5m를 기준으로 화면의 대각선에 1~1.5배를 이상적 거리 간격으로 잡는다.
④ 조각류의 작품은 보조 조명 시설을 한다.
⑤ 케이스내 전시물의 유리면에 의한 영상을 없이하게 하여야 하며 케이스내 휘도를 다른것보다 크게 하거나 케이스 내부 조명을 해결한다.
⑥ 인공 조명 사용시 관객에게 광원을 감추어 보이지 않고 눈부심을 없애는 방향으로 투시하는 것이 원칙이다.
⑷ 시각 계획
① 시야는 약 40° 각도를 갖는 범위의 사물을 지각하는데 익숙하다.
② 수직적인 시야는 위아래로 각각 27° 잡는다.
<확인1> 다음과 같은 단면을 갖는 전시실 조명 방식의 명칭은 무엇인가?
㉮ 측광 형식 ㉯ 정광 형식 ㉰ 고측 형식 ㉱ 정측 형식
<확인2> 미술관에 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 케이스내의 전시물인 경우 유리면에 생기는 다른 영상을 없애려면 케이스내의 조도를 외 부보다 어둡게 한다.
㉯ 광원의 위치는 수직벽면에 대해 15~45°의 범위내에서 하향 조명이 좋다.
㉰ 회화를 감상하는 시점의 위치는 화면 대각선의 1~1.5배의 거리가 이상적이다.
㉱ 인공 조명의 경우 관객에게 광원을 감추어 보이지 않게 한다.
<확인3> 다음은 미술관의 전시실 계획을 위한 사항이다. 가장 적당치 않은 항은 어느 것인가?
㉮ 북측 채광을 원칙으로 한다.
㉯ 관객의 동선을 시계 방향으로 유도한다.
㉰ 화면 전시물과 관객 시선의 수평 거리는 화면 대각 길이의 1.5배를 취한다.
㉱ 회화 전시실내의 상대 습도를 60% 이내로 유지케 한다.
<확인4> 다음에서 미술관의 채광방식 중 가장 불리한 것은?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12.30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06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