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동 요 - 서동(薯童)-
2. 혜 성 가 - 융천사-
3. 풍 요 (諷 謠) - 사녀(士女)들-
4. 원왕생가(願往生歌) - 광덕 -
5.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 득오 -
6. 헌 화 가(獻花歌) - 어느 노인 -
7. 원 가 (怨歌) - 신충 -
8. 도 솔 가 - 월명사 -
9. 제망매가(祭亡妹歌) - 월명사 -
10.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충담사 -
11. 안 민 가(安民歌) - 충담사 -
12. 도천수관음가(燾千手觀音歌) - 희명 -
13. 우 적 가(遇賊歌) - 영재 -
14. 처 용 가(處容歌) - 처용 -
2. 혜 성 가 - 융천사-
3. 풍 요 (諷 謠) - 사녀(士女)들-
4. 원왕생가(願往生歌) - 광덕 -
5.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 득오 -
6. 헌 화 가(獻花歌) - 어느 노인 -
7. 원 가 (怨歌) - 신충 -
8. 도 솔 가 - 월명사 -
9. 제망매가(祭亡妹歌) - 월명사 -
10.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충담사 -
11. 안 민 가(安民歌) - 충담사 -
12. 도천수관음가(燾千手觀音歌) - 희명 -
13. 우 적 가(遇賊歌) - 영재 -
14. 처 용 가(處容歌) - 처용 -
본문내용
<향가>
1. 서 동 요 - 서동(薯童)-
善化公主主隱
他密只嫁良置古
薯童房乙
夜矣卯乙抱遺去如
[현대어 풀이]
선화 공주님은 / 남 몰래 시집가 놓고(정을 통해 놓고) / 서동을 / 밤에 몰래 안고 간다.
[배경 설화]
백제의 제30대 무왕의 이름은 장(璋)이다. 그 모친이 남편을 여의고 과부가 되어 백제의 서울 남쪽 못가에 살면서, 연못의 용과 정을 통하여 아들을 낳았다. 그 아들은 재주와 도량이 커서 장차 큰 일을 할 바탕을 갖추고 있었는데 항상 마(薯)를 캐어 팔아서 생계를 꾸려 갔으므로, 사람들이 그를 \'서동\'이라 불렀다. 그는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 선화공주가 아름답기 그지 없다는 소문을 듣고 그녀를 아내로 맞이하고자 머리를 깎아 중의 형색을 하고 신라의 서울로 들어갔다. 서울 근방의 아이들에게 마를 나누어 주면서 그들과 친해져 그를 따르게 되자 자신이 지은 동요를 부르게 하였다. 이 노래가 <서동요>인 것이다.
이 동요의 내용이 대궐에까지 알려져 공주는 먼 곳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귀양길에 오르는 공주의 애처로운 모습에 왕후는 순금 한 말을 노자로 주었고, 공주가 귀양처로 가는 도중에 서동이 나타나 맞이하며 시위(侍衛)하여 가고자 하였다. 공주는 그가 어디서 온 지는 모르나 외로운 귀양길에 친구가 되리라 생각하고 그를 따르게 되었다. 공주는 서동이
1. 서 동 요 - 서동(薯童)-
善化公主主隱
他密只嫁良置古
薯童房乙
夜矣卯乙抱遺去如
[현대어 풀이]
선화 공주님은 / 남 몰래 시집가 놓고(정을 통해 놓고) / 서동을 / 밤에 몰래 안고 간다.
[배경 설화]
백제의 제30대 무왕의 이름은 장(璋)이다. 그 모친이 남편을 여의고 과부가 되어 백제의 서울 남쪽 못가에 살면서, 연못의 용과 정을 통하여 아들을 낳았다. 그 아들은 재주와 도량이 커서 장차 큰 일을 할 바탕을 갖추고 있었는데 항상 마(薯)를 캐어 팔아서 생계를 꾸려 갔으므로, 사람들이 그를 \'서동\'이라 불렀다. 그는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 선화공주가 아름답기 그지 없다는 소문을 듣고 그녀를 아내로 맞이하고자 머리를 깎아 중의 형색을 하고 신라의 서울로 들어갔다. 서울 근방의 아이들에게 마를 나누어 주면서 그들과 친해져 그를 따르게 되자 자신이 지은 동요를 부르게 하였다. 이 노래가 <서동요>인 것이다.
이 동요의 내용이 대궐에까지 알려져 공주는 먼 곳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귀양길에 오르는 공주의 애처로운 모습에 왕후는 순금 한 말을 노자로 주었고, 공주가 귀양처로 가는 도중에 서동이 나타나 맞이하며 시위(侍衛)하여 가고자 하였다. 공주는 그가 어디서 온 지는 모르나 외로운 귀양길에 친구가 되리라 생각하고 그를 따르게 되었다. 공주는 서동이
추천자료
혜성가(설화, 작품 특징 및 성격, 주요 논쟁점)
안민가(작품 분석, 특징, 사상적 측면 분석)
[향가][처용가]신라시대 향가 처용가의 원문과 해독, 신라시대 향가 처용가의 배경설화, 신라...
[향가][제망매가][처용가][도이장가][예경제불가][칭찬여래가]통일신라 향가(제망매가), 통일...
[향가][통일신라]통일신라시대 향가 - 도솔가, 통일신라시대 향가 - 제망매가, 통일신라시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도솔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처용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헌화...
[향가][제망매가][신라시대 향가][처용가]향가의 개요 고찰 및 신라 향가 처용가의 문학적 해...
[통일신라시대의 향가]제망매가 - 통일신라시대 향가, 처용가 - 통일신라시대 향가, 찬기파랑...
[통일신라시대 향가]통일신라시대 향가(제망매가), 통일신라시대 향가(도솔가), 통일신라시대...
신라시대의 향가(서동요), 신라시대의 향가(회소곡), 신라시대의 향가(혜성가)와 통일신라시...
[처용가][도솔가][제망매가][찬기파랑가][모죽지랑가]통일신라시대 처용가(향가), 통일신라시...
서동요 - 신라시대의 향가, 풍요 - 신라시대의 향가, 혜성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도솔가 ...
[향가][향가 형식][향가 개념][향가 성격][향가 역사][향가 명칭][향가 문법][향가 내용]향가...
향가 관련 용어 정리와 현전 향가 성격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