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요][서동요][회소곡][도솔가][제망매가][찬기파랑가]신라시대 향가 풍요, 신라시대 향가 서동요, 신라시대 향가 회소곡과 통일신라시대 향가 도솔가, 통일신라시대 향가 제망매가, 통일신라시대 향가 찬기파랑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풍요][서동요][회소곡][도솔가][제망매가][찬기파랑가]신라시대 향가 풍요, 신라시대 향가 서동요, 신라시대 향가 회소곡과 통일신라시대 향가 도솔가, 통일신라시대 향가 제망매가, 통일신라시대 향가 찬기파랑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신라시대 향가 풍요
1. 풍요의 원문
2. 풍요의 작품이해

Ⅱ. 신라시대 향가 서동요
1. 서동요의 원문과 해독
2. 서동요의 작품 해제
1) 작자
2) 연대
3) 갈래
4) 성격
5) 주제
6) 의의
3. 서동요의 시어와 시구 풀이
4. 서동요의 핵심내용
5. 서동요의 감상 길라잡이
6. 서동요의 배경 설화
7. 서동요에 대한 이설(異說)

Ⅲ. 신라시대 향가 회소곡

Ⅳ. 통일신라시대 향가 도솔가
1. 도솔가의 원문과 해독
1) 兜率歌
2) 양주동 해독
3) 양주동 현대역
4) 김완진 해독
5) 김완진 현대역
2. 도솔가의 배경 설화

Ⅴ. 통일신라시대 향가 제망매가
1. 제망매가의 원문
2. 제망매가의 작품이해

Ⅵ. 통일신라시대 향가 찬기파랑가
1. 찬기파랑가의 원문과 해독
2. 찬기파랑가의 작품이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日現, 挾旬不滅. 日官奏請緣僧, 作散花功德則可禳. 於是, 潔壇於<朝元殿>, 駕幸<靑陽樓>, 望緣僧. 時有<月明師>, 行于阡陌時之南路, 王使召之, 命開壇作啓. <明>奏云: 臣僧但屬於國仙之徒, 只解<鄕歌>, 不閑聲<梵>. 王曰: 旣卜緣僧, 雖用<鄕歌>可也. <明>乃作《兜率歌》賦之, 其詞曰: 今日此矣散花唱良巴, 寶白乎隱花良汝隱, 直等隱心音矣命叱使以惡只, 彌勒座主陪立羅良. 解曰: <龍樓>此日《散花歌》, 挑送靑雲一片花, 殷重直心之所使, 遠邀<兜率>大僊家. 今俗謂此爲《散花歌》, 誤矣, 宜云《兜率歌》. 別有《散花歌》, 文多不載. 旣而日怪卽滅, 王嘉之, 賜品茶一襲, 水精念珠百八箇. 忽有一童子, 儀形鮮潔, 奉茶珠, 從殿西小門而出. <明>謂是內宮之使, 王謂師之從者, 及玄徵而俱非. 王甚異之, 使人追之, 童入內院塔中而隱, 茶珠在南壁慈氏像前. 知<明>之至德至誠, 能昭假于至聖也如此. 朝野莫不聞知, 王益敬之, 更絹一百疋, 以表鴻誠. <明>又嘗爲亡妹營齋, 作鄕歌祭之, 忽有驚吹紙錢, 飛擧向西而沒. 歌曰: 生死路隱, 此矣有阿米次伊遣, 吾隱去內如辭叱都, 毛如云遣去內尼叱古, 於內秋察早隱風未, 此矣彼矣浮良落尸葉如一等隱枝良出古, 去奴隱處毛冬乎丁, 阿也, 彌刹良逢乎, 吾道修良待是古如. <明>常居<四天王寺>, 善吹笛. 嘗月夜吹過門前大路, 月馭爲之停輪. 因名其路曰<月明里>, 師亦以是著名. 師卽<能俊大師>之門人也. <羅>人尙<鄕歌>者尙矣. 盖詩頌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 讚曰: 風送飛錢資逝妹, 笛搖明月住<姮娥>. 莫言<兜率>連天遠, 萬德花迎一曲歌.
Ⅴ. 통일신라시대 향가 제망매가
1. 제망매가의 원문
生死路隱
此矣有阿米次伊遣
吾隱去內如辭叱都
毛如云遣去內尼叱古
於內秋察早隱風未
此矣彼矣浮良落葉如
一等隱枝良出古
去奴隱處毛冬乎丁
阿也 彌刹良逢乎吾
道修叱良待是古如
2. 제망매가의 작품이해
소창진평의 해독에서는 현대어형의 혼재 등 어설퍼 보이는 측면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월명사 특유의 투명한 표기 덕택에 큰 테두리는 자리를 잡고 있다고 평할 수 있다. 후배 해독자들의 성과와의 거리가 가장 좁은 경우의 하나일 것이다. 물론 양주동에 와서 매우 말끔한 모습을 지니게 되었고 정립과 같은 괄목할만한 성과가 확인되지만, 저히고(次伊遣)의 계승이 있다는 점에서 두 분을 제1기의 해독자라고 생각할 수 있다.
두 분의 해독과 비교했을 때 필자의 그것도 문제의 네 글자를 머뭇그리고라 달리 읽은 것을 제외하고는 음운 및 형태 차원에서의 조정을 크게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고 자평할 수 있겠다. 이런 일종의 무난함이 상당히 오랜 기간 필자의 해독을 고등학교 교재에 실릴 수 있게 하였던 것이 아닐까 한다.
저히고에 대한 반발은 지헌영(1947)에게서부터 시작되어 즈흘이고 서재극(1974)의 멈흐리견 그리고 그 쌍생아격인 필자의 머뭇그리고까지 나오는데 그 사이에 김선기(1967-1975, 뒤에 1993)의 마이자깔이고까지가 끼어 있어 그야말로 백화난만, 보는 사람이 갈피를 잡기 힘들다.
소창진평이라는 거목이 드리운 그늘이 너무나 깊어 해독자들이 거기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부끄러움에 시달린다. 연전에 크고 작은 글들을 모아 낸 책이 있다.
거기에 제망매가와 정토사상 및 향가에 대한 두어 가지 생각이라는 두 편의 글이 들어 있는데, 앞의 것은 장황하면서도 덜 익어 부끄러운 것이요, 뒤의 것 끝에서는 좀더 반추한 내용을 선뵌 것으로 생각한다.
제망매가의 끝의 줄 道 닦아 기다리겠노라에서의 주어는 월명사인데, 그처럼 고덕한 스님이 서방 정토에 태어나는 것은 당연한 것이거니와 거기에 먼저가 있으면서 아직도 道를 닦는다는 것이 이치에 닿는 일이겠는가. 정토를 찾아드는 중생들은 불보살의 마중을 받는다는 친영의라는 개념도 있지 않는가. 힘이 부쳐 허우적거리며 찾아드는 가련한 누이를 위하여 길을 닦아 나간다는 것이 더 아름다운 정경이 아니겠는가. 그런 생각을 하니, 지헌영 선생이 길을이라고 읽은 것이 눈에 들어올 수 있었다.
그러나 돌이켜 보면 이것은 아직 치졸한 일장의 환상에 지나지 않는다. 극락왕생(極樂往生)이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던가. 왕생담의 주인공들은 가령 비천한 욱면의 경우에서도 보듯, 일순에 몸을 솟구쳐 여인이면 그 여신(女身)을 버리며 즉시 서천으로 날아가는 것이 아니던가. 그렇다면 아직 살아서 누이동생을 위하여 재를 올리고 있는 월명사가 누이보다 앞서 극락에 가 있을 수는 없다. 거기서 기다리는 것은 월명이 아니라 그 누이라야만 한다.
이제 제망매가 문면의 끝 부분을 다시 보자. 逢乎吾의 나에는 조사가 붙어 있지 않다. 그런데도 소창진평은 나이라 하고 양주동은 내라고 함으로서 기드리고다가 나의 행동이 될 수밖에 없었다. 필자를 포함하여 나에 주격 표지를 붙이지 않은 사람들도 여전히 그것을 주어로 하여 기다리겠노라 하고 있는 것은 여전히 소창진평의 주술에서 벗어나지 못한 증거가 된다.
나(吾)를 목적어로 하였을 때, 기드리고다의 고다는 더 이상 겠노라가 될 수는 없다. 기다리렷다와 같은 당위성의 어미가 오기에 적합한 자리가 되는 것이겠다.
일찍이 양주동 선생(1965)은 제망매가의 고다는 원망의 뜻을 가지고 있는 반면 안민가의 두 고다에는 그런 뜻이 없고 단순히 장연(將然) 당연(當然)의 의미만을 가진다 하였으나, 이제 우리는 세 경우 모두를 한 범주에 묶을 수 있게 된다고 생각한다. 다만 중세어에서 이에 필적하는 문증이 없는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데, 방언형의 관찰 쪽에 막연하나마 기대를 걸고 있다.
이제 자세히 보니 안민가의 한쪽 知古如에 대하여 소창진평이 분명 알지어다의 뜻인 sirunare라 한 것이 눈에 들어오는데 다른 쪽은 평범한 평서법으로 하고 있는데, 귀납이 아닌 직관에 의지하였던 것 같다.
Ⅵ. 통일신라시대 향가 찬기파랑가
1. 찬기파랑가의 원문과 해독
讚耆婆郞歌
咽嗚爾處米 (열치매)
露曉邪隱月羅理 (나토얀 리)
白雲音逐于浮去隱安 下 (흰구룸 조추 가 안디하)
沙是八陵隱汀理也中 (새파 나리여)
耆郞矣 史是史藪邪 (耆郞의 즈 이슈라)
逸烏川理叱 惡希 (일로 나릿 )
郞也持以 如賜烏隱 (郎 디니다샤온)
心未際叱 逐內良齊 ( 좇우아져)
阿耶栢史叱枝次高支好 (아으 잣ㅅ가지 노파)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서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3.2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36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