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한 국
□ 프랑스
□ 일 본
□ 미 국
□ 인 도
□ 베트남
□ 태 국
□ 독 일
□ 멕시코
□ 프랑스
□ 일 본
□ 미 국
□ 인 도
□ 베트남
□ 태 국
□ 독 일
□ 멕시코
본문내용
뱀,닭, 생선 등을 tumeric으로 노란색을 내어 튀겨서 식용하고 있다.
- 남부 셀러바스 지역의 주식은 옥수수 가루로 만든 죽이며, 생선을 바나나잎에 싼 후 시루에 수증기로 찐 음식을 보편화되어 있으며 술라웨시 지방에서는 쥐를 불에 구워먹는 요리가 있다.
- 서부 이리얀자야 및 암본 지역의 주식은 사고가루로 만든 죽이며 아직까지도 일부 지역은 야생의 채소와 사냥으로 잡은 동물을 통째로 구워 먹는 식생활 풍습이 남아있다.
- 발리의 주식은 쌀로 지은 밥이며 힌두교식 식생활이 발달하여 쌀로 만든 튀김과자와 꽃을 차려 매일 몇 차례씩 사당에 제를 지낸다.
인도에서는 인구수 반절의 가난한 사람들이 여전히 충분히 먹을 여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중산층 사람들은 현재 풍요로운 식습관(식단)으로 인하여 체중이 증가하고 있다. 인도의 의사들은 더 많은 비만과 고혈압, 심장병을 보고 있다고 발표했다. 많은 인도의 음식들은 ghee (정화된 버터), 또는 식물성 지방으로는 몇 안 되는 완전 포화된 지방으로 이루어진 코코넛 기름에 적셔져 있다. 현재 인도의 중산층 이상의 사람들은 풍요로운 생활과 식습관으로 인해 비만이 점점 늘어가는 추세이다.
□ 베트남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는 나라는 우리나라와 소수 민족 중에 베트남도 속한다.
- 주식과 부식의 구별이 뚜렷하며, 주식을 쌀로 하고 있다. 우리에게는 베트남의 \'퍼(쌀국수)\'가 널리 소개 되었다.
- 베트남 사람들은 채소를 매우 많이 먹는다. 특히 쌀로 얇게 종이처럼 만들어 말려 놓은 라이스 페이퍼로 생채소를 싸 먹는다.
- 베트남의 주된 양념도 장류이다. 그러나 베트남 사람들은 생선을 발효시켜 만든 어장인 \'누크맘\'을 매우 중요한 양념으로 사용한다.
- 메콩강 하류에 퍼져 있는 남부지역은 베트남 제일의 곡창지대이다. 음식이 맛은 대체적으로 단데,`양념의 주가 되는 \'다레\'는 앞에서 서술한 누쿠맘에 라임이나 매운 고추가루를 섞어 만든 것이다. 중국식 국수를 만들 때에 국수에 섞는 천연 소다수인 ‘간수이’가 들어간 노란 면이나 튀김면을 볼 수 있는 것도 남부지역이다. 프랑스, 미국, 타이 요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 중부지역은 그대표적인 요리로 자주 ‘후에’요리가 등장한다. 후에는 한때 베트남의 수도였기 때문에 아직도 그 당시의 격식을 갖춘 궁중요리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 지역의 요리 중 특징적인 것은 제육과 콩을 찐 요리인 ‘가너우 도우’와 봉황 모습으로 차려내는 ‘포옹황 카이비이’, 새우튀김인 ‘카쿠온 치엔돈’ 등이 있다.
- 북부지역의 겨울은 점퍼를 입어야 할 정도로 서늘하다 못해 추운 곳이다. 남부보다는 음식이 덜 달고 덜 시면서 간이 약해 담백한 맛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가느다란 면과 함께 채소로 싸서 먹는 ‘깨’ 에다 돼지고기, 새우, 표고 등을 섞어 튀긴 ‘넴쿠아베’와 게와 뱀장어를 넣고 볶은 잡채인 ‘멘쿠우 루웅 사오’ 등이 있다
우리나라처럼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며 주식을 쌀로 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식생활 특징이 비슷한 점이 많고 그렇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 비해서 비만이 적은 편에 속한다.
□ 태 국
요리가 많으며, 야채를 깎아서 꽃이나 동물 모양을 만들어 화려하게 꾸미기도 한다. 또한 인도의 영향으로 카레를 먹는데 태국의 카레(껭)는 고추를 많이 넣은 아주 매운 레드카레와 코코넛밀크를 넣어 순한 맛이 나는 그린카레가 있다. 태국의 카레는 우리나라와 달리 마치 찌개 같은 모양이다. 그리고, 소나 돼지 등의 육류보다는 해산물과 야채, 열대과일을 재료로 많이 사용한다.
태국의 요리는 매운맛, 짠맛, 신맛, 단맛이 조화된 것이 특징으로 예를 들면 가장 널리 알려진 태국식 새우수프 요리인
- 남부 셀러바스 지역의 주식은 옥수수 가루로 만든 죽이며, 생선을 바나나잎에 싼 후 시루에 수증기로 찐 음식을 보편화되어 있으며 술라웨시 지방에서는 쥐를 불에 구워먹는 요리가 있다.
- 서부 이리얀자야 및 암본 지역의 주식은 사고가루로 만든 죽이며 아직까지도 일부 지역은 야생의 채소와 사냥으로 잡은 동물을 통째로 구워 먹는 식생활 풍습이 남아있다.
- 발리의 주식은 쌀로 지은 밥이며 힌두교식 식생활이 발달하여 쌀로 만든 튀김과자와 꽃을 차려 매일 몇 차례씩 사당에 제를 지낸다.
인도에서는 인구수 반절의 가난한 사람들이 여전히 충분히 먹을 여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중산층 사람들은 현재 풍요로운 식습관(식단)으로 인하여 체중이 증가하고 있다. 인도의 의사들은 더 많은 비만과 고혈압, 심장병을 보고 있다고 발표했다. 많은 인도의 음식들은 ghee (정화된 버터), 또는 식물성 지방으로는 몇 안 되는 완전 포화된 지방으로 이루어진 코코넛 기름에 적셔져 있다. 현재 인도의 중산층 이상의 사람들은 풍요로운 생활과 식습관으로 인해 비만이 점점 늘어가는 추세이다.
□ 베트남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는 나라는 우리나라와 소수 민족 중에 베트남도 속한다.
- 주식과 부식의 구별이 뚜렷하며, 주식을 쌀로 하고 있다. 우리에게는 베트남의 \'퍼(쌀국수)\'가 널리 소개 되었다.
- 베트남 사람들은 채소를 매우 많이 먹는다. 특히 쌀로 얇게 종이처럼 만들어 말려 놓은 라이스 페이퍼로 생채소를 싸 먹는다.
- 베트남의 주된 양념도 장류이다. 그러나 베트남 사람들은 생선을 발효시켜 만든 어장인 \'누크맘\'을 매우 중요한 양념으로 사용한다.
- 메콩강 하류에 퍼져 있는 남부지역은 베트남 제일의 곡창지대이다. 음식이 맛은 대체적으로 단데,`양념의 주가 되는 \'다레\'는 앞에서 서술한 누쿠맘에 라임이나 매운 고추가루를 섞어 만든 것이다. 중국식 국수를 만들 때에 국수에 섞는 천연 소다수인 ‘간수이’가 들어간 노란 면이나 튀김면을 볼 수 있는 것도 남부지역이다. 프랑스, 미국, 타이 요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 중부지역은 그대표적인 요리로 자주 ‘후에’요리가 등장한다. 후에는 한때 베트남의 수도였기 때문에 아직도 그 당시의 격식을 갖춘 궁중요리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 지역의 요리 중 특징적인 것은 제육과 콩을 찐 요리인 ‘가너우 도우’와 봉황 모습으로 차려내는 ‘포옹황 카이비이’, 새우튀김인 ‘카쿠온 치엔돈’ 등이 있다.
- 북부지역의 겨울은 점퍼를 입어야 할 정도로 서늘하다 못해 추운 곳이다. 남부보다는 음식이 덜 달고 덜 시면서 간이 약해 담백한 맛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가느다란 면과 함께 채소로 싸서 먹는 ‘깨’ 에다 돼지고기, 새우, 표고 등을 섞어 튀긴 ‘넴쿠아베’와 게와 뱀장어를 넣고 볶은 잡채인 ‘멘쿠우 루웅 사오’ 등이 있다
우리나라처럼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며 주식을 쌀로 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식생활 특징이 비슷한 점이 많고 그렇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 비해서 비만이 적은 편에 속한다.
□ 태 국
요리가 많으며, 야채를 깎아서 꽃이나 동물 모양을 만들어 화려하게 꾸미기도 한다. 또한 인도의 영향으로 카레를 먹는데 태국의 카레(껭)는 고추를 많이 넣은 아주 매운 레드카레와 코코넛밀크를 넣어 순한 맛이 나는 그린카레가 있다. 태국의 카레는 우리나라와 달리 마치 찌개 같은 모양이다. 그리고, 소나 돼지 등의 육류보다는 해산물과 야채, 열대과일을 재료로 많이 사용한다.
태국의 요리는 매운맛, 짠맛, 신맛, 단맛이 조화된 것이 특징으로 예를 들면 가장 널리 알려진 태국식 새우수프 요리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