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이론 - 기술기능이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사회학 이론 - 기술기능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구는 9학기 만에 졸업하고 사시를 봤는데, 또 낙방해서 난감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씨는 그나마 인력 수요가 많은 상대 출신이라 상황이 낫지만, 인문대나 이공계 출신 등 이력서 쓰기도 쉽지 않은 학생들의 상황은 더욱 열악하다.
유명 대학교 공대 출신의 윤모(28) 씨도 재수강과 취업준비에 시간을 보내다보니 10학기만에 어렵사리 대기업에 취업하게 됐다.
최 씨는 "다행히 취업에 성공하기는 했지만 10학기까지 다닌 것이 시간을 낭비했다는 생각은 든다"고 고백했다.
이들은 초과학기에 대한 수업료 부담에도 불구하고 청년실업자의 불명예를 쓰지 않으려 졸업을 미루고 있는 것이다.
특히 고학력일수록 취업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져 현재 서울대의 경우 모두 703명이, 고려대는 845명이 10학기째 재학 중이다.
유명 사립대에서 10학기째 재학중인 한모(30) 씨는 "좋은 일자리는 한정돼 있는데 고학력일수록 원하는 일자리의 수준은 높기 마련"이라며 "결국 취업 전 조금이라도 더 준비를 해서 '준비된' 취업지망생이 돼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일자리가 부족한 청년 백수 시대에, 사회에 진출하기 전부터 좌절을 먼저 배우는 대학생들은 상아탑을 떠나기가 두렵기만 하다.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0.01.20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66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