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종양 (brain tumor) 환자 케이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종양 (brain tumor) 환자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질병의 의학적 고찰

2. 질병의 간호학적 고찰

3. MEDICATION

4. 임상검사 결과

5. 간호과정

본문내용

뇌압을 감소시킨다.
(Prednisolone 투여중)
1. 퇴원일 까지 뇌내압의 정상수준을 유지한다.
2.대상자(보호자)는 11/2일 까지 뇌내압상승 방지법에 대해 말 할 수 있다.
①심한 굴곡이나 머리를 심하게 틀거나 혹은 기침, 배변시 힘주는 것 등의 행동을 피하도록 교육한다. (11/2)
②체위 변경을 교육 한다.(11/2)
③뇌내압 상승시 증상에 대해 교육한다.(11/2)
-기침, 배변, 머리를 심하게 트는 경우 뇌내압이 상승될 수 있다.
-적절한 체위 변경은 뇌조직 관류를 증진시킨다.
-뇌내압 상승시 즉시 의료인에게 알려 처치를 받도록 한다.
간호진단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부적절한 구강위생 및 흡인과 관련된 구강점막손상
목적: 대상자는 깨끗하고 촉촉하며, 구취가 없는 구강점막을 유지할 것이다.
기대되는 결과
① 너무 높은 흡인 압력을 줄인다. (계속)
② 간헐적으로 흡인하고, 카테터를 돌리면서 흡인한다.(계속)
③흡인 빈도를 평가한다.(계속)
④최고의 수평수준으로 침상을 올린다. 침상난간을 내린다(계속)
-흡인압을 내려 구강 점막에 받는 압력을 줄인다.
-카테터를 돌리면서 흡인하는 것은 압력을 적게 받도록 한다.
-침상을 최고의 수평수준으로 하고 좋은 신체 역학을 사용하면 상해를 방지할수 있다.
1.11월 3일까지 구강 출혈이 없다.
2. 11월 3일까지 구강점막은 감염이나 충치가 보이지 않는다.
①과산화수소를 적신 스펀지나, 칫솔을 사용하여 구강을 깨끗이한다.(계속)
②혀를 면봉으로 부드럽게 닦거나 솔질한다.(계속)
③깨끗한 면봉이나 물이 적셔 있는 칫솔로 헹군다.(계속)
④충치를 예방하기 위해 대상자는 식습관을 주의한다.(계속)
-칫솔질하는 것은 치아 사이와 저작면에 있는 음식찌꺼기를 제거한다.
-면봉으로 닦는 것은 점막의 분비물과 딱딱한 껍질을 제거하는 것을 도우며 점막을 촉촉하게 한다.
-반복해서 헹굼으로써 점막을 자극하는 과산화수소를 제거한다.
-부드럽게 닦아서 구토반사를 자극하는 것을 피한다.
간호진단
목표/기대되는 결과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장시간 부동과
관련된
변비
목적: 대상자는 1개월 이내에 정상적인 배변 습관을 회복, 지속할 것이다.
기대되는 결과
①부동환자에게는 관절가동범위운동을 해준다. (계속)
②체위변경을 해준다. (계속)
③부득이한 경우 하제를 사용한다.
④관장을 한다.
-관절가동범위 운동은 관절의 견축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를 운동시킴으로 장의 운동을 자극할 수 있다.
-체위 변경을 해주어 환기시킬 뿐만 아니라 장의 운동도 자극한다.
-하제는 6-8시간 내에 수분이 많은 묽은 변을 형성하게 하여 대변을 배출 시킨다.
-관장은 연동운동을 자극하여 배변을 촉진시킨다.
1.적어도 11/3일까지 정상적인 형태의 변을 보게 된다.
2.대상자는(보호자) 적절한 식이요법을 활용한다.
①신선한 과일과, 채소, 잡곡, 빵과 같은 식품을 비위관영양시 함께 주입한다. (계속)
②대상자는 하루에 적어도 5-6잔의 수분을 섭취한다.(계속)
③뜨거운 음료수나 과일주스를 마신다.(계속)
④너무 많은 양의 우유를 먹이지 않는다.(계속)
⑤가스를 유발하는 식품인 브로콜리, 꽃양배추, 양파, 건조된 콩을 섭취시킨다.(계속)
-고섬유식이는 연동운동을 증가 시키고, 변의 부피와 수분 함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장의 내용물들이 위장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도와준다.
-수분은 변을 부드럽게 만든다.
-뜨거운 음료수나 과일주스는 변을 부드럽게 만들고 연동운동을 증가시킨다.
-많은 양의 우유는 연동운동을 감소시켜 변비를 일으킬 수 있다.
-수분은 장의 내용물들이 쉽게 배출되도록
도와 준다.
-가스를 유발하는 식품은 연동운동을 자극할 수 있다.
간호진단
목표/기대되는 결과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목적: 감염미생물의 전파를 통제한다.
기대되는 결과
①환자를 직접 간호할 때는 무균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장갑을 낀다.(계속)
②매일 활력징후 측정한다. (계속)
③항생제를 투여한다.
④지시대로 백혈구를 측정 감시하고 백혈구 상승이나 감소있을 시 보고한다. (계속)
⑤객담의 색깔과 양을 관찰하고, 분비물이 심한 경우 객담 검사를 해본다. (계속)
⑥효과적인 기침이나 흡입을 하도록 한다.
⑦영양가 있는 음식 섭취를 권해드리고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을 수 있게 한다.(특히 단백질 많이 든 음식) (11/2)
-감염의 증상인 발열, 발적, 종창, 농등의 증상을 살핀다.
세균 감염 치료 혹은 예방 효과로 항생제 투여한다.
-분비물이 축적 될 경우 균이 같이 배양되여 감염위험성이 높아진다.
-감염되었을 경우
우리몸은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 우리 몸의 구성 성분인 단백질을 많이 섭취해야 한다.
1.퇴원일 까지 대상자에게 병원감염이 발병되지 않는다.
3. 간호 수행 및 평가
일시
진단번호
간 호 수 행 (I&E)
서명
2005. 11.03
#1
I
1. ①~⑥ 수행함.
2. ①~⑤ 수행함
E
기도 폐쇄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호흡수가 정상을 계속 유지 하였다.
2005. 11.03
#2
I
1. ①~⑧ 수행함.
2. ① ~③ 수행함
E
보호자는 뇌내압을 상승시키는 요인을 줄이는 방법을 말하였다.
2005. 11.03
#3
I
1. ①~④ 수행함.
2. ①~④ 수행함.
E
구강에 백태가 끼이지 않았고, 귀치가 심하지 않으며 더 이상의 출혈이 보이지 않았다.
2005. 11.03
#4
I
1. ①~④ 수행함
2. ①~⑤ 수행함
E
11/2일에 변을 시원하게 봄
2005. 11.03
#5
I
1. ①~⑦ 수행함.
E
현재는 감염의 초기증상(발적, 농양, 통증, 부종)이 없고 체온의 상승도 관찰되지 않는다. 백혈구 수치도 정상이며, 분비물이 정체 되지 않는다.
『참고문헌』
기본간호학 각론 [현문사]
기본간호학 실습 [현문사]
성인간호학 상2 [현문사]
질환, 증상별 치료와 간호지침 [한우리]
인체 생리학 [라이프 사이언스]
http://cri.snu.ac.kr/public/index.asp?Action=kind1_6
http://khhospice.com/symptom04.html
http://www.ncc.re.kr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10.03.29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48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