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겨계 질환과 진단검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골겨계 질환과 진단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근골격계 관련질환
1) 뼈의 대사성 장애
골다공증
골연화증
파젯병
2) 뼈의 감염성 장애
골수염
3) 신생물에 의한 장애
양성 골종양
악성 골종양
4) 퇴행성 관절장애
5) 류마티즘
6) 손과 발의 장애
수근 터널 증후군
무지 외번증
족근터널 증후군
7) 전신홍반루푸스(SLE)
8) 기타질환
척추측만증
불완전 골형성증
근육 질환

2. 근골격계 진단검사
1) 임상검사-혈액, 소변
2) 방사선 검사
단순 X-선 검사
컴퓨터 단층촬영 (Computerized Tomography, CT)
자기공명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골밀도 검사 (Bone densitometry)
초음파 검사 (Ultra sonogram)
척수 촬영 (Myelography)
관절 촬영 (Arthrography)
디스크 촬영 (Diskography)
골 스캔 (Bone scan)
갈륨 조사 (Gallium scan)
인듐 영상 (Indium imaging)
3) 특수검사
근전도
관절흡인
조직생검
4) 내시경 검사

본문내용

(임상검사)
여러 가지 신체장애를 사정하는 기본검사로 혈액과 소변검사가 있다.
1) 혈액검사 (selological)
① 혈액 검사 전후 간호
환자의 활동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휴식상태일 때 혈액 채취
20~22G 바늘로 정맥천자 한 혈액을 검사
정맥주입 중이거나, 수혈 중인 환자에서는 채취 금지.
그러나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을 경우 정맥주입 용액을 3~5분간 잠근 후 채취
혈액 채취 후 천자 자리를 잘 눌러서 지혈하고, 출혈 여부를 사정한다.
주의: 근육효소 검사를 위해서는 근육주사를 해서는 안된다.
② 혈액검사 정상치와 임상적 의의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
ESR : 적혈구침강속도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15~20mm/h 이하
증가: 감염
ANA : 항핵 항체
(antinuclear antibodies)
음성 or
역가 ≤ 1:32
세포핵을 파괴할 수 있는 자가항체의
존재를 사정하는 검사
양성: SLE, RF, RA, 레이노질환
CRP : C-반응단백질
(C-reactive protein)
- (음성)
면역과 염증 반응에 필요한 정상
체 단백에 대한 검사
양성: RA, SLE
Uric acid : 요산
남: 4.5~6.5 mg/dL
여: 2.5~5.5 mg/dL
purine대사의 산물로 소변으로 배출
증가: 통풍
Hematocrit
남: 40~50%
여: 37~47%
감소: 빈혈
(전신 결합조직 질환을 가진 환자는
비정상 출혈없이 빈혈이 있을 수 있다.)
STS
(serologic test for syphilis)
- (음성)
양성: 결체조직 질환자의 10~15%
FTA-ABS
(fluorescent treponemal
antibody absorption)
- (음성)
RF or latex fixation
- (음성)
역가 ≤ 1:40
RA 환자의 혈청에서 나타나는 인자
양성: RA, SLE
주의: 다른 상태에서도 나올 수 있음.
LE 세포
- (음성)
SLE 진단에 사용하는 검사
양성: SLE
주의: 음성이라고 SLE가 아닌 것은 아님.
Anti-DNA antibody
- (음성)
SLE 진단에 사용하는 검사
양성: SLE
LE 세포 검사보다 정확하다.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
Serum muscle enzymes
근육 효소
Aldolase
1.3~8.2U/dL
증가: 근이양증, 근위축증, 피부근염,
AST or SGOT
Aspartate aminotransferase
10~50U/L
골격근, 심장, 신장세포에서 발견
증가: 근육조직의 손상 또는 파괴
CPK
(creatine phosphokinase)
15~150U/L
증가: 외상, 진행성 근이양증,
다발성 근염
LDH (LDH4, LDH5)
Lactate dehydrogenase
60~150U/L
증가: 골격근의 괴사, 악성종양,
진행성 근이양증, 위축증
무기질 대사
Calcium
4.5~5.5 mEq/L
(8.0~10.5 mg/dL)
감소: 골연화증, 골다공증, 신 질환,
부갑상샘 기능저하증
증가: 골종양, paget 병, 골절치유 시,
부갑상샘 기능항진증
ALP
(alkaline phosphatase)
30~90U/L
뼈 기질 무기질화에 필요한 인자
증가: 골절치유 시, 골암, 골다공증,
골연화증, Paget 병
Phosphorus
2.5~4.0 mg/dL
칼슘대사와 직접 관련
증가: 골절치유 시, 전이성 골암,
만성 신질환
2) 소변검사(urological)
① 소변검사 전후 간호
환자가 소변을 잘 채취할 수 있는가를 사정하고 필요한 간호중재를 제공
정규소변검사: 소변이 농축되어있는 아침 첫 소변
멸균된 소변용기에 중간뇨를 채취 (5~50cc)정도의 소변을 채취
24h 소변검사 -첫 소변은 버리고, 그 다음부터 모든 소변을 모아서
24시간째 소변까지 첨가하도록 한다.
-대변이 소변에 오염되면 안되므로, 환자에게 대변을 보기 전에
먼저 소변을 모으도록 교육한다.
-수집용기에 이물질을 넣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설명한다.
-24h동안 채취된 소변은 냉장고에 보관되어야 한다.
-검사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복용 약물은 기록해서
검사실로 보낸다.
간호사가 환자의 소변채취 시 장갑을 끼는 것이 좋다.
소변을 볼 수 없는 환자는 도뇨관 삽입 필요
② 소변검사 정상치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
24h urine for
creatine-creatinine ratio
1:10 이하
증가: 근위축, 근이영양증
(근육에서의 크레아틴 전환능력감소,
신장배출 증가)
24h Urinary uric acid
250~750 mg/1day
증가: 통풍
Uriue for
deoxypyridinoline
뼈의 재흡수기간동안 대사되지 못한 소변 내의 Dpd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
(2) Radiological Tests (방사선 검사)
1) 단순 X-선 검사
검사 목적
골절, 감염, 탈구, 관절염, 건염, 거상돌기, 골밀도의 변화,
위치의 변화, 좁아진 관절강 등의 검사
검사 방법
방사선과에서 여러 자세로 촬영하고자 하는 부위를 찍는다.
검사 전 후 간호
① 대상자에게 검사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② 통증은 없지만 딱딱한 촬영대에 눕는 것이 불편할 수도 있다고 설명한다.
③ 대상자에게 방사선에 노출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④ 환측 부위를 다룰 때에는 주의 한다.
⑤ 목걸이나, 의복 장식품 등이 촬영 부위를 가리지 않도록 한다.
⑥ 촬영 중에 사지를 움직이지 않도록 교육한다.
⑦ 어린이의 경우 무서워 할 수 있으므로 검사 중에 부모가 함께 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⑧ 고환, 난소, 또는 임신부의 복부는 특수 앞치마로 가려주어 방사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⑨ 검사 후 특별한 간호는 필요하지 않다.
2) 컴퓨터 단층촬영 (Computerized Tomography, CT)
: 미리 정한 깊이나 각도에 따라 조직을 층으로 나누어 상세한 영상을 얻는 X-선 기법
검사 목적
척추의 병리적인 상태와 종양의 진단, 고관절 대치술 시 고관절의 평가
검사 방법
① 환자를 큰 도넛 형의 CT기에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0.04.26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31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