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동요 - 신라시대의 향가
1. 서동요의 원문과 해독
1) 薯童謠
2) 양주동 해독
3) 양주동 현대역
4) 김완진 해독
5) 김완진 현대역
2. 서동요의 배경 설화
Ⅱ. 풍요 - 신라시대의 향가
1. 풍요의 원문과 해독
2. 풍요의 작품이해
Ⅲ. 혜성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혜성가의 원문
2. 혜성가의 작품이해
Ⅳ. 도솔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Ⅴ. 찬기파랑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찬기파랑가의 원문과 해독
1) 원문
2) 양주동 해독
3) 양주동 현대역
4) 김완진 해독
5) 김완진 현대역
2. 찬기파랑가의 배경 설화
Ⅵ.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원문과 해독
2.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작품이해
참고문헌
1. 서동요의 원문과 해독
1) 薯童謠
2) 양주동 해독
3) 양주동 현대역
4) 김완진 해독
5) 김완진 현대역
2. 서동요의 배경 설화
Ⅱ. 풍요 - 신라시대의 향가
1. 풍요의 원문과 해독
2. 풍요의 작품이해
Ⅲ. 혜성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혜성가의 원문
2. 혜성가의 작품이해
Ⅳ. 도솔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Ⅴ. 찬기파랑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찬기파랑가의 원문과 해독
1) 원문
2) 양주동 해독
3) 양주동 현대역
4) 김완진 해독
5) 김완진 현대역
2. 찬기파랑가의 배경 설화
Ⅵ.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원문과 해독
2.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작품이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석장이 날아 절로 돌아왔으므로 석장사(錫杖寺)라 하였다 한다. 신기함이 대개 이와 같이 헤아릴 수가 없으며 그 밖에도 여러 가지 재주가 있었다. 또한 문장이 능숙하여 영묘사 장륙존상을 만들 때 장안의 남녀들이 다투어 진흙을 운반하면서 이 노래를 불렀다. 지금도 그곳 사람들이 방아를 찧거나 무엇을 다지거나 하는 일에는 모두 이 노래를 부르니 이 일로부터 시작된 것이다. 양주동의 해독을 보면 \"오다 오다 오다 / 오다 서럽다여 / 서럽다 우리들이여 / 功德 닦으러 오다\"이다. 이 노래는 영묘사의 장륙존상을 만들 때 성중의 남녀 등이 부른 노래로 내용은 공덕을 닦으러 오는 선남선녀의 행렬을 통해 한없는 열(列)을 상상할 수 있는 훌륭한 비유다. \'온다\'는 말의 연속적인 반복은 꿈에 공덕을 닦으러 온다는 말로 결론을 맺고 있다. 이런 형태는 민요의 원형으로서 후대에 이와 같은 민요형을 많이 볼 수 있으며 아울러 송영적(頌詠的) 성격을 지녀 음악성을 느끼게 한다. 노래 가운데 \'서럽더러\'는 믿음이 없는 현세에서의 삶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노래는 현존 향가의 민요적 성격을 가장 잘 보여준 형태의 노래(서동요)나 (헌화가)와 같이 신라의 향가는 여러 사람들에 의해 불려졌고 또한 그 속에는 불교의 포교적인 교리가 은연중 내포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Ⅲ. 혜성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혜성가의 원문
彗星歌
舊理東尸汀叱
乾達婆矣游烏隱城叱 兮良望良古
倭理叱軍置來叱多
烽燒邪隱邊也藪耶
三花矣岳音見賜烏尸聞古
月置入切爾數於將來尸波衣
道尸掃尸星利望良古
彗星也白反也人是有叱多
後句 達阿羅浮去伊叱等邪
此也友物比所音叱 兮叱只有叱故
2. 혜성가의 작품이해
고구려와 금장산에서 대치하였을 때 왜적 병선과 혜성이 출현함으로 불렀다는 노래이다. 이 노래는 유사 권 5 융천사 혜성가조에 실려 있다. 거열랑, 여섯째 실처랑, 일곱째 보동랑 등 세 화랑의 무리가 풍악(금강산)에 놀이를 가려 할 제 혜성이 나타나 心大星(북극성)을 범하였으므로, 이를 불길한 징조라 하여 풍악행을 중지하여 하였더니, 이때에 융천사가 노래를 지어 부름으로서, 혜성을 즉멸케하고, 일본병을 환국케 하였다. 왕은 화가 변하여 복이 되었다고 기뻐하여 화랑들에게 풍악놀이를 시켰다
언어와 사실을 동일시하려는 주술적 상징이 담겨 있다. 나타난 혜성이 없다고 함으로써 혜성을 사라지게 할 수 있다고 믿는 고대인의의식이 바탕이 되고 있으며, 이 노래를 지은 융천사의 이름이 천사(天師)인 것으로 보아 하늘의 일을 관장하는 전문관이자 주술사였다고 보아진다. 무속적인 전통이 불교적으로 고양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Ⅳ. 도솔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신라 유리왕 5 년에 지었다. 작자와 가사가 전해지지 않았다.
(儒理王) 五年....是年 民俗歡康 始製도率歌 此歌樂之始也
(유리왕) 5년. 이 해에 민속이 환강하여 비로소 도솔가를 지으니, 이것이 가악의 시초가 되었다. 그러나 나라를 편안하게 하자는 의도에서 부른 \'두릿노래\'(편안하게 하는 노래)로 보아야 한다는 의견이 강하다. 이는 후에 월명사가 지은 노래도 도솔가라는 이름으로 불리워지기 때문에 이는 한 편의 작품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경향 또는 갈래를 지칭한다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짧으나마 漢字로 기록되어 있는 迎神歌(고대가요 \'도솔가\')와도 달라서 노래도 전하여 있지 못한 이 두솔가는 참으로 막연하기 짝이 없지만 어쨌든 이 노래도 집단적으로 여러 사람이 함께 춤도 추고 노래도 부르면서 나라가 잘 다스려지는 것을 즐거워하며 노래한 민요적 성격을 띠운 문학이었으리라는 것은 틀림없을 것이다.(구자균, 한국평민문학사, 민족문화사,1982) 참고적으로 \'도솔\'은 범어(梵語) \'tusita\'에서 온 말로 지족(知足), 묘족(妙足), 희족(喜足), 희락(喜樂) 등으로 의역하는데, 이는 미륵보살이 사는 하늘이라는 뜻이다. \'도솔천\'이라는 명칭이 유사에서도 \'미륵보살의 정토\'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나 \'도솔가\'의 \'도솔\'이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고는 확언할 수 없다.
Ⅴ. 찬기파랑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찬기파랑가의 원문과 해독
1) 원문
咽嗚爾處米
露曉邪隱月羅理
白雲音逐于浮去隱安支下
沙是八陵隱汀理也中
耆郞矣貌史是史藪邪
逸烏川理叱惡希
郞也持以支如賜烏隱
心未際叱 逐內良齊
阿耶 栢史叱枝次高支乎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2) 양주동 해독
열치매 나토얀 리
구룸 조초 가 안디하
새파 나리여
耆郞 즈 이슈라
일로 나릿
郞 디니다샤온
좇누아져
아으 잣ㅅ가지 노파
서리
Ⅲ. 혜성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혜성가의 원문
彗星歌
舊理東尸汀叱
乾達婆矣游烏隱城叱 兮良望良古
倭理叱軍置來叱多
烽燒邪隱邊也藪耶
三花矣岳音見賜烏尸聞古
月置入切爾數於將來尸波衣
道尸掃尸星利望良古
彗星也白反也人是有叱多
後句 達阿羅浮去伊叱等邪
此也友物比所音叱 兮叱只有叱故
2. 혜성가의 작품이해
고구려와 금장산에서 대치하였을 때 왜적 병선과 혜성이 출현함으로 불렀다는 노래이다. 이 노래는 유사 권 5 융천사 혜성가조에 실려 있다. 거열랑, 여섯째 실처랑, 일곱째 보동랑 등 세 화랑의 무리가 풍악(금강산)에 놀이를 가려 할 제 혜성이 나타나 心大星(북극성)을 범하였으므로, 이를 불길한 징조라 하여 풍악행을 중지하여 하였더니, 이때에 융천사가 노래를 지어 부름으로서, 혜성을 즉멸케하고, 일본병을 환국케 하였다. 왕은 화가 변하여 복이 되었다고 기뻐하여 화랑들에게 풍악놀이를 시켰다
언어와 사실을 동일시하려는 주술적 상징이 담겨 있다. 나타난 혜성이 없다고 함으로써 혜성을 사라지게 할 수 있다고 믿는 고대인의의식이 바탕이 되고 있으며, 이 노래를 지은 융천사의 이름이 천사(天師)인 것으로 보아 하늘의 일을 관장하는 전문관이자 주술사였다고 보아진다. 무속적인 전통이 불교적으로 고양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Ⅳ. 도솔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신라 유리왕 5 년에 지었다. 작자와 가사가 전해지지 않았다.
(儒理王) 五年....是年 民俗歡康 始製도率歌 此歌樂之始也
(유리왕) 5년. 이 해에 민속이 환강하여 비로소 도솔가를 지으니, 이것이 가악의 시초가 되었다. 그러나 나라를 편안하게 하자는 의도에서 부른 \'두릿노래\'(편안하게 하는 노래)로 보아야 한다는 의견이 강하다. 이는 후에 월명사가 지은 노래도 도솔가라는 이름으로 불리워지기 때문에 이는 한 편의 작품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경향 또는 갈래를 지칭한다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짧으나마 漢字로 기록되어 있는 迎神歌(고대가요 \'도솔가\')와도 달라서 노래도 전하여 있지 못한 이 두솔가는 참으로 막연하기 짝이 없지만 어쨌든 이 노래도 집단적으로 여러 사람이 함께 춤도 추고 노래도 부르면서 나라가 잘 다스려지는 것을 즐거워하며 노래한 민요적 성격을 띠운 문학이었으리라는 것은 틀림없을 것이다.(구자균, 한국평민문학사, 민족문화사,1982) 참고적으로 \'도솔\'은 범어(梵語) \'tusita\'에서 온 말로 지족(知足), 묘족(妙足), 희족(喜足), 희락(喜樂) 등으로 의역하는데, 이는 미륵보살이 사는 하늘이라는 뜻이다. \'도솔천\'이라는 명칭이 유사에서도 \'미륵보살의 정토\'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나 \'도솔가\'의 \'도솔\'이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고는 확언할 수 없다.
Ⅴ. 찬기파랑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찬기파랑가의 원문과 해독
1) 원문
咽嗚爾處米
露曉邪隱月羅理
白雲音逐于浮去隱安支下
沙是八陵隱汀理也中
耆郞矣貌史是史藪邪
逸烏川理叱惡希
郞也持以支如賜烏隱
心未際叱 逐內良齊
阿耶 栢史叱枝次高支乎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2) 양주동 해독
열치매 나토얀 리
구룸 조초 가 안디하
새파 나리여
耆郞 즈 이슈라
일로 나릿
郞 디니다샤온
좇누아져
아으 잣ㅅ가지 노파
서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