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필요성
Ⅲ.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용어
1. RM
2. 세트
3. 반복 횟수
4. 운동 빈도
5. 인체 분절
Ⅳ.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장비
Ⅴ.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부위별 운동법
1. 가슴부위
1) 벤치 프레스
2) 인클라인 프레스
3) 디클라인 프레스
4) 플라이
5) 풀 오버
2. 어깨부위
1) 밀리터리 프레스
2) 백 프레스
3) 사이드 래터널 레이즈
4) 스탠딩 덤벨 프레스
5) 스탠딩 로우 풀리 사이드 레이즈
3. 등 부위
1) 하이 풀리 머신
2) T바 로우잉
3) 바벨 로우잉
4) 덤벨 로우잉
Ⅵ.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자세별 운동법
1. STANDING(선다)
2. SEATING(앉는다)
Ⅶ.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기대 효과
1. 근육을 강화시켜 각종 관절질환 및 요통을 예방한다
2. 몸매가 보기 좋게 변한다
3. 생활이 편해진다
4. 다이어트 효과에 있어 반영구적이다
5. 근육강화운동은 몸에 기를 넣어준다
참고문헌
Ⅱ.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필요성
Ⅲ.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용어
1. RM
2. 세트
3. 반복 횟수
4. 운동 빈도
5. 인체 분절
Ⅳ.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장비
Ⅴ.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부위별 운동법
1. 가슴부위
1) 벤치 프레스
2) 인클라인 프레스
3) 디클라인 프레스
4) 플라이
5) 풀 오버
2. 어깨부위
1) 밀리터리 프레스
2) 백 프레스
3) 사이드 래터널 레이즈
4) 스탠딩 덤벨 프레스
5) 스탠딩 로우 풀리 사이드 레이즈
3. 등 부위
1) 하이 풀리 머신
2) T바 로우잉
3) 바벨 로우잉
4) 덤벨 로우잉
Ⅵ.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자세별 운동법
1. STANDING(선다)
2. SEATING(앉는다)
Ⅶ.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기대 효과
1. 근육을 강화시켜 각종 관절질환 및 요통을 예방한다
2. 몸매가 보기 좋게 변한다
3. 생활이 편해진다
4. 다이어트 효과에 있어 반영구적이다
5. 근육강화운동은 몸에 기를 넣어준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을 한다는 것은 단지 몸을 튼튼하게 하는 체력 만들기가 아니라 몸과 마음의 균형을 유지하고 활동적인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것이므로 평소의 모든 면에서 배려와 개선이 필요하다.
Ⅱ.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필요성
오늘날 사회가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인간의 생활은 편리를 추구하는 쪽으로 빠르게 변화하였다. 편리를 추구하는 쪽이란, 결국은 육체의 노동이 예전보다 줄어듦을 의미한다. 우선은 이동 수단이 발달하여 걸어 다닐 일이 줄어들고 정보화로 인해 집에서 네트워크 인터넷 구축망을 통해 모든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비만, 각종 관절염 및 성인병에 걸릴 확률이 더욱 높아졌다. 이제는 저절로 건강이 유지되는 시대가 아니라 일부러 관심을 기울여 건강을 지켜야 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신체는 사용하지 않으면 둔화되도록 되어 있고 체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으려면 운동을 하는 방법 밖에는 없다고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스포츠 활동에 관심이 커지고 있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학생, 직장인, 주부에 이르기까지 건강과 신체활동에 대한 관심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서 스포츠센터, 헬스클럽, 비만관리실, 미용 체조실 등이 전국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다. 특히 이 중에서도 가장 많은 사람들이 접할 수 있는 운동 중에 하나가 웨이트 트레이닝이다. 근력 강화가 요구되는 운동선수들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일반인들의 경우에 있어서도 웨이트 트레이닝의 중요성은 새로이 부각되고 있다. 일반인이 쉽게 접할 수 있는 걷기, 달리기, 수영과 같은 유산소 운동들은 신체의 전반적인 발달이나 근력, 근지구력의 증가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운동을 실시함으로서 신체 각 부위의 근력, 근육을 증가시켜야 한다.
Ⅲ.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용어
1. RM
어떠한 무게를 반복해서 들 수 있는 최대의 양을 말하고, 특히 한 번 반복해서 들 수 있는 최대의 양을 1RM이라 한다. RM은 Repetition Maximum의 약자이다.
2. 세트
정해진 무게로 일련의 운동을 실시하는 것을 세트(set)라 한다.
3. 반복 횟수
세트 내에서 운동하는 횟수를 반복 횟수(repetition)라 한다.
4. 운동 빈도
주당 운동 횟수(frequency)를 말한다.
5. 인체 분절
인체의 각 부분에 대한 명칭으로 인체를 머리, 몸통을 포함하고 오른쪽 편에는 어깨 관절과 팔꿈치 관절 사이에 있는 상완과 팔꿈치 관절과 손목 관절 사이에 있는 전완 및 손이 있고 왼쪽 편에도 동일한 분절들이 있다. 하체의 경우 마찬가지로 오른쪽 편에 고관절과 무릎 관절 사이에 있는 대퇴와 무릎 관절과 발목 관절 사이에 있는 하퇴 및 발이 있고 왼쪽 편에도 동일한 분절들이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한 웨이트 트레이닝 시에 어느 특정 부위를 강화하기 위해 언급할 때 특히 유익하게 이용된다.
Ⅳ.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장비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기 위한 운동 장비는 크게 3가지 형태로 나누어질 수 있다. 첫째,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기 위한 가장 전통적인 형태인 프리 웨이트 형태가 있다. 이 장비에는 올림픽 스타일과 1인치 등의 바벨 형태와 다양한 덤벨이 있고, 가격은 다른 장비들에 비해 저렴한 편이나 안전상의 문제가 취약점이다.
둘째, 무게를 이용해서 저항력을 가하는 머신 형태가 있다. 이러한 장비들은 도르래나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만들어졌고, 안전성과 시간의 경제성 측면에서 우수하나 근력을 운동 수행력(여기에는 균형감각과 조정력 등이 포함될 수 있음)으로 전환시키는 데에는 한계점을 가진다.
셋째, 등속성 장비로 이 장비는 자체가 저항을 느끼도록 고안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저항을 가할 필요가 없고 다양한 훈련 속도를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운동 단위에 맞는 트레이닝을 요구하는 엘리트 선수나 재활 의학에서도 자주 사용되지만, 그 효과 면에서 다소 미진한 단점을 가진다.
이 외에도 리프팅 벨트나 스트랩, 트레이닝복과 트레이닝화 등과 같은 기타 장비가 있다.
Ⅴ.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부위별 운동법
1. 가슴부위
1) 벤치 프레스
가슴의 중간부위, 삼각근 전면, 상완 삼두근을 발달시킨다. 바 둘레를 엄지손가락으로 감싸 바로 잡으며 폭은 어깨넓이로 중심이 맞게 잡는다. 등 부위는 벤치에 대고 발바닥은 지면에 착지시킨다. 힘을 쓸 때 허리를 아치형으로 만들거나 몸을 뒤틀지 않는다. 바는 가슴의 유두 쪽으로 서서히 내리도록 하고 바를 올릴 때는 팔을 완전히 펴도록 한다.
바를 위로 밀어 올릴 때 숨을 내쉰다.
2) 인클라인 프레스
가슴 윗부분, 삼각근 전면, 상완 삼두근을 발달시킨다. 바벨과 덤벨 모두로 할 수 있다. 뻗은 팔의 자세를 유지하는데 별로 힘이 들지 않아야 한다.
3) 디클라인 프레스
가슴 아랫부분과 triceps를 발달시킨다. 뻗은 팔의 자세를 유지하는데 별로 힘이 들지 않아야 한다.
4) 플라이
가슴의 중간부위를 발달시킨다. 팔은 반원을 그리듯 양옆으로 내리고 올린다. 팔을 적당히 굽히지 않고 펴고 하면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가슴근육을 스트레치 시키는데 중점을 둔다. 인클라인과 디클라인 벤치에서도 할 수 있다. 팔을 시작 자세로 되돌리면서 숨을 내쉰다.
5) 풀 오버
가슴근육을 발달시킨다. 두 팔은 가능한 한 멀리 뻗치도록 노력한다. 팔은 굽혀도 좋으며 가슴을 뻗치는데 중점을 두도록 한다. 팔의 동작은 반원을 그리도록 하며 시작과 끝의 동작은 팔이 가슴 위에서 뻗쳐 있는 상태이다. 시작 자세로 부하를 되돌리면서 숨을 내쉰다.
2. 어깨부위
1) 밀리터리 프레스
삼각근 중앙부위, 승모근, 상완 삼두근을 발달시킨다. 서서 하는 것 보다 앉아서 하는 것이 훨씬 엄격한 훈련이 된다. 허리가 아픈 사람은 이 운동 실시하지 말아야 한다. 허리를 곧게 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어깨너비로 바로 잡고 운동하며 팔을 완전히 펴준다. 부하를 위로 올리면서 숨을 내쉰다.
2) 백 프레스
삼각근의 앞부분과 옆 부분을 발달시킨다. 압력을 주는 운동은 모두 삼두근도 함께 훈련시킨다. 서 있는 자세에서도 운동이 가능하나, 앉아서 훈련하는 것을
Ⅱ.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필요성
오늘날 사회가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인간의 생활은 편리를 추구하는 쪽으로 빠르게 변화하였다. 편리를 추구하는 쪽이란, 결국은 육체의 노동이 예전보다 줄어듦을 의미한다. 우선은 이동 수단이 발달하여 걸어 다닐 일이 줄어들고 정보화로 인해 집에서 네트워크 인터넷 구축망을 통해 모든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비만, 각종 관절염 및 성인병에 걸릴 확률이 더욱 높아졌다. 이제는 저절로 건강이 유지되는 시대가 아니라 일부러 관심을 기울여 건강을 지켜야 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신체는 사용하지 않으면 둔화되도록 되어 있고 체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으려면 운동을 하는 방법 밖에는 없다고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스포츠 활동에 관심이 커지고 있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학생, 직장인, 주부에 이르기까지 건강과 신체활동에 대한 관심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서 스포츠센터, 헬스클럽, 비만관리실, 미용 체조실 등이 전국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다. 특히 이 중에서도 가장 많은 사람들이 접할 수 있는 운동 중에 하나가 웨이트 트레이닝이다. 근력 강화가 요구되는 운동선수들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일반인들의 경우에 있어서도 웨이트 트레이닝의 중요성은 새로이 부각되고 있다. 일반인이 쉽게 접할 수 있는 걷기, 달리기, 수영과 같은 유산소 운동들은 신체의 전반적인 발달이나 근력, 근지구력의 증가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운동을 실시함으로서 신체 각 부위의 근력, 근육을 증가시켜야 한다.
Ⅲ.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용어
1. RM
어떠한 무게를 반복해서 들 수 있는 최대의 양을 말하고, 특히 한 번 반복해서 들 수 있는 최대의 양을 1RM이라 한다. RM은 Repetition Maximum의 약자이다.
2. 세트
정해진 무게로 일련의 운동을 실시하는 것을 세트(set)라 한다.
3. 반복 횟수
세트 내에서 운동하는 횟수를 반복 횟수(repetition)라 한다.
4. 운동 빈도
주당 운동 횟수(frequency)를 말한다.
5. 인체 분절
인체의 각 부분에 대한 명칭으로 인체를 머리, 몸통을 포함하고 오른쪽 편에는 어깨 관절과 팔꿈치 관절 사이에 있는 상완과 팔꿈치 관절과 손목 관절 사이에 있는 전완 및 손이 있고 왼쪽 편에도 동일한 분절들이 있다. 하체의 경우 마찬가지로 오른쪽 편에 고관절과 무릎 관절 사이에 있는 대퇴와 무릎 관절과 발목 관절 사이에 있는 하퇴 및 발이 있고 왼쪽 편에도 동일한 분절들이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한 웨이트 트레이닝 시에 어느 특정 부위를 강화하기 위해 언급할 때 특히 유익하게 이용된다.
Ⅳ.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장비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기 위한 운동 장비는 크게 3가지 형태로 나누어질 수 있다. 첫째,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기 위한 가장 전통적인 형태인 프리 웨이트 형태가 있다. 이 장비에는 올림픽 스타일과 1인치 등의 바벨 형태와 다양한 덤벨이 있고, 가격은 다른 장비들에 비해 저렴한 편이나 안전상의 문제가 취약점이다.
둘째, 무게를 이용해서 저항력을 가하는 머신 형태가 있다. 이러한 장비들은 도르래나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만들어졌고, 안전성과 시간의 경제성 측면에서 우수하나 근력을 운동 수행력(여기에는 균형감각과 조정력 등이 포함될 수 있음)으로 전환시키는 데에는 한계점을 가진다.
셋째, 등속성 장비로 이 장비는 자체가 저항을 느끼도록 고안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저항을 가할 필요가 없고 다양한 훈련 속도를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운동 단위에 맞는 트레이닝을 요구하는 엘리트 선수나 재활 의학에서도 자주 사용되지만, 그 효과 면에서 다소 미진한 단점을 가진다.
이 외에도 리프팅 벨트나 스트랩, 트레이닝복과 트레이닝화 등과 같은 기타 장비가 있다.
Ⅴ. 웨이트트레이닝(헬스, 보디빌딩)의 부위별 운동법
1. 가슴부위
1) 벤치 프레스
가슴의 중간부위, 삼각근 전면, 상완 삼두근을 발달시킨다. 바 둘레를 엄지손가락으로 감싸 바로 잡으며 폭은 어깨넓이로 중심이 맞게 잡는다. 등 부위는 벤치에 대고 발바닥은 지면에 착지시킨다. 힘을 쓸 때 허리를 아치형으로 만들거나 몸을 뒤틀지 않는다. 바는 가슴의 유두 쪽으로 서서히 내리도록 하고 바를 올릴 때는 팔을 완전히 펴도록 한다.
바를 위로 밀어 올릴 때 숨을 내쉰다.
2) 인클라인 프레스
가슴 윗부분, 삼각근 전면, 상완 삼두근을 발달시킨다. 바벨과 덤벨 모두로 할 수 있다. 뻗은 팔의 자세를 유지하는데 별로 힘이 들지 않아야 한다.
3) 디클라인 프레스
가슴 아랫부분과 triceps를 발달시킨다. 뻗은 팔의 자세를 유지하는데 별로 힘이 들지 않아야 한다.
4) 플라이
가슴의 중간부위를 발달시킨다. 팔은 반원을 그리듯 양옆으로 내리고 올린다. 팔을 적당히 굽히지 않고 펴고 하면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가슴근육을 스트레치 시키는데 중점을 둔다. 인클라인과 디클라인 벤치에서도 할 수 있다. 팔을 시작 자세로 되돌리면서 숨을 내쉰다.
5) 풀 오버
가슴근육을 발달시킨다. 두 팔은 가능한 한 멀리 뻗치도록 노력한다. 팔은 굽혀도 좋으며 가슴을 뻗치는데 중점을 두도록 한다. 팔의 동작은 반원을 그리도록 하며 시작과 끝의 동작은 팔이 가슴 위에서 뻗쳐 있는 상태이다. 시작 자세로 부하를 되돌리면서 숨을 내쉰다.
2. 어깨부위
1) 밀리터리 프레스
삼각근 중앙부위, 승모근, 상완 삼두근을 발달시킨다. 서서 하는 것 보다 앉아서 하는 것이 훨씬 엄격한 훈련이 된다. 허리가 아픈 사람은 이 운동 실시하지 말아야 한다. 허리를 곧게 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어깨너비로 바로 잡고 운동하며 팔을 완전히 펴준다. 부하를 위로 올리면서 숨을 내쉰다.
2) 백 프레스
삼각근의 앞부분과 옆 부분을 발달시킨다. 압력을 주는 운동은 모두 삼두근도 함께 훈련시킨다. 서 있는 자세에서도 운동이 가능하나, 앉아서 훈련하는 것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