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Intro ------------------------------------ 1
1.FedEx의 창업자 프레데릭 스미스 ----------------- 1
2. 회사 연혁 --------------------------------- 2
3. 회사 규모 --------------------------------- 3
4. 경영 및 시장환경 ---------------------------- 4
II. Contents ---------------------------------- 5
1. 기업 현황 ---------------------------------- 5
2. 재무구조 ---------------------------------- 6
3. 인력구조 ---------------------------------- 7
4. 제품소개 ---------------------------------- 7
5. 해외지사 ---------------------------------- 15
III. 전략 --------------------------------------- 15
1. 기본 전략 ---------------------------------- 15
2. 소비자의 느낌 ------------------------------- 16
3. 발전 가능성 ------------------------------- 17
IV. 마무리 ------------------------------------- 17
1.FedEx의 창업자 프레데릭 스미스 ----------------- 1
2. 회사 연혁 --------------------------------- 2
3. 회사 규모 --------------------------------- 3
4. 경영 및 시장환경 ---------------------------- 4
II. Contents ---------------------------------- 5
1. 기업 현황 ---------------------------------- 5
2. 재무구조 ---------------------------------- 6
3. 인력구조 ---------------------------------- 7
4. 제품소개 ---------------------------------- 7
5. 해외지사 ---------------------------------- 15
III. 전략 --------------------------------------- 15
1. 기본 전략 ---------------------------------- 15
2. 소비자의 느낌 ------------------------------- 16
3. 발전 가능성 ------------------------------- 17
IV. 마무리 ------------------------------------- 17
본문내용
서비스. 항공운송장 당 품목 수 제한 없음. Door to Broker 또는 Door to Broker to Destination 순으로 배달되는 서비스.
FedEx International Priority DirectDistribution 서비스
동일 국가내 여러 수취인에게 수화물을 발송할 경우 적합한 서비스. 통관 후 2 ~ 4일(영업일 기준) 소요. 과중량 발송물의 개별 화물당 사이즈 및 중량제한 없음.
FedEx International First 서비스
미국의 5000여 도시를 대상으로 오전 8:00에 도착되는 통관 door-to-door 배달 서비스. 통상 1~2일 소요(영업일 기준: 출발 도시에 따라 다름). 개당 최대 68 kg이내의 발송물에 적합한 서비스.
FedEx International Express Freight 서비스
정해진 시간에 공항에서 공항으로 운송해 드리는 서비스. 통상 1~2일 소요(영업일 기준). 아시아를 세계시장과 연결시켜 드리는 서비스.
5. 해외지사
전세계본사 : 미국 테네시주의 멤피스
각대륙별 본사
아시아 : 중국의 홍콩
캐나다 :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토론토
유럽 :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토론토
남미 : 미국 플로리다주의 마이애미
III. 전략
1. 기본 전략
FedEx의 E-Business 전략
FedEx의 E-Business 전략은 한 마디로 [정보(information)와 네트웍(network)을 통한 공급체인 통합(Supply-Chain Integration)]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FedEx는 엄청난 자원과 예산을 정보기술에 투자하고 있었는데, FedEx는 Logistics기업이라기보다는 차라리 IT(Information Technology : 정보기술)기업에 가깝다.
운송에 있어 최고를 자랑하는 FedEx Corporation의 한 부분인 페덱스는 전세계 국민 총생산액의 90%를 생산하는 지역들을 통관서비스와 환불보장 서비스를 포함한 각종 서비스로 24 - 48 시간내에 Door-to-Door 서비스로 연결한다. 하루에 330만개 이상의 화물을 전 세계 211개국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송배달하는 FedEx만의 네트워크만 봐도 역시 세계 최대의 특급 운송 회사임을 알 수 있다. 143,000명 이상의 종업원과 43,000지역의 사무소, 640여대의 항공기 그리고 45,000여대의 차량으로 이루어진 FedEx의 네트워크 파워 바로 그 파워가 FedEx PowerShip, FedEx interNetShip 등의 첨단 네트워크를 통해 백만명 이상의 고객과 긴말한 관계를 유지하게 만든다.
2. 소비자의 느낌
페덱스의 또 다른 장점은 소비자의 요구에 맞춘 끊임없는 서비스 개발이다. 페덱스는 지난 1월 경쟁관계에 있던 미국 우정국과 70억달러 규모의 업무협조 체제를 구축, 물류수송 서비스의 폭을 넓혔다. 이에 더해 미국, 유럽 및 아시아지역에서 서류 및 사무보조업체인 킨코스, MBE 등과 제휴, 페덱스 집하시설을 설치해 고객에게 다가가고 있다. 또 약속한 시간을 지키지 못하거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운임을 환불해주는 \'운임 환불제\'를 업계 최초로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
페덱스는 한국 시장을 중시, 주13회 운항을 하면서 페덱스 본사의 글로벌 네트워크 기술과 물류 관리망을 전수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서울 시내 9개 킨코스 지점을 통해 24시간 해외로 보낼 특급화물을 편리하게 접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소비자들은 다른 특송기업들 보다 빠르다는 생각을 하며 보다 신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비스의 질에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그림 6]
3. 발전 가능성
Fedex는 70년대 초까지만 해도 배송 사업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는 기업이었다. 당시 항공 화물의 절대 강자였던 에머리 항공화물(Emery Air Freight)에 맞서 철저히 서비스를 차별화하기로 하고 `절대적으로 필요한 화물이라면 야간에도 반드시 배달해드립니다`라는 배송 서비스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였다. 이를 통해 ‘철야배송(Night Delivery)시장’에서 높은 배송료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인 영업망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의 ‘Fedex’라는 이름은 페더럴 익스프레스라는 이름을 일반인들이 보다 쉽게 기억하도록 하기 위해 페덱스(FeDex)라고 줄여서 사용해 오던 중에 1994년 기업이미지 통합작업(CI)의 일환으로 아예 회사이름을 페덱스로 변경하였다. 이후 기업 브랜드이자 서비스 브랜드로서 모든 항공화물 운송서비스에 대하여 FedEx를 사용하고 있다. 브랜드의 의미는 미국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과 거래할 정도의 신뢰성과 익스프레스(Express)제트기를 운송 수단으로 사용하는 신속성을 결합했다는 의미이다.
‘Fedex’라는 브랜드 구조는 시장 진입 초기에 철저한 차별화 전략이 필요함을 여실히 보여준다. 즉 Fedex는 `전문화된 야간배송서비스`로 차별화 된 브랜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 굴지의 배송 서비스 회사로 성장할 수 있었다.
FedEx는 비즈니스 전략으로 빠르고 시간 제한적이고, 안정적인 유통을 위한 세계적인 수요만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과거에는 긴급서류를 가끔 이용하는 고객과, 주기적으로 이용하는 고객, 회사를 상대로 하여 회사의 물품을 연결하여 주는 고객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한 쇼핑 시 발생하는 물류를 포함하여 세계적인 수요만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인터넷 쇼핑과 같은 새로운 사업분야에 발빠르게 대응하기 때문에 발전가능성은 크다고 생각하다.
IV. 마무리
FEDEX에 대해서 조사하면서 여러 가지를 느낄 수 있었다. 미래의 소비패턴과 사람들이 원하는 것에 대해서 예측가능 해야만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사업분야가 생긴다면 누구보다도 발빠르게 대응하지 않는다면 살아남기 어렵다는 것이다. 아무것도 생산하지 않는 기업인 FEDEX는 어느 다른 기업보다도 높은 수익률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제는 서비스 산업도 무시할 수 없는 분야라고 생각이 든다. 그렇기에 우리도 이제 서비스 산업에 있어서 고객들의 불만을 보다 신중히 생각하여서 실천에
FedEx International Priority DirectDistribution 서비스
동일 국가내 여러 수취인에게 수화물을 발송할 경우 적합한 서비스. 통관 후 2 ~ 4일(영업일 기준) 소요. 과중량 발송물의 개별 화물당 사이즈 및 중량제한 없음.
FedEx International First 서비스
미국의 5000여 도시를 대상으로 오전 8:00에 도착되는 통관 door-to-door 배달 서비스. 통상 1~2일 소요(영업일 기준: 출발 도시에 따라 다름). 개당 최대 68 kg이내의 발송물에 적합한 서비스.
FedEx International Express Freight 서비스
정해진 시간에 공항에서 공항으로 운송해 드리는 서비스. 통상 1~2일 소요(영업일 기준). 아시아를 세계시장과 연결시켜 드리는 서비스.
5. 해외지사
전세계본사 : 미국 테네시주의 멤피스
각대륙별 본사
아시아 : 중국의 홍콩
캐나다 :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토론토
유럽 :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토론토
남미 : 미국 플로리다주의 마이애미
III. 전략
1. 기본 전략
FedEx의 E-Business 전략
FedEx의 E-Business 전략은 한 마디로 [정보(information)와 네트웍(network)을 통한 공급체인 통합(Supply-Chain Integration)]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FedEx는 엄청난 자원과 예산을 정보기술에 투자하고 있었는데, FedEx는 Logistics기업이라기보다는 차라리 IT(Information Technology : 정보기술)기업에 가깝다.
운송에 있어 최고를 자랑하는 FedEx Corporation의 한 부분인 페덱스는 전세계 국민 총생산액의 90%를 생산하는 지역들을 통관서비스와 환불보장 서비스를 포함한 각종 서비스로 24 - 48 시간내에 Door-to-Door 서비스로 연결한다. 하루에 330만개 이상의 화물을 전 세계 211개국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송배달하는 FedEx만의 네트워크만 봐도 역시 세계 최대의 특급 운송 회사임을 알 수 있다. 143,000명 이상의 종업원과 43,000지역의 사무소, 640여대의 항공기 그리고 45,000여대의 차량으로 이루어진 FedEx의 네트워크 파워 바로 그 파워가 FedEx PowerShip, FedEx interNetShip 등의 첨단 네트워크를 통해 백만명 이상의 고객과 긴말한 관계를 유지하게 만든다.
2. 소비자의 느낌
페덱스의 또 다른 장점은 소비자의 요구에 맞춘 끊임없는 서비스 개발이다. 페덱스는 지난 1월 경쟁관계에 있던 미국 우정국과 70억달러 규모의 업무협조 체제를 구축, 물류수송 서비스의 폭을 넓혔다. 이에 더해 미국, 유럽 및 아시아지역에서 서류 및 사무보조업체인 킨코스, MBE 등과 제휴, 페덱스 집하시설을 설치해 고객에게 다가가고 있다. 또 약속한 시간을 지키지 못하거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운임을 환불해주는 \'운임 환불제\'를 업계 최초로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
페덱스는 한국 시장을 중시, 주13회 운항을 하면서 페덱스 본사의 글로벌 네트워크 기술과 물류 관리망을 전수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서울 시내 9개 킨코스 지점을 통해 24시간 해외로 보낼 특급화물을 편리하게 접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소비자들은 다른 특송기업들 보다 빠르다는 생각을 하며 보다 신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비스의 질에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그림 6]
3. 발전 가능성
Fedex는 70년대 초까지만 해도 배송 사업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는 기업이었다. 당시 항공 화물의 절대 강자였던 에머리 항공화물(Emery Air Freight)에 맞서 철저히 서비스를 차별화하기로 하고 `절대적으로 필요한 화물이라면 야간에도 반드시 배달해드립니다`라는 배송 서비스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였다. 이를 통해 ‘철야배송(Night Delivery)시장’에서 높은 배송료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인 영업망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의 ‘Fedex’라는 이름은 페더럴 익스프레스라는 이름을 일반인들이 보다 쉽게 기억하도록 하기 위해 페덱스(FeDex)라고 줄여서 사용해 오던 중에 1994년 기업이미지 통합작업(CI)의 일환으로 아예 회사이름을 페덱스로 변경하였다. 이후 기업 브랜드이자 서비스 브랜드로서 모든 항공화물 운송서비스에 대하여 FedEx를 사용하고 있다. 브랜드의 의미는 미국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과 거래할 정도의 신뢰성과 익스프레스(Express)제트기를 운송 수단으로 사용하는 신속성을 결합했다는 의미이다.
‘Fedex’라는 브랜드 구조는 시장 진입 초기에 철저한 차별화 전략이 필요함을 여실히 보여준다. 즉 Fedex는 `전문화된 야간배송서비스`로 차별화 된 브랜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 굴지의 배송 서비스 회사로 성장할 수 있었다.
FedEx는 비즈니스 전략으로 빠르고 시간 제한적이고, 안정적인 유통을 위한 세계적인 수요만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과거에는 긴급서류를 가끔 이용하는 고객과, 주기적으로 이용하는 고객, 회사를 상대로 하여 회사의 물품을 연결하여 주는 고객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한 쇼핑 시 발생하는 물류를 포함하여 세계적인 수요만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인터넷 쇼핑과 같은 새로운 사업분야에 발빠르게 대응하기 때문에 발전가능성은 크다고 생각하다.
IV. 마무리
FEDEX에 대해서 조사하면서 여러 가지를 느낄 수 있었다. 미래의 소비패턴과 사람들이 원하는 것에 대해서 예측가능 해야만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사업분야가 생긴다면 누구보다도 발빠르게 대응하지 않는다면 살아남기 어렵다는 것이다. 아무것도 생산하지 않는 기업인 FEDEX는 어느 다른 기업보다도 높은 수익률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제는 서비스 산업도 무시할 수 없는 분야라고 생각이 든다. 그렇기에 우리도 이제 서비스 산업에 있어서 고객들의 불만을 보다 신중히 생각하여서 실천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