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 서론 (1페이지)
- 생리학의 개념
제 2장 . 세포 (3페이지)
- 세포의 미세구조
- 세포막
- 핵
제 3장 .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운반 (1페이지)
- 수동적이동
- 능동적이동
- 대량이동
제 4장 . 신경세포와 흥분의 전달 (4페이지)
- 신경의 흥분과 전도
- 신경흥분 전도기전
- 뉴런의 전달방식
- 신경전달 물질
제 5장 . 근육 (5페이지)
- 근골격
- 생리학의 개념
제 2장 . 세포 (3페이지)
- 세포의 미세구조
- 세포막
- 핵
제 3장 .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운반 (1페이지)
- 수동적이동
- 능동적이동
- 대량이동
제 4장 . 신경세포와 흥분의 전달 (4페이지)
- 신경의 흥분과 전도
- 신경흥분 전도기전
- 뉴런의 전달방식
- 신경전달 물질
제 5장 . 근육 (5페이지)
- 근골격
본문내용
음보다 자극 [강] ☞ New 활동전압 생산
k+투과성up 절대불응기 이후에 나타남
신경흥분 전도기전
♡ 도약전도
♡ 흥분전도 3원칙
- 두방향전도 : 한 섬유 자극하면 흥분은 그 양방향으로 전도
But, 실제 신경은 한 방향으로만 전파
- 절연전도 : 흥분은 이웃 다른 섬유로 절대이동
- 불감쇠전도 : 직경일정하면 전도속도도 일정
뉴런의 연락방식
♡ 시냅스
♥ 전달방식에 따른 분류
- 전기적 시냅스 : 세포-세포를 교통반(gap juction)에 의해 연결
활동전압에 의한 국소전류가 직접 다음 세포로 전달 ex] 심근, 일부평활근 ..
- 화학적 시냅스 : 신경전달물질이 특수화된 막 단백질 수용체에 작용
☞ 흥분성 ; na+, ca++ 통로 활성화 ex] gliramate
☞ 억제성 ; k+, cl- 통로 활성화 ex] GABA
♡ 시냅스에서의 흥분전달
♡ 신경전달물질
♥ 신경전달물질 : 신경원을 흥분 → 종말단추의 소포 유리 → 시냅스 간격 지나 → 표적세포 (흥분or억제)
↘ 이러한 작용을 하는 화학물질의 총칭
* 신경조절물질 :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을 조절or중개하는 물질
★ 아세틸콜린 Acetylcholne(Ach) 콜린동작성
아민화합물
Catecholamines
Dopamine(DA)도파민동작성
Norepinephrine(NE) epinephrine(EI)아드레날린동작성
Serotonin 세로토닌동작성,
Histamine
아미노산물질
Exitatory(흥분성)
Glutamate, Aspartate
Inhibitory(억제성)
GABA, Glycine(k+투과성up)
신경펩티드
Slosustancep(장관수축), Endorphine(통증완화), Enkephalins etc.
기타
신경조절물질
Gases
Co,No (혈관이완)
Hormones
ADH, Oxytocin(기억기전),CCK(포만중추), Glucagon, Secretin etc.
Prostaglandins(PG)
(혈관, 평활근에 직접작용, 교감신경자극 따르는 반응성에 영향)
제5장 근육
♥ 건: 골격근의 양 끝에 존재. 뼈를 지지해주고 움직여 주는 역할을 함
♥ 근육조직 골격근(횡문근): 가로무늬, 수의적 조절
평활근: 가로무늬X, 기관의 벽 둘러쌈. 불수의적 조절
심근: 혈액을 이동시킴. 불수의적 조절에 따라 수축반응 일으킴
골격근
♡ 골격근의 구조
♥ 하나의 골격근은 수천 개의 근섬유로 이루어져 있음
♥ 뼈-건-골격근(근외막⊃근다발막⊃근속⊃근내막⊃근섬유,근세포⊃근원섬유⊃근필라멘트)
♡ 근섬유
♥ 근섬유막-근섬유는 근섬유막(근초)에 의해 경계 짓고 있음.(흥분성과 전도성 가지고 있음)
♥ T세관-근초에서 발생되는 흥분성 변화는 T세관을 따라서 근섬유 내부로 쉽게 전달
♥ 근원섬유(액틴 필라민트, 마이오신 필라민트)
♥ 근형질세망-근세포내의 물질운반의 통로역할을 하는 내형질세망 (칼슘을 운반,저장)
♥ 미토콘드리아- ATP공급
♡ 근 필라멘트
♬ 근절 내 필라멘트
♭ A대: 미오신과 액틴 필라멘트가 겹쳐진 부분. H층 포함. 중앙의 위치
♭ I대: 액틴만 가지고 있는 부분. 다음근절 까지 포함
♭ Z선: I대를 나누고 있음. Z선과 다음Z선 사이: 근절(하나의 수축단위)
♭ H층: 가는 필라멘트가 없는 부분, 근절의 중앙에 있음
♭ M선: 미오신의 가장 중앙의 선
♬ 굵은 필라멘트(마이오신. 미오신)
♭ 구성: 꼬리 하나, 머리2개
- 머리: 근육 움직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ATP분해하는 효소 가지고 있음
- 꼬리: 두 개의 사슬이 서로를 감싸며 마이오신의 꼬리를 이루고 있다.
♬ 가는 필라멘트(엑틴 필라멘트)
♭ 액틴: 나선형 감겨 있음, 평상시 액틴과 마이오신이 상호작용→ 트로포마이오신에 의해 덮여 있다
♭ 트로포마이오신: 평상시에는 움직이지 못하도록 방해
근육이 수축할 때 트로포마이오신은 액틴과 마이오신이 만날 수 있도록 결합부위를 노출
♭ 트로포닌 트로포닌T: 트로포닌 복합체를 트로포마이오신과 결합하게 한다.
트로포닌I: 액틴과 마이오신 작용을 방해
트로포닌C: Ca² 와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
♡ 골격근 섬유의 종류
♬ 적근과 백근
수축속도 ; 근세포 속 myoglobin(산소저장적색색소)의 양적 차이
적근 〉 백근
체표가까이/ 급속동작, 쉽게 피로
골격근가까이심층부/ 지속적동작, 오래수축, 쉽게피로
♬ 적근섬유와 백근섬유 ; 근섬유의 함유량에 따라 구분
직경 大, 근섬유 多 ‘해당계 효소 활성 ↑’
빠른 근육 섬유 [fast fiber / type Ⅱ Fiber]
굵은 운동 신경 지배
직경 小, 근섬유 very 多 유산소적 대사활동 ‘ 산화적 효소활성 ↑’
느린 근육 섬유 [Slow fiber / type Ⅰ Fiber]
가는 운동 신경 지배
* 중간근육섬유 [intermediate fiber / type Ⅲ Fiber]
♡운동단위와 신경지배
♬ 운동단위(활동 단위) : 하나의 신경세포와 그 신경세포가 지배하는 모든 근육섬유
운동단위는 근섬유가 작을수록 정교한 운동을 일으킴
♬ 신경지배 : 운동신경이 분포하여 뇌와 척수의 흥분을 전달받아 반응
이와 같이 근에 운동신경이 분포하는 것
♡ 신경근연접
♬ 자극→ 신경섬유흥분→ 전도→ 신경종말형성→ 종판형성→ 아세틸콜린분비(소포)→ 탈분극→ 전달
♥ 소포 : 미토콘드리아 및 화학전달물질 있음
♥ 아세틸콜린 에스트라제 : 아세틸콜린 수용기 파괴
♡ 근수축기전 : 근절들의 단축(근수축의 활주설)
♬ 골격근의 흥분-수축기전 단계
1. 신경흥분전달-아세틸콜린 유리-아세틸콜린 수용기와 결합
2. 근육세포막에 활동전압퍼짐- T세관전도(깊숙이)
3. 활동전압이 전도되면 칼슘유리 - 세포사이 칼슘농도증가
4. 칼슘농도증가-트로포닌C칼슘과 결합
5. 트로포마이오신을 액틴의 사슬 안으로 밀어 넣음
6. 액틴의 결합부위노출
7. 마이오신 head와 액틴결합
8. 장력발생(칼슘 : 수축, 이완의 조절인자)
9. 교차다리가 끊어지면 새로운 ATP분자 마이오신 head와 연결
10. 칼슘은 능동적 이동으로 근형질세망내로 이동
11. 트로포마이오신은 제자리로 돌아옴, 이완상태
♥ 액틴 ,마이오신 어떤 것도 길이에 변화는 없음
♡ 근수축의 에너지대사
k+투과성up 절대불응기 이후에 나타남
신경흥분 전도기전
♡ 도약전도
♡ 흥분전도 3원칙
- 두방향전도 : 한 섬유 자극하면 흥분은 그 양방향으로 전도
But, 실제 신경은 한 방향으로만 전파
- 절연전도 : 흥분은 이웃 다른 섬유로 절대이동
- 불감쇠전도 : 직경일정하면 전도속도도 일정
뉴런의 연락방식
♡ 시냅스
♥ 전달방식에 따른 분류
- 전기적 시냅스 : 세포-세포를 교통반(gap juction)에 의해 연결
활동전압에 의한 국소전류가 직접 다음 세포로 전달 ex] 심근, 일부평활근 ..
- 화학적 시냅스 : 신경전달물질이 특수화된 막 단백질 수용체에 작용
☞ 흥분성 ; na+, ca++ 통로 활성화 ex] gliramate
☞ 억제성 ; k+, cl- 통로 활성화 ex] GABA
♡ 시냅스에서의 흥분전달
♡ 신경전달물질
♥ 신경전달물질 : 신경원을 흥분 → 종말단추의 소포 유리 → 시냅스 간격 지나 → 표적세포 (흥분or억제)
↘ 이러한 작용을 하는 화학물질의 총칭
* 신경조절물질 :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을 조절or중개하는 물질
★ 아세틸콜린 Acetylcholne(Ach) 콜린동작성
아민화합물
Catecholamines
Dopamine(DA)도파민동작성
Norepinephrine(NE) epinephrine(EI)아드레날린동작성
Serotonin 세로토닌동작성,
Histamine
아미노산물질
Exitatory(흥분성)
Glutamate, Aspartate
Inhibitory(억제성)
GABA, Glycine(k+투과성up)
신경펩티드
Slosustancep(장관수축), Endorphine(통증완화), Enkephalins etc.
기타
신경조절물질
Gases
Co,No (혈관이완)
Hormones
ADH, Oxytocin(기억기전),CCK(포만중추), Glucagon, Secretin etc.
Prostaglandins(PG)
(혈관, 평활근에 직접작용, 교감신경자극 따르는 반응성에 영향)
제5장 근육
♥ 건: 골격근의 양 끝에 존재. 뼈를 지지해주고 움직여 주는 역할을 함
♥ 근육조직 골격근(횡문근): 가로무늬, 수의적 조절
평활근: 가로무늬X, 기관의 벽 둘러쌈. 불수의적 조절
심근: 혈액을 이동시킴. 불수의적 조절에 따라 수축반응 일으킴
골격근
♡ 골격근의 구조
♥ 하나의 골격근은 수천 개의 근섬유로 이루어져 있음
♥ 뼈-건-골격근(근외막⊃근다발막⊃근속⊃근내막⊃근섬유,근세포⊃근원섬유⊃근필라멘트)
♡ 근섬유
♥ 근섬유막-근섬유는 근섬유막(근초)에 의해 경계 짓고 있음.(흥분성과 전도성 가지고 있음)
♥ T세관-근초에서 발생되는 흥분성 변화는 T세관을 따라서 근섬유 내부로 쉽게 전달
♥ 근원섬유(액틴 필라민트, 마이오신 필라민트)
♥ 근형질세망-근세포내의 물질운반의 통로역할을 하는 내형질세망 (칼슘을 운반,저장)
♥ 미토콘드리아- ATP공급
♡ 근 필라멘트
♬ 근절 내 필라멘트
♭ A대: 미오신과 액틴 필라멘트가 겹쳐진 부분. H층 포함. 중앙의 위치
♭ I대: 액틴만 가지고 있는 부분. 다음근절 까지 포함
♭ Z선: I대를 나누고 있음. Z선과 다음Z선 사이: 근절(하나의 수축단위)
♭ H층: 가는 필라멘트가 없는 부분, 근절의 중앙에 있음
♭ M선: 미오신의 가장 중앙의 선
♬ 굵은 필라멘트(마이오신. 미오신)
♭ 구성: 꼬리 하나, 머리2개
- 머리: 근육 움직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ATP분해하는 효소 가지고 있음
- 꼬리: 두 개의 사슬이 서로를 감싸며 마이오신의 꼬리를 이루고 있다.
♬ 가는 필라멘트(엑틴 필라멘트)
♭ 액틴: 나선형 감겨 있음, 평상시 액틴과 마이오신이 상호작용→ 트로포마이오신에 의해 덮여 있다
♭ 트로포마이오신: 평상시에는 움직이지 못하도록 방해
근육이 수축할 때 트로포마이오신은 액틴과 마이오신이 만날 수 있도록 결합부위를 노출
♭ 트로포닌 트로포닌T: 트로포닌 복합체를 트로포마이오신과 결합하게 한다.
트로포닌I: 액틴과 마이오신 작용을 방해
트로포닌C: Ca² 와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
♡ 골격근 섬유의 종류
♬ 적근과 백근
수축속도 ; 근세포 속 myoglobin(산소저장적색색소)의 양적 차이
적근 〉 백근
체표가까이/ 급속동작, 쉽게 피로
골격근가까이심층부/ 지속적동작, 오래수축, 쉽게피로
♬ 적근섬유와 백근섬유 ; 근섬유의 함유량에 따라 구분
직경 大, 근섬유 多 ‘해당계 효소 활성 ↑’
빠른 근육 섬유 [fast fiber / type Ⅱ Fiber]
굵은 운동 신경 지배
직경 小, 근섬유 very 多 유산소적 대사활동 ‘ 산화적 효소활성 ↑’
느린 근육 섬유 [Slow fiber / type Ⅰ Fiber]
가는 운동 신경 지배
* 중간근육섬유 [intermediate fiber / type Ⅲ Fiber]
♡운동단위와 신경지배
♬ 운동단위(활동 단위) : 하나의 신경세포와 그 신경세포가 지배하는 모든 근육섬유
운동단위는 근섬유가 작을수록 정교한 운동을 일으킴
♬ 신경지배 : 운동신경이 분포하여 뇌와 척수의 흥분을 전달받아 반응
이와 같이 근에 운동신경이 분포하는 것
♡ 신경근연접
♬ 자극→ 신경섬유흥분→ 전도→ 신경종말형성→ 종판형성→ 아세틸콜린분비(소포)→ 탈분극→ 전달
♥ 소포 : 미토콘드리아 및 화학전달물질 있음
♥ 아세틸콜린 에스트라제 : 아세틸콜린 수용기 파괴
♡ 근수축기전 : 근절들의 단축(근수축의 활주설)
♬ 골격근의 흥분-수축기전 단계
1. 신경흥분전달-아세틸콜린 유리-아세틸콜린 수용기와 결합
2. 근육세포막에 활동전압퍼짐- T세관전도(깊숙이)
3. 활동전압이 전도되면 칼슘유리 - 세포사이 칼슘농도증가
4. 칼슘농도증가-트로포닌C칼슘과 결합
5. 트로포마이오신을 액틴의 사슬 안으로 밀어 넣음
6. 액틴의 결합부위노출
7. 마이오신 head와 액틴결합
8. 장력발생(칼슘 : 수축, 이완의 조절인자)
9. 교차다리가 끊어지면 새로운 ATP분자 마이오신 head와 연결
10. 칼슘은 능동적 이동으로 근형질세망내로 이동
11. 트로포마이오신은 제자리로 돌아옴, 이완상태
♥ 액틴 ,마이오신 어떤 것도 길이에 변화는 없음
♡ 근수축의 에너지대사
추천자료
Esophageal diverticulum와 Aspiration pneumonia 환자의 간호
위암 수술 환자의 간호(케이스 레포트)
생리학 - 내분비계 호르몬
화상, 화상의 병태생리, 화상간호
심장재활 간호-정의, 목적, 간호, 운동요법
병태생리학 - 위암의 기전
정신과 케이스, 문헌고찰, 간호과정
정신간호 용어정리
간경화(간경변증, 간경변)의 정의, 간경화(간경변증, 간경변)의 종류와 원인, 간경화(간경변...
생물학적 측면과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고 이러한 인간 이해를 바...
인체생리학 문제만들기입니다. 정답과 해설이모두있음에이쁠
[병태생리학] 위암의 병태생리 기사와 관련하여
파슨스의 환자역할과 낙인론적 환자역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고 중산층과 빈곤층의 만...
모성간호학 다양한 분만과 출산 문화 repor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