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뇌수막염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ase-뇌수막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문헌고찰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
1)정의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
2)뇌수막염의 유형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
①세균성 뇌수막염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
ⅰ)원인
ⅱ) 병태생리
ⅲ)임상증상
ⅳ)합병증
ⅴ) 진단
ⅵ)치료
ⅶ)예방
ⅷ)간호
②무균성 뇌수막염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4)
ⅰ)원인
ⅱ)증상
ⅲ)진단
ⅳ)치료
ⅴ)비교
③결핵성 뇌막염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
3)예방접종(Hib)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
➀What
➁Who?
➂When?
④How?
➄금기사항
➅Reactive

2.사례연구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6)
①일반정보
②진단적 검사 결과
③약물투여
④경과관찰사항

3.간호과정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9)
①불안
②비정상적인 체온 변화

4.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3)

5. 소감문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4)

본문내용

해(농, 섬유소 유착으로 인해)
ⅲ)임상증상
세균성 뇌막염의 임상증상
신생아
☞ 특징적인 증세가 없어 진단이 매우 어렵다.
☞ 증상이 애매하고 비 특징적이다.
☞ 출생 시는 정상이나 생후 며칠이 이 내에 행동과 모습이 약해 보인다.
☞ 억지 않으려고 한다.
☞ 잘 빨지 못한다.
☞ 구토 또는 설사
☞ 근육의 힘이 약하다.
☞ 운동의 결여
☞ 약한 울음소리
☞ 발병후기에 천문 팽창이 나타날 수 있다.
영아
어린아동
☞ 생후 3개월~2세 아동은 전형적인 증상이 거의 관찰 안됨.
☞ 발열, 구토, 현저한 불안정, 빈번 한 경련,( 종종 고음의 울음이 수 반됨.)
☞ 식이 섭취 불량
☞ 천문팽창
☞ 목 강직(nuchal rigidity)이 있을 수도 있음.
☞ Brudzinski 징후와 Kerning 징후는 진단에 도움이 안되며, 이 여령 군 에서는 이런 징후를 이끌어 내거나 평가하기 어렵다.
☞ 경막하 축농
(H. 인플루엔자감염)
특이성
징후
비특이성
징후
☞ 저체온 또는 발열(영아의 성숙도에 따름)
☞ 황달, 불안정, 졸음, 경련, 호흡의 불규칙 또는 무호흡, 청색증, 체중 감소
아동
청소년
☞ 갑작스러운 발병, 발열, 오한, 두 통, 구토, 감각변화, 경련 (흔히 초기징후), 불안정, 흥분
☞ 수면증, 섬망, 환간, 공격적 혹은 광적인 행동, 졸음, 혼미, 혼수
☞ 목 장직이 반궁긴장으로 발전될 수 도 있음
☞ Brudzinski 징후와 Kerning징후
☞ 쇼크 상태와 관련된 경우의 점상출 혈 혹은 자반성 발진
(뇌막 구균성 감염)
☞ 관절침범
(뇌막규균 및 H. 인플루엔자 감염.)
☞ 만성적 귀의 배액
(폐구균성 뇌막염)
ⅳ)합병증
뇌수종 - 감염이 뇌실까지 퍼져서 진한 농이나 섬유소가 분비되고, 유착으로 인해서 통 로가 막히면 뇌척수액의 흐름을 방해 하여 발생한다.
청력상실ㆍ신경마비 - 염증이 뇌신경으로 확대되거나 두개내압으로 인해서 신경이 압력 을 받고 손상 되어 발생한다.
뇌막구균성 패혈증 - 패혈증성 쇼크, 전이된 혈관내 응고, 양측성 부신출혈, 자반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고 사망률이 90%로 매우 높아 응급치료가 요구 된다.
기타 - 뇌성마비, 지능장애, 학습장애, 집중력 장애, 행동과다, 경련, 반신마비, 전신 마비, 행동장애
ⅴ)진단
요추천자(Lumbar Puncture)- 압력을 측정 하고, 배양, 그람염색법, 혈구 수 측정, 포도당 및 단백질 함유량 측정을 위한 검사물을 채취한다.
★목적: 중추 신경계가 감영증의 진단 or 지주막하 출혈의 진단
뇌척수액의 수집 및 제거.
지주막하로부터 혈액ㆍ농의 제거
약물이나 혈청의 주입
★검사 방법: Lateral 자세를 취한다.국소마취제를 이용하여 마취한다.
제3~4요추에서 지주막 하강까지 주입한다.재취needle제거드레싱
★주의사항: 시작과 종료 시 규칙적으로 압력을 측정해야 한다.
★금기증: 두개내 압력 상승으로 인해 요추천자시 뇌 탈출 위험성이 있을 경우.
천자할 부위의 피부 또는 피하조직에 화농성 변소가 있을 경우.
출혈성 질환을 앓고 있거나 항응고제를 투여 받고 있을 경우.
★합병증 -지속적인 뇌척수액 누출, 시술동안의 피하 혈관천공, 화농성 뇌막염의 원인이 되는 뇌척수액의 세균침입, 뇌 탈장을 유발 할 수 있다.
-후 복강 출혈, 요통, 통증, 마비 ,혈종, 호흡곤란
★결과 내용
color- 투명한 무색
포도당- 뇌척수약내에 세균이나 세포 수가 증가하여 포도당이 이화될 때 감소한다.
배양 및 그람염색법- 원인균을 확인 하는데 필요.
백혈구- 다핵백혈구 수가 증가 하지만 변화가 심하다.
포도당- 감염의 심한 정도와 지속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단백질- 증가한다.
CRP- 세균성 감염과 염증 질환 진단에 이용되는 비 특이적 급 성기 반응물질이다.
ⅵ)치료
초기 치료방법-격리, 항생제 치료, 적절한 수화상태 유지, 박테리아성 쇼크 관리,
경련조절, 체온조절, 빈혈 교정,합병증 치료
요추천자 후- 완료되는 대로 정백주입을 시작하여 항생제, 수액, 항 경련제를 투여하고 필 요 시에 심장모니터를 부착한다.
ⅶ) 예방
- A,C,Y,W-135 뇌막구균과 H. influenzae b 형에 대한 예방접종이 유용하다.
(H. influenzae b 형에 대한 예방접종은 2개월 영아부터 모든 아동에게 추천되고 있다.)
ⅷ) 간호
항생제를 투여한다.
24시간 동안 아동을 격리 시켜야 한다.
대부분의 아동들이 밝은 빛이나 소음, 자극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가능한 조용하 게 해 주고 환경자극을 감소시킨다.
베개를 베지 않은 채로 침대를 약간 높여준 상태를 편안해 하며 목의 경직 때문에 측 위로 눕힌 자세를 자주 취한다.
통증이나 불편감을 발생시키므로 아동의 머리를 들어 올리는 행동은 피한다.
첫 24~72시간의 통증을 평가하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간호를 시행한다.
신경학적 증상. 의식수준, 소변 량, 합병증과 관련한 증상. 특히 두개내압의 상승, 쇼크 및 호흡곤란 등을 세심하게 관찰한다.
경막하 삼출이나 폐쇄성 뇌수종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영아인 경우에는 두위를 측정 한다.
수분과 영양공금은 아동의 상태에 따라 결정한다.
감각이 둔한 아동은 구강으로 아무것도 먹이지 않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처음엔 유동식으로 시작하며 나이에 따라 적절한 음식으로 바꾸어 준다.
섭취량과 배설량에 대해서 기록함으로써 뇌부종이나 경막하 삼출등과 같은 수분축적, 쇼크의 발생 위험을 확인 할 수 있다.
질병의 진행이나 수행되는 모든 과정, 치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②무균성 뇌수막염
ⅰ)원인-바이러스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양성증후군(bening syndrome) 이며, 종종 풍진, 볼거리, 대상포진, 백혈병 등과 연관이 이다.
ⅱ)증상
-초기증상: 두통, 발열, 권태감, 위장계증상, 발병 후 1~2일 사이에 뇌막자극 증상.
-주증상: 복통, 구역질,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때로 전반적인 근육통, 인후통, 흉통 등의 증상이 관찰 되고, 반점상 구진성 발진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증상들은 자연적으로, 신속하게 가라앉으며, 3~10일 이후에 후유증이 없이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0.03.07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79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