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통일신라][향가]풍요(신라시대의 향가), 서동요(신라시대의 향가), 혜성가(신라시대의 향가), 처용가(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찬기파랑가(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원왕생가(통일신라시대의 향가)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라시대][통일신라][향가]풍요(신라시대의 향가), 서동요(신라시대의 향가), 혜성가(신라시대의 향가), 처용가(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찬기파랑가(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원왕생가(통일신라시대의 향가)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풍요(신라시대의 향가)
1. 풍요의 원문과 해독
2. 풍요의 작품배경과 이해

Ⅱ. 서동요(신라시대의 향가)
1. 서동요의 원문과 해독
2. 서동요의 작품이해

Ⅲ. 혜성가(신라시대의 향가)
1. 혜성가의 원문과 해독
2. 혜성가의 작품이해

Ⅳ. 처용가(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처용가의 원문과 해독
2. 처용가의 작품 해설
3. 처용가의 작품 해제
1) 작자
2) 연대
3) 갈래
4) 표현
5) 성격
6) 제재
7) 주제
8) 의의
9) 출전
4. 처용가의 시어 및 시구 풀이
5. 처용가의 요점
6. 처용가의 감상 길라잡이
7. 처용가의 설화

Ⅴ. 찬기파랑가(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찬기파랑가의 원문과 해독
2. 찬기파랑가란
3. 찬기파랑가의 작품해설
4. 찬기파랑가의 짜임
1) 문사(1-3행)
2) 답사(4-8행)
3) 결사(9-10행)
5. 찬기파랑가의 의의
6. 찬기파랑가의 감탄사 ‘아으’

Ⅵ. 원왕생가(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원왕생가의 원문과 해독
1) 원문
2) 양주동 해독
3) 양주동 현대역
4) 김완진 해독
5) 김완진 현대역
2. 원왕생가의 배경 설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향찰로 표기, 직서적(直敍的)인 표현
5) 성격
주술적 무가(巫歌), 축사(逐邪)의 노래
6) 제재
아내, 역신(疫神)
7) 주제
귀신을 쫓아냄[축사(逐邪)]
8) 의의
① 벽사 진경(邪進慶-간사한 귀신을 물리치고 경사를 맞이함)의 소박한 민요에서 형성된 무가이다.
② 의식무(儀式舞), 또는 연희의 성격을 띠고 고려와 조선 시대까지 계속 전승되었다.
9) 출전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4. 처용가의 시어 및 시구 풀이
- 서울. 여기서는 경주
긔 래 - 밝은 달(밤)에
밤 드리 - 밤 들게, 밤이 늦도록
노니다가 - 노닐다가, 놀며 지내다가
드러 - 들어와 가리 - 다리가, 가랑이가 가[脚] + 이(주격조사)
네히어라 - 넷이로구나.
아 - 빼앗겼음을, 빼앗긴 것을.
내해엇고 - 내 것이어니와, 내 아내의 것이어니와. ‘내 것’이라는 직접소유로 표현하여 강조함.
엇디릿고 - 어찌 할 수 있으리오?
드러 자리~가리 네히어라 - 역신이 아내를 범하고 있음을 노래한 것이다.
아 엇디릿고 - 이미 다른 사람의 여인이 되어 버린 상황에 대한 체념으로 보기도 하며, 자신의 아내까지도 대상에게 바치는 관용적 표현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5. 처용가의 요점
벽사 진경(邪進慶)의 민속에서 형성된 무가(巫歌)이다.(무가-처용은 무신으로 볼 수 있다.) 고려와 조선조에 걸쳐 의식무, 또는 연희로 계승되었다. 체념과 관용을 바탕으로 무가의 성격을 띠며, 무속적으로 전승되었다. 해가, 원가, 도솔가, 혜성가 등과 함께 주술성(呪術性)이 깃들어 있다. 귀신이 감복한 것은 처용의 관용적 태도 때문이다.
6. 처용가의 감상 길라잡이
이 노래는 신라 제49대 헌강왕 때 처용랑이 역신(疫神)을 쫓기 위해 지어 부른 8구체 향가이다. 이 노래의 변형이 고려 시대 ‘처용가’로서, <악학궤범(樂學軌範)>과 <악장가사(樂章歌詞)>에 실려 있으므로 향찰(鄕札)로 표기된 어려운 향가를 해독할 수 있는 열쇠를 얻은 것이다. 이 노래의 내용에 대해서 민속학적 관점에서 처용을 무속과 관련지어 보려는 견해와 정치사의 관점에서 처용을 지방 호족(豪族)의 아들로 보려는 견해, 신라 시대에는 멀리 서역(西域) 지방과도 교역이 있었다고 보아 처용을 이슬람 상인으로 보려는 견해 등이 있다. 그러나 민족학적 관점에서 처용을 무속과 관련지어 보려는 견해가 우수하다. 그 까닭은 제 아내가 다른 남자와 자고 있는 것을 보고도 노래를 부르며 춤추며 물러났다고 하는 것은 상식의 범주를 벗어난 무격(巫覡) 사회에만 있는 풍습이기 때문이다. 또한 악신(惡神)이라도 즐겁게 하여 보낸다는 풍습에서 한국인의 여유에 찬 생활의 예지를 볼 수 있다.
이 노래의 절정은 7행과 8행이다. 이는 체념적인 주사(呪詞)로 볼 수 있으나 오히려 처용의 시황(초극적인 이미지)을 부각시킨 것으로 후대로 오면서 벽사(邪)의 위력으로 발전한 것을 이해할 만하다. 이를 무가의 일종으로 보아 악신을 보내는 ‘뒷전풀이’로 이해하지 않고는 해석의 실마리를 찾을 수 없을 것이다. 무속에서는 악신이라도 즐겁게 하여 보내는 것이 통례이기 때문이다.
7. 처용가의 설화
헌강왕 시대는 태평 세월이었다. 왕이 어느날 개운표에 나가 놀고 있는데, 구름과 안개가 끼어 앞이 보이지 않았다. 이상하게 여겨 신하에게 물으니 이것은 동해(東海) 용(龍)의 조화이므로 좋은 일을 행할 것을 아뢰었다. 왕이 근처에 절을 세우라 하니, 구름과 안개가 개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곳을 개운포 (開雲浦)라 이름지었다.
한편, 동해 용은 매우 기뻐하여 아들 일곱 명을 데리고 임금 앞에 나타나서 인사를 하고, 그 중 한 아들을 두고 갔는데, 그가 처용으로서, 왕이 미녀를 아내로 삼아 같이 살게 하였다. 그 아내가 매우 아름다워서, 역신(疫神)이 탐을 내어 사람으로 변하여 처용이 없는 사이에 몰래 동침하였다. 밖에서 돌아온 처용이 이를 보고 처용가의 내용으로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었다. 처용이 역신의 잘못을 탓하지 않는 것에 탄복한 역신은 그에 감격하여, 앞으로는 처용의 형상을 그린 그림만 보아도 그 문에 들어가지 않겠다고 약속하였는데, 이 때 처용이 처음 부른 노래를 ‘처용가’라 하고, 그 춤을 ‘처용무’라 한다.
Ⅴ. 찬기파랑가(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찬기파랑가의 원문과 해독
咽鳴爾處米 열치고
露曉邪隱月羅理 나타난 달이
白雲音遂于浮去隱安支下 힌구룸 조차 떠가 것 아닌가
沙是八陵隱汀理也中 새파 냇물 속에
耆郞矣史是史藪邪 耆郞 모습이 있어라
逸烏川理叱? 惡希 이로 냇물의 조약돌이
郞耶持以支如賜烏隱 랑이 지니신
心未際叱? 遂內良齊 마음의 끝을 좇누아져
阿耶栢史叱枝次高支好 아으 잣가지 높아
2. 찬기파랑가란
신라 경덕왕 때 충담이 화랑 기파랑을 추모하여 지은 10구체 향가.
3. 찬기파랑가의 작품해설
기파랑의 인품을 기림에 있어 고고한 인격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자연물인 달과의 문답 형식으로 은연중에 나타내고 있다. 하늘의 달마저 기파랑의 뜻을 따르고 있다고 함으로써 기파랑에 대한 찬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애상적인 면이 없고, 미래 지향적이며 진취적인 기상과 의지가 엿보이는 작품이다.
4. 찬기파랑가의 짜임
1) 문사(1-3행)
작가가 달에게 물음(달 : 높이 우러러보는 존재)
2) 답사(4-8행)
달이 작자에게 답함(냇물 : 맑고 깨끗한 모습, 조약돌 : 원만하고 강직한 인품)
3) 결사(9-10행)
작자의 독백(잣나무: 고결한 존재)
※달의 의미 : 광명과 염원, 고결한 기파랑의 자태를 그려볼 수 있는 그리움이 담긴 달이다.
5. 찬기파랑가의 의의
<제망매가>와 함께 표현기교 및 서정성이 돋보이는 향가의 백미
6. 찬기파랑가의 감탄사 ‘아으’
10구체 향가의 낙구 첫머리에 감탄사 ‘아으’를 써서 시상을 마무리하는데 이는 시조 종장 첫구의 ‘어즈버’, ‘아희야’등과 관련이 있다.
Ⅵ. 원왕생가(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원왕생가의 원문과 해독
1) 원문
月下伊低亦
西方念丁去賜里遣
無量壽佛前乃
惱叱古音多可支白遣賜立
誓音深史隱尊衣希仰支
兩手集刀花乎白良
願往生願往生
慕人有如白遣賜立
阿耶 此身遺也置遣
四十八大願成遣賜去
2) 양주동 해독
하 이뎨
西方 장 가샤리고
無量壽佛前에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10.0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34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