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신라의 향가 모죽지랑가의 배경설화
Ⅲ. 신라의 향가 모죽지랑가의 원문과 해독
Ⅳ. 신라의 향가 모죽지랑가의 작품해제
1. 작자
2. 연대
3. 형식
4. 성격
5. 제재
6. 주제
7. 의의
8. 출전
Ⅴ. 신라의 향가 모죽지랑가의 작품이해
참고문헌
Ⅱ. 신라의 향가 모죽지랑가의 배경설화
Ⅲ. 신라의 향가 모죽지랑가의 원문과 해독
Ⅳ. 신라의 향가 모죽지랑가의 작품해제
1. 작자
2. 연대
3. 형식
4. 성격
5. 제재
6. 주제
7. 의의
8. 출전
Ⅴ. 신라의 향가 모죽지랑가의 작품이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督使 처음에 술종공이 삭주 도독사가 되었다.
將歸理所 막 다스리는 곳으로 가려하는데
時三韓兵亂以騎兵三千護送之 이 때에 삼한에 병란이 일어났으므로 기병 삼천으로 그를 보호하였다.
行至竹旨嶺 죽지령에 이르니
有一居士ㆍ平理其嶺路 한 거사가 그 산봉우리의 길을 평평하게 갈고 있었다.
公見之歎美 술종공이 그것을 보고 탄복하니
居士亦善公之威勢赫甚 거사 역시 술종공의 위세가 빛나고 중후함을 칭찬하여
相感於心 서로 마음에 감동을 받았다.
公赴州理 隔一朔 술종공이 다스리는 마을에 다다른 지 한달 사이에
夢見居士入于房中 꿈에 거사가 방 가운데로 들어오는 것을 보았다.
室家同夢 아내와 지아비가 같은 꿈을 꾸어
驚怪尤甚 놀람과 기이함이 더욱 깊어졌다.
翌日使人問其居士安否 다음날로 사람을 보내어 거사의 안부를 물었다.
人曰 居士死有日矣 (그 지방)사람이 “거사는 죽은 지 며칠 되었습니다라고 말하였다.
使來還告其死 사신이 돌아와서 그 죽음을 고하였는데
與夢同日矣 더불어 꿈꾼 날과(거사가 죽은 날이) 같았다.
公曰 殆居士誕於吾家爾 술종공은 “장차 거사가 내 집에 태어날 것이다” 말하며
更發卒修葬於嶺上北峯 다시 군졸을 보내어 북쪽 봉우리에 장사를 지내고
造石彌勒一軀ㆍ安於塚前 돌로 미륵상 하나를 만들어 무덤 앞에 안치했다.
妻氏自夢之日有娠 술종공의 부인은 꿈을 꾼 날로부터 태기가 있더니
旣誕ㆍ因名竹旨 이윽고 아기를 낳았으므로 이름을 죽지라 했다.
壯而出仕 자라서 벼슬에 나아갔다.
與庾信公爲副師 統三韓 유신과 더불어 부사가 되어 삼한을 통일하고
眞德ㆍ太宗ㆍ文武ㆍ神文四代爲宰 安定厥邦 진덕ㆍ태종ㆍ문무ㆍ신문, 4대에 걸쳐 재상이 되어 나라를 안정시켰다.
Ⅲ. 신라의 향가 모죽지랑가의 원문과 해독
慕竹旨郞歌
去 隱 春 皆 理 米
毛 冬 居 叱 沙 哭 屋 尸 以 憂 音
阿 冬 音 乃 叱 好 支 賜 烏 隱
史 年 數 就 音 墮 支 行 齊
目 煙 廻 於 尸 七 史 伊 衣
逢 烏 支 惡 知 作 乎 下 是
郞 也 慕 理 尸 心 未 行 乎 尸 道 尸
蓬 次 叱 巷 中 宿 尸 夜 音 有 叱 下 是
간 봄 그리매 간 봄을 그리워함에
모 것 우리 시름 모든 것이 서러워 시름하는구나
⇒ 지나간 젊음에 대한 회한
아 나토샤온 아름다움 나타내신
즈 살㈓ 디니져 얼굴이 주름살을 지으려 하는구나
⇒ 늙음의 안타까움
눈 돌칠 이예 눈 깜짝할 사이에
맛보디 지리 만나 뵈올 기회를 지으리라
⇒ 그리움에 대한 충동
郞이여 그릴 녀올 길 낭이여, 그리운 마음의 가는 길에
다
將歸理所 막 다스리는 곳으로 가려하는데
時三韓兵亂以騎兵三千護送之 이 때에 삼한에 병란이 일어났으므로 기병 삼천으로 그를 보호하였다.
行至竹旨嶺 죽지령에 이르니
有一居士ㆍ平理其嶺路 한 거사가 그 산봉우리의 길을 평평하게 갈고 있었다.
公見之歎美 술종공이 그것을 보고 탄복하니
居士亦善公之威勢赫甚 거사 역시 술종공의 위세가 빛나고 중후함을 칭찬하여
相感於心 서로 마음에 감동을 받았다.
公赴州理 隔一朔 술종공이 다스리는 마을에 다다른 지 한달 사이에
夢見居士入于房中 꿈에 거사가 방 가운데로 들어오는 것을 보았다.
室家同夢 아내와 지아비가 같은 꿈을 꾸어
驚怪尤甚 놀람과 기이함이 더욱 깊어졌다.
翌日使人問其居士安否 다음날로 사람을 보내어 거사의 안부를 물었다.
人曰 居士死有日矣 (그 지방)사람이 “거사는 죽은 지 며칠 되었습니다라고 말하였다.
使來還告其死 사신이 돌아와서 그 죽음을 고하였는데
與夢同日矣 더불어 꿈꾼 날과(거사가 죽은 날이) 같았다.
公曰 殆居士誕於吾家爾 술종공은 “장차 거사가 내 집에 태어날 것이다” 말하며
更發卒修葬於嶺上北峯 다시 군졸을 보내어 북쪽 봉우리에 장사를 지내고
造石彌勒一軀ㆍ安於塚前 돌로 미륵상 하나를 만들어 무덤 앞에 안치했다.
妻氏自夢之日有娠 술종공의 부인은 꿈을 꾼 날로부터 태기가 있더니
旣誕ㆍ因名竹旨 이윽고 아기를 낳았으므로 이름을 죽지라 했다.
壯而出仕 자라서 벼슬에 나아갔다.
與庾信公爲副師 統三韓 유신과 더불어 부사가 되어 삼한을 통일하고
眞德ㆍ太宗ㆍ文武ㆍ神文四代爲宰 安定厥邦 진덕ㆍ태종ㆍ문무ㆍ신문, 4대에 걸쳐 재상이 되어 나라를 안정시켰다.
Ⅲ. 신라의 향가 모죽지랑가의 원문과 해독
慕竹旨郞歌
去 隱 春 皆 理 米
毛 冬 居 叱 沙 哭 屋 尸 以 憂 音
阿 冬 音 乃 叱 好 支 賜 烏 隱
史 年 數 就 音 墮 支 行 齊
目 煙 廻 於 尸 七 史 伊 衣
逢 烏 支 惡 知 作 乎 下 是
郞 也 慕 理 尸 心 未 行 乎 尸 道 尸
蓬 次 叱 巷 中 宿 尸 夜 音 有 叱 下 是
간 봄 그리매 간 봄을 그리워함에
모 것 우리 시름 모든 것이 서러워 시름하는구나
⇒ 지나간 젊음에 대한 회한
아 나토샤온 아름다움 나타내신
즈 살㈓ 디니져 얼굴이 주름살을 지으려 하는구나
⇒ 늙음의 안타까움
눈 돌칠 이예 눈 깜짝할 사이에
맛보디 지리 만나 뵈올 기회를 지으리라
⇒ 그리움에 대한 충동
郞이여 그릴 녀올 길 낭이여, 그리운 마음의 가는 길에
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