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음][국어 발음][국어][발음지도][발음교육][자음][받침]국어 발음의 진단과 분석, 국어 모음의 발음, 국어 모음의 발음지도(발음교육), 국어 자음의 발음, 국어 자음의 발음지도, 국어 받침의 발음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음][국어 발음][국어][발음지도][발음교육][자음][받침]국어 발음의 진단과 분석, 국어 모음의 발음, 국어 모음의 발음지도(발음교육), 국어 자음의 발음, 국어 자음의 발음지도, 국어 받침의 발음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 발음의 진단과 분석

Ⅱ. 국어 모음의 발음
1. 긴 /이ː/의 발음
2. 짧은 /이/의 발음
3. 긴 /이ː/와 짧은 /이/의 비교
4. 긴 /에ː/의 발음
5. 짧은 /에/의 발음
6. 긴 /에ː/와 짧은 /에/의 비교
7. 긴 /애ː/의 발음
8. 짧은 /애/의 발음
9. 긴 /애ː/와 짧은 /애/의 비교
10. 긴 /아ː/의 발음
11. 짧은 /아/의 발음
12. 긴 /아ː/와 짧은 /아/의 비교
13. 긴 /어ː/의 발음
14. 짧은 /어/의 발음
15. 긴 /어ː/와 짧은 /어/의 비교
16. 긴 /오ː/의 발음
17. 짧은 /오/의 발음
18. 긴/오ː/와 짧은/오/의 비교
19. 긴 /우ː/의 발음
20. 짧은 /우/의 발음
21. 긴/우ː/와 짧은/우/의 비교
22. 긴 /으ː/의 발음
23. 짧은 /으/의 발음
24. 긴 /으ː/와 짧은/으/의 비교

Ⅲ. 국어 모음의 발음지도(발음교육)

Ⅳ. 국어 자음의 발음
1. 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
2. 까닭없이 된소리로 발음하는 경우
3. 받침의 발음
1) 받침 밑에 닿소리가 오는 경우
2) 받침 밑에 홀소리가 오는 경우
3) 겹받침의 밑에 홀소리가 오는 경우
4) 겹받침 <ㄺ,ㄻ,ㄿ>의 발음
5) 겹받침이 홀소리 앞에 날 때
6) 받침 <ㅎ>의 발음
4. 소리의 동화
1) 입천장소리 되기
2) <ㄱ,ㄷ,ㅂ>과 <ㅁ>의 접변
3) <ㅁ,ㅇ>과 <ㄹ>의 접변
4) <ㄱ,ㅂ>과 <ㄹ>의 접변
5) <ㄴ>과 <ㄹ>의 접변
6) 인정되지 않는 자음 접변
5. 된소리 되기
1) <ㄱ,ㄷ,ㅂ>뒤에 오는 <ㄱ,ㄷ,ㅂ,ㅅ,ㅈ>의 발음
2) 사이시옷이 없는 합성어
3) 그 외 된소리가 나는 경우
6. 소리의 첨가
1) <ㄴ>이 덧나는 소리
2) <ㄹ>이 덧나는 소리

Ⅴ. 국어 자음의 발음지도

Ⅵ. 국어 받침의 발음

참고문헌

본문내용

입천장을 향하여 거의 닫힌 위치까지 올라간다.
㉰ 입술은 둥글게 오므려 앞으로 내민다.
20. 짧은 /우/의 발음
짧은 /우/는 “우산, 군경, 문학, 굴비, 굽히다”등에서 나오는 모음이며, 움직씨의 씨끝“-고”가 대화에서는 가끔“-구”로 발음되는 일이 있다. (예) 먹고 있다. 먹구 있다.
노를 젓고 있다. 노를 젓구 있다.
<발음법>
㉮ 긴 /우ː/처럼 아래턱이 거의 닫혀 있는 상태이다.
㉯ 혀는 긴 /우ː/때보다 조금 낮고 앞으로 나온 상태다.
㉰ 입술은 긴 /우ː/보다 훨씬 약하게 동그려 앞으로 내민다.
21. 긴/우ː/와 짧은/우/의 비교
긴 /우ː/ 부ː자(재벌), 구ː두(시험), 부ː채(빚), 주ː사(약), 무ː기(전쟁)
짧은 /우/ 부자(아버지와 아들), 구두를 신다. 부채를 부치다. 주사가 심하다.
22. 긴 /으ː/의 발음
긴 /으ː/는 “들, 음식, 금주, 근거리, 끌다”따위에서 나오는 모음이다.
<발음법>
㉮ 긴 /우ː/처럼 아래턱을 거의 다 올려 닫는다.
㉯ 긴 /우ː/를 낼 때처럼 뒤 혀를 입 천정을 향하여 높이 올린다.
㉰ 입술은 아랫니가 조금 보일 정도로 평평하게 펴서 자연스럽게 벌린다.
23. 짧은 /으/의 발음
짧은 /으/는 “글, 쓰기, 끈기, 금, 스님”등의 낱말에서 나오는 모음이다.
<발음법>
㉮ 긴 /으ː/와 같이 턱은 거의 닫혀 있다.
㉯ 혀는 긴 /으ː/보다 조금 낮고 앞으로 전진시킨다.
㉰ 입술은 아랫니가 조금 보일 정도로 펴진 채 자연스럽게 벌린다.
24. 긴 /으ː/와 짧은/으/의 비교
긴 /으ː/ 금ː수(수출금지), 금ː강(강 이름), 뜸ː하다, 들ː판, 금ː기(꺼림)
짧은 /으/ 금수(짐승), 금강석, 뜸들이다, ~들(여럿), 금기(이번 기간)
Ⅲ. 국어 모음의 발음지도(발음교육)
모음의 경우에는 상당수 어린이들이 입술만 움직여 웅얼울얼 말은 하던 습관이 굳어져 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모음의 지도에서 선행되어야 할 것은 바른 입 모양을 갖게 하는 것으로서 ‘ㅏ, ㅔ, ㅣ, ㅗ, ㅜ’의 입 모양을 정확히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모음의 발음에 있어서 입을 옆으로는 벌리나 위아래로는 벌리지 않는 학습자가 대단히 많다. 거울 보면서 지도를 해 본 결과 겨울을 볼 때는 잘 벌리나, 그렇지 않을 때에는 다시 오므라들어 원상태로 되돌아갔다.
둘째 단계로 ‘ㅏ’의 발음을 할 때에는 입을 ‘아’하고 벌리게 한 후 둘째, 셋째 손가락 두 개를 포개어 입에 들어갈 정도의 키기를 기준으로 정해 준다. ‘ㅔ’는 손가락 세 개를 옆으로 뉘어 들어갈 만큼 입을 벌리게 하고, ‘ㅗ’는 엄지손가락 한 개 정도 들어갈 만큼, ‘ㅜ’는 검지손가락 한 개 들어갈 만큼 입을 벌리도록 지도한다. 손거울 보면서 입을 정확하게 벌리는 연습을 한 후에는 자연스럽게 입이 벌어지고 턱도 움직여서 대단한 효과를 거두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본적인 모음 지도가 끝나면 잘 혼돈되는 모음들을 우선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Ⅳ. 국어 자음의 발음
1. 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
우리말에는 <ㄱ,ㄴ,ㅂ,ㅅ,ㅈ>의 예사소리와 <ㄲ,ㄸ,ㅃ,ㅆ.ㅉ>의 된소리로 된 말과 <ㅋ,ㅌ,ㅍ,ㅊ>의 거센소리로 이루어진 말이 있어서 맞서서 뜻이 구별되어 사용되고 있다.
<발음법>
㉮된소리는 혀와 입과 목이 긴장되어 예사소리와 같은 조음 위치에서 발음이 된다.
㉯거센소리는 예사소리와 비슷한 조음 위치에서 발음되기는 하지만 터지는 소리(파열음)로 발음된다.
2. 까닭없이 된소리로 발음하는 경우
우리말의 된소리는 예사소리에 비해 목과 혀를 비롯한 발음 기관에 긴장이 들어있는 소리이므로 발음하기 어려운 편이며, 듣기에도 딱딱하고 거친 인상을 주게 된다. 그런데 요즘 젊은층을 중심으로 필요 없이 된소리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꾸준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 받침의 발음
받침의 발음은 받침자체로 끝나는 경우와 받침 다음에 홀소리가 오는 경우 닿소리가 오는 경우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게 되고, 뒤에 오는 닿소리에 따라 동화가 일어나기도 한다.
1) 받침 밑에 닿소리가 오는 경우
받침으로 쓰이는 것은 많지만 받침으로 소리가 나는 것은 <ㄱ,ㄴ,ㄷ,ㄹ,ㅁ,ㅂ,ㅇ>의 7개의 닿소리만으로 발음하게 된다.
예를 들면 <ㄲ,ㄲ>은 /ㄱ/으로, <ㅅ,ㅆ,ㅈ,ㅊ,ㅌ>은 /ㄷ/으로, <ㅍ>은 /ㅂ/으로 발음이 된다.
2) 받침 밑에 홀소리가 오는 경우
홑받침의 밑에 홀소리로 시작되는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3) 겹받침의 밑에 홀소리가 오는 경우
겹받침 <ㄳ,ㄵ,ㄼ,ㄽ,ㄾ,ㅄ>은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는 각각 [ㄱ,ㄴ,ㄹ,ㅂ]으로 발음된다.
4) 겹받침 <ㄺ,ㄻ,ㄿ>의 발음
겹받침 <ㄺ,ㄻ,ㄿ>은 어말이나 닿소리 앞에서는 [ㄱ,ㅁ,ㅂ]으로 발음한다.
5) 겹받침이 홀소리 앞에 날 때
겹받침이 홀소리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의 것만 다음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ㅅ>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6) 받침 <ㅎ>의 발음
받침 ㅎ(ㄶ,ㅀ)뒤에 <ㄱ,ㄷ,ㅈ>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 음절 첫소리와 합쳐서 [ㅋ,ㅌ,ㅊ]으로 발음한다.
4. 소리의 동화
받침이 뒤에 오는 닿소리와 만나 소리가 변하는 발음 현상이다.
1) 입천장소리 되기
받침<ㄷ,ㅌ(ㅪ)>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ㅈ,ㅊ]으로 바뀌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된다.
2) <ㄱ,ㄷ,ㅂ>과 <ㅁ>의 접변
받침 <ㄱ(ㄲ,ㅋ,ㄳ,ㄺ)>, <ㄷ(ㅅ,ㅆ,ㅈ,ㅊ,ㅌ,ㅎ)>, <ㅂ,(ㅍ,ㄼㄿㅄ)>은 <ㄴ,ㅁ>앞에서 [ㅇ,ㄴ,ㅁ]으로 발음한다.
3) <ㅁ,ㅇ>과 <ㄹ>의 접변
받침<ㅁ,ㅇ>뒤에 연결되는 <ㄹ>은 [ㄴ]으로 발음한다.
4) <ㄱ,ㅂ>과 <ㄹ>의 접변
받침 <ㄱ,ㅂ>뒤에 연결되는 <ㄹ>도 [ㄴ]으로 발음한다.
5) <ㄴ>과 <ㄹ>의 접변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모두 [ㄹ]로 발음한다.
6) 인정되지 않는 자음 접변
위에 등 것 이외에 다음과 같은 경우는 자음동화(접볍)이 인정되지 않으니 지도에 주의해야 한다.
<발음비교>
감기[감기]×[강 : 기]
옷감[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11.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5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