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조선시대 관학 교육기관 성균관
1. 설립
2. 성균관의 구조
3. 성균관 직제
4. 입학자격
5. 학칙
6. 교육목적
7. 교육내용
8. 교수방법
9. 평가제도
Ⅱ. 조선시대 관학 교육기관 4부 학당
1. 개념
2. 운영
3. 정원
Ⅲ. 조선시대 관학 교육기관 향교
Ⅳ. 조선시대 사학 교육기관 서원
1. 등장발달
2. 교육목적
3. 교육내용
4. 교육대상
5. 교육기능
6. 교육의의
Ⅴ. 조선시대 사학 교육기관 서당
Ⅵ. 조선시대 교육제도 과거시험(과거제도)
참고문헌
1. 설립
2. 성균관의 구조
3. 성균관 직제
4. 입학자격
5. 학칙
6. 교육목적
7. 교육내용
8. 교수방법
9. 평가제도
Ⅱ. 조선시대 관학 교육기관 4부 학당
1. 개념
2. 운영
3. 정원
Ⅲ. 조선시대 관학 교육기관 향교
Ⅳ. 조선시대 사학 교육기관 서원
1. 등장발달
2. 교육목적
3. 교육내용
4. 교육대상
5. 교육기능
6. 교육의의
Ⅴ. 조선시대 사학 교육기관 서당
Ⅵ. 조선시대 교육제도 과거시험(과거제도)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가 과거를 통해인재 양성)
3. 교육내용
경전교육
4. 교육대상
양반자제
5. 교육기능
향교기능과 통일, 후진장학(후진양성, 인재양성)이 제일 중요한 기능
6. 교육의의
①지방에 설립된 사립중등교육기관
②산야에서 학문연구와 함께 인격수양 추구
③지역 사회의 미풍양속 교정
④교육기간이 없음
Ⅴ. 조선시대 사학 교육기관 서당
① 초등교육 기관
② 향교나 4부학당의 입학 준비 기관
③ 종류
훈장 자영 서당, 유지 공영 서당, 유지 독영 서당(동냥 공부)
촌 조합 서당(향촌 공영 서당) -> 조선 후기에 발달하여 서민교육의 확대를 가져왔다.
④ 구성 : 훈장, 학동, 접장(학식이 높고 연령이 많은 학동, 조교와 유사함, 그러나 학생임)
⑤ 천자문, 소학, 동몽선습 등을 교육내용으로 했다.
⑥ 강독, 습자, 제술(형식적)
⑦ 국가의 통제가 거의 없었다.
⑧ 입, 퇴학이 자유로웠다.
⑨ 교육적 특징
㉠ 개별학습과 능력별 학습이 이루어졌다. ☆
㉡ 계절에 따른 학습이 이루어졌다.
㉢ 놀이를 통한 학습이 이루어졌다.
㉣ 전인 교육이 이루어졌다.
㉤ 국민 교육(교화)이 이루어졌다.
㉥ 오늘날의 초등 교육의 문제점을 해소할 방향을 지닌다.
⑩ 고려말에 발달하여, 조선 시대에 융성하며, 일제 때 독립운동의 근거지와 민족 지도자를 양성했다.
⑪ 모범적 교수법
㉠ 경(갱)신고 -> 학문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시
㉡ 준승척 -> 독서의 방법 제시
Ⅵ. 조선시대 교육제도 과거시험(과거제도)
소과
- 생원, 진사(하급관리 등용, 성균관입학 허용, “백패”)
- 초시, 복시로 나누어짐
대과
- 초시, 복시, 전시로 나누어짐
- 사실상의 합격(33명) 종6품, 홍패수여
문과, 무과(합격자 : 선달), 잡과가 있었다.
식년시 : 3년마다 보는 정기 시험
특별시 : 특별할 때(알성시, 별시, 증광시, 기타)
문음제도(음서) -> 정 2품 이상의 자제에 한함
서민들의 응시는 비교적 많은 제한을 받았다.
고려시대에 비하여 잘 발달되었다.
참고문헌
김태환 / 전통 서당에 관한 고찰, 2005
김용덕 / 조선후기의 향교연구, 한국사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3
김호일 / 한국의 향교, 대원사, 2000
박상만 / 한국교육사(상), 서울 : 대한교육연합회, 1965
이만규 / 조선교육사, 기획출판 거름, 서울 : 1991
이운희 / 서당교육의 실제와 현대적 의의,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최완기 / 한국의 전통교육,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3. 교육내용
경전교육
4. 교육대상
양반자제
5. 교육기능
향교기능과 통일, 후진장학(후진양성, 인재양성)이 제일 중요한 기능
6. 교육의의
①지방에 설립된 사립중등교육기관
②산야에서 학문연구와 함께 인격수양 추구
③지역 사회의 미풍양속 교정
④교육기간이 없음
Ⅴ. 조선시대 사학 교육기관 서당
① 초등교육 기관
② 향교나 4부학당의 입학 준비 기관
③ 종류
훈장 자영 서당, 유지 공영 서당, 유지 독영 서당(동냥 공부)
촌 조합 서당(향촌 공영 서당) -> 조선 후기에 발달하여 서민교육의 확대를 가져왔다.
④ 구성 : 훈장, 학동, 접장(학식이 높고 연령이 많은 학동, 조교와 유사함, 그러나 학생임)
⑤ 천자문, 소학, 동몽선습 등을 교육내용으로 했다.
⑥ 강독, 습자, 제술(형식적)
⑦ 국가의 통제가 거의 없었다.
⑧ 입, 퇴학이 자유로웠다.
⑨ 교육적 특징
㉠ 개별학습과 능력별 학습이 이루어졌다. ☆
㉡ 계절에 따른 학습이 이루어졌다.
㉢ 놀이를 통한 학습이 이루어졌다.
㉣ 전인 교육이 이루어졌다.
㉤ 국민 교육(교화)이 이루어졌다.
㉥ 오늘날의 초등 교육의 문제점을 해소할 방향을 지닌다.
⑩ 고려말에 발달하여, 조선 시대에 융성하며, 일제 때 독립운동의 근거지와 민족 지도자를 양성했다.
⑪ 모범적 교수법
㉠ 경(갱)신고 -> 학문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시
㉡ 준승척 -> 독서의 방법 제시
Ⅵ. 조선시대 교육제도 과거시험(과거제도)
소과
- 생원, 진사(하급관리 등용, 성균관입학 허용, “백패”)
- 초시, 복시로 나누어짐
대과
- 초시, 복시, 전시로 나누어짐
- 사실상의 합격(33명) 종6품, 홍패수여
문과, 무과(합격자 : 선달), 잡과가 있었다.
식년시 : 3년마다 보는 정기 시험
특별시 : 특별할 때(알성시, 별시, 증광시, 기타)
문음제도(음서) -> 정 2품 이상의 자제에 한함
서민들의 응시는 비교적 많은 제한을 받았다.
고려시대에 비하여 잘 발달되었다.
참고문헌
김태환 / 전통 서당에 관한 고찰, 2005
김용덕 / 조선후기의 향교연구, 한국사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3
김호일 / 한국의 향교, 대원사, 2000
박상만 / 한국교육사(상), 서울 : 대한교육연합회, 1965
이만규 / 조선교육사, 기획출판 거름, 서울 : 1991
이운희 / 서당교육의 실제와 현대적 의의,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최완기 / 한국의 전통교육,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