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배경설화
Ⅱ.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원문
Ⅲ.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해독
1. 양주동 해독
2. 양주동 현대역
3. 김완진 해독
4. 김완진 현대역
Ⅳ.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작품이해
Ⅴ.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시어와 시구 해석
Ⅵ.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어학적 해석
참고문헌
Ⅱ.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원문
Ⅲ.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해독
1. 양주동 해독
2. 양주동 현대역
3. 김완진 해독
4. 김완진 현대역
Ⅳ.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작품이해
Ⅴ.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시어와 시구 해석
Ⅵ.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어학적 해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 양주동 현대역
3. 김완진 해독
4. 김완진 현대역
Ⅳ.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작품이해
Ⅴ.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시어와 시구 해석
Ⅵ.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어학적 해석
참고문헌
Ⅰ.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배경설화
술종공이 朔州都督使가 되어서 임소에 가는 길에 그 때는 삼한이 병란이 있는 때라, 기병 삼천으로 호송하였는데, 죽지령에 다다르니 웬 한 거사가 그 산 길을 평평하게 다스리고 있었다. 술종공은 탄복하였는데, 거사도 공의 위풍을 보고 감심하여 서로 의기가 상통하는 바가 있었다. 공이 삭주에 도임 하여 다스리기를 한달 뒤에 꿈에 거사가 방에 들어온 것을 보았고, 공의 부인도 같은 꿈을 꾸었다. 놀랍고 괴이해서 이튿날 사람을 시켜 알아보니까 거사는 일전에 죽었다 한다. 더욱이 그 죽었다는 날짜와 꿈의 날짜가 꼭 맞는다. “거사가 우리 집안에 인제 태어나리라” 공은 이렇게 말하고, 사람을 시켜서 거사의 주검을 고개 위 북쪽 봉우리에 후히 장사하고, 돌로서 미륵을 만들어 무덤 앞에 세워 주었다. 부인은 꿈 꾼 날부터 태기가 있어서 아이를 낳은 뒤에 죽지랑이라 이름 지었다. 자라서 벼슬에 나아가 김유신과 함께 부수(副帥)가 되어 삼한을 통일하고 진덕, 태종, 문무, 신문 네 임금의 재상이 되고, 나라를 안정 하였다.
孝昭王代 竹旨朗(亦作竹曼.亦名智官.)
第三十二,孝昭王代,竹曼郞之徒,有得鳥(一云谷.)級千.隸名於風流黃券.追日仕進.隔旬日不見.郞喚其母,問爾子何在,母曰,幢典牟梁益宣阿干,以我子差富山城倉直,馳去,竹急未暇告辭於郞.郞曰.汝子若私事適彼.則不須尋訪.今以公事進去.須歸享矣.乃以舌餠一合,酒一缸,卒(率)左人(鄕云皆叱知言奴僕也.)而行.郞徒百三十七人,亦具儀侍從.到富山城.問人.得烏失奚在.人曰.今在益宣田.隨例赴役.郞歸田,以所將酒餠饗之.請暇於益宣.將欲偕還.益宣固禁不許.時有使吏侃珍,管收推火郡 能節租三十右.輸送城中.美郞之重士風味.鄙宣暗塞不通.乃以所領三十石,贈益宣助請.猶不許.又以珍節舍知騎馬鞍具胎之.乃許.朝廷花主聞之.遺使取益宣,將洗浴其垢醜.宣逃隱.掠其長子而去.時仲冬極寒之日.浴洗於城內池中.仍合凍死.大王聞之.勅牟梁里人從官者,竝合黜遺.更不接公署.不著黑衣.若爲僧者.不合入鐘跛寺中.勅史上侃珍子孫,爲枰定戶孫.木票異之.時완測法師是海東高德.以牟梁里人故,不授僧職.初述宗公爲朔州都督使.將歸理所.時三韓兵亂.以騎兵三千獲送之.行至竹旨嶺.有一居士,平理其嶺路.公見之歎美.居士亦善公之威勢赫甚.相感於心.公赴州理.隔一朔夢見居士入于房中.室家同夢.驚怪尤甚.翌日使人問其居士安否.人曰.居士死有日矣.使來還告.其死與夢同日矣.公曰.殆居士言延於吾家爾.更發卒修葬於嶺上北峯.造石弓爾革力一軀,安於塚前.妻氏自夢之日有娠.旣言延,因名竹旨.壯而出仕.與庾信公爲副帥.統三韓.眞德,太宗文武,神文,四代爲宰.安定厥邦.初,得烏谷,慕郎而作歌曰.
去隱皆理米 毛冬居叱沙哭屋尸以憂音 阿冬音乃叱好支貝易烏隱 兒史年數就音墮支行齊 目煙廻於尸七史伊衣 逢烏支惡知作乎下是 郞也慕理尸心未 行乎尸道尸 蓬次叱巷中宿尸夜音有叱下是
Ⅱ.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원문
慕竹旨郞歌 得烏
去隱春皆林米
毛冬居叱哭屋尸以憂音
阿冬音乃叱好支賜烏隱
貌史年數就音墮支行齊
目煙廻於尸七史伊衣
逢烏支惡知作乎下是
郞也慕理尸心未 行乎尸道尸
蓬次叱巷中宿尸夜音有叱下是
Ⅲ.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해독
1. 양주동 해독
간봄 그리매
모것 우리 시름
아 나토샤온
즈 살㈓ 디니져
눈 돌칠 이예
맛보디 지리
郞이여 그릴 녀올길
다봇 굴헝 잘밤 이시리
2. 양주동 현대역
간 봄 그리매
모든 것사 설어 시름하는데
아름다움 나타내신
얼굴이 주름살을 지니려 하옵내다.
눈 돌이킬 사이에나마
만나뵙도록 지으리이다.
낭이여 그릴 마음의 녀올 길이
다북쑥 우거진 마을에 잘 밤이 있으리까.
3. 김완진 해독
간 봄
3. 김완진 해독
4. 김완진 현대역
Ⅳ.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작품이해
Ⅴ.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시어와 시구 해석
Ⅵ.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어학적 해석
참고문헌
Ⅰ.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배경설화
술종공이 朔州都督使가 되어서 임소에 가는 길에 그 때는 삼한이 병란이 있는 때라, 기병 삼천으로 호송하였는데, 죽지령에 다다르니 웬 한 거사가 그 산 길을 평평하게 다스리고 있었다. 술종공은 탄복하였는데, 거사도 공의 위풍을 보고 감심하여 서로 의기가 상통하는 바가 있었다. 공이 삭주에 도임 하여 다스리기를 한달 뒤에 꿈에 거사가 방에 들어온 것을 보았고, 공의 부인도 같은 꿈을 꾸었다. 놀랍고 괴이해서 이튿날 사람을 시켜 알아보니까 거사는 일전에 죽었다 한다. 더욱이 그 죽었다는 날짜와 꿈의 날짜가 꼭 맞는다. “거사가 우리 집안에 인제 태어나리라” 공은 이렇게 말하고, 사람을 시켜서 거사의 주검을 고개 위 북쪽 봉우리에 후히 장사하고, 돌로서 미륵을 만들어 무덤 앞에 세워 주었다. 부인은 꿈 꾼 날부터 태기가 있어서 아이를 낳은 뒤에 죽지랑이라 이름 지었다. 자라서 벼슬에 나아가 김유신과 함께 부수(副帥)가 되어 삼한을 통일하고 진덕, 태종, 문무, 신문 네 임금의 재상이 되고, 나라를 안정 하였다.
孝昭王代 竹旨朗(亦作竹曼.亦名智官.)
第三十二,孝昭王代,竹曼郞之徒,有得鳥(一云谷.)級千.隸名於風流黃券.追日仕進.隔旬日不見.郞喚其母,問爾子何在,母曰,幢典牟梁益宣阿干,以我子差富山城倉直,馳去,竹急未暇告辭於郞.郞曰.汝子若私事適彼.則不須尋訪.今以公事進去.須歸享矣.乃以舌餠一合,酒一缸,卒(率)左人(鄕云皆叱知言奴僕也.)而行.郞徒百三十七人,亦具儀侍從.到富山城.問人.得烏失奚在.人曰.今在益宣田.隨例赴役.郞歸田,以所將酒餠饗之.請暇於益宣.將欲偕還.益宣固禁不許.時有使吏侃珍,管收推火郡 能節租三十右.輸送城中.美郞之重士風味.鄙宣暗塞不通.乃以所領三十石,贈益宣助請.猶不許.又以珍節舍知騎馬鞍具胎之.乃許.朝廷花主聞之.遺使取益宣,將洗浴其垢醜.宣逃隱.掠其長子而去.時仲冬極寒之日.浴洗於城內池中.仍合凍死.大王聞之.勅牟梁里人從官者,竝合黜遺.更不接公署.不著黑衣.若爲僧者.不合入鐘跛寺中.勅史上侃珍子孫,爲枰定戶孫.木票異之.時완測法師是海東高德.以牟梁里人故,不授僧職.初述宗公爲朔州都督使.將歸理所.時三韓兵亂.以騎兵三千獲送之.行至竹旨嶺.有一居士,平理其嶺路.公見之歎美.居士亦善公之威勢赫甚.相感於心.公赴州理.隔一朔夢見居士入于房中.室家同夢.驚怪尤甚.翌日使人問其居士安否.人曰.居士死有日矣.使來還告.其死與夢同日矣.公曰.殆居士言延於吾家爾.更發卒修葬於嶺上北峯.造石弓爾革力一軀,安於塚前.妻氏自夢之日有娠.旣言延,因名竹旨.壯而出仕.與庾信公爲副帥.統三韓.眞德,太宗文武,神文,四代爲宰.安定厥邦.初,得烏谷,慕郎而作歌曰.
去隱皆理米 毛冬居叱沙哭屋尸以憂音 阿冬音乃叱好支貝易烏隱 兒史年數就音墮支行齊 目煙廻於尸七史伊衣 逢烏支惡知作乎下是 郞也慕理尸心未 行乎尸道尸 蓬次叱巷中宿尸夜音有叱下是
Ⅱ.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원문
慕竹旨郞歌 得烏
去隱春皆林米
毛冬居叱哭屋尸以憂音
阿冬音乃叱好支賜烏隱
貌史年數就音墮支行齊
目煙廻於尸七史伊衣
逢烏支惡知作乎下是
郞也慕理尸心未 行乎尸道尸
蓬次叱巷中宿尸夜音有叱下是
Ⅲ. 향가(신라) 모죽지랑가의 해독
1. 양주동 해독
간봄 그리매
모것 우리 시름
아 나토샤온
즈 살㈓ 디니져
눈 돌칠 이예
맛보디 지리
郞이여 그릴 녀올길
다봇 굴헝 잘밤 이시리
2. 양주동 현대역
간 봄 그리매
모든 것사 설어 시름하는데
아름다움 나타내신
얼굴이 주름살을 지니려 하옵내다.
눈 돌이킬 사이에나마
만나뵙도록 지으리이다.
낭이여 그릴 마음의 녀올 길이
다북쑥 우거진 마을에 잘 밤이 있으리까.
3. 김완진 해독
간 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