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국어 과목 20문항 문제 만들기) 과제 A+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평가(국어 과목 20문항 문제 만들기) 과제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단원의 개관
2. 이원 분류표
3. 문제 20문항
4. 수행 평가
5. 논술 형 평가
6. 정답과 해설 (문제 분석)

본문내용

ㅁ’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된다.
㈏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된다.[붙임] 첫소리 ‘ㄴ’이 ‘ㅀ’, ‘ㄾ’ 뒤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①(가)로 보아, ‘국민’이라는 단어는 [궁민]으로 발음해야 한다.
②(가)를 바탕으로 하면, ‘손을 잡는 엄마’에서 ‘잡는’은 [잠는]으로 발음해야 한다.
③‘난로’를 [날ː로]로 발음하는 것은 (나)의 적용을 받은 결과이다.
④(나)의 [붙임]을 고려하여, ‘감기를 앓는 동생’에서 ‘앓는’은 [알는]으로 발음해야 한다.
⑤‘물난리’가 [물랄리]로 발음되는 것은 (나)의 경우가 두 번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11. 다음과 같은 음운의 변동이 일어난 낱말이 아닌 것은?
소리나는 위치가 다른 두 음운 사이의 거리를 좁힘으로 발음을 더 쉽게 하기 위해 일어나는 음운 변동이다.
‘ㅣ’모음 앞의 ‘ㄷ, ㅌ’가 ‘ㅈ, ㅊ’로 바뀌는 현상이다.
방언에서 【김】을 【짐】으로 발음할 때도 나타난다.
①묻혀② 반닫이③ 낱낱이
④우산꽂이⑤ 가을걷이
12. 자음군 단순화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①ㅄ,ㄳ,ㄵ,ㄶ,ㄽ,ㄾ,ㅀ: 앞 자음이 선택된다.
값[갑], 몫[목], 외곬[외골/웨골]
②ㄻ, ㄿ: 뒷 자음이 선택된다.
삶[삼ː], 앎[암ː], 젊다[점ː따]
③ㄺ: 뒤의 어미가 ‘ㄱ’으로 시작되는 경우 외에는 ‘ㄱ’이 선택된다.
흙[흑], 칡[칙], 굵다[굴ː따], 맑고[막꼬]
④ㄼ: 원칙적으로 앞 자음을 선택한다.
넓다[널따], 얇다[얄ː따], 여덟[여덜]
⑤‘ㄼ’의 예외: ‘밟다’, ‘넓죽하다’의 경우 뒤의 자음을 선택한다.
밟다[밥ː따], 넓적하다[넙쩌카다]
13. <보기>의 (가)와 (나)에 해당하는 사례를 모두 바르게 찾아 제시한 것은?
㈎ 국어 단어 중에는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합쳐져서 합성어가 될 때, 앞 단어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뒤 단어의 첫소리가 예사소리이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일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사잇소리 현상이라고 한다. 이를 표시하기 위하여 합성어의 앞말이 모음으로 끝났을 때는 받침으로 사이시옷을 적어야 한다.
㈏ 합성어를 이룰 때,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ㅁ, ㄴ’으로 시작되면 ‘ㄴ’ 소리가 첨가되고, 앞말의 음운과 상관없이 뒷말이 모음 ‘ㅣ’나 반모음 ‘[j]’로 시작될 때에는 ‘ㄴ’이 하나 혹은 둘이 첨가되는 일이 있는데, 이러한 현상도 사잇소리 현상의 하나이다.
보기
①(가) 초 + 불(나) 물 + 약
②(가) 길 + 가(나) 논 + 둑
③(가) 등 + 불(나) 돌 + 담
④(가) 논 + 둑(나) 배 + 사공
⑤(가) 코 + 날(나) 집안 + 일
14. 다음과 같이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는 단어는?
①김 + 밥② 인사 + 말
③고무 +줄④ 빨래 + 줄
⑤초가 + 집
15. 밑줄 친 낱말 중, <보기>에서 설명하는 음운의 변동과 관련된 것은?
두 음운이 마주칠 때, 음운 하나가 아예 사라져 소리가 나지 않는다.
①맏형이 모든 일을 처리했다.
②동생의 그림 실력이 나날이 늘어 가고 있다.
③심혈을 기울인 작품을 드디어 완성했다.
④날이 더워 홑이불만 덮었다.
⑤그 친구는 아무리 봐도 욕심쟁이 같지 않니?
16. 밑줄 친 말 중, 두 음운이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서 발음 되는 단어가 아닌 것은?
①이거 마음에 들면 네가 가져도 돼.
②시계를 어디에 뒀는지 모르겠네.
③깜빡하고 집에 지갑을 놓고 왔어.
④눈을 떠 보니 집이었지 뭐야.
⑤고등학교 입학 선물로 책을 받았다.
17. 다음에 제시된 두 가지 음운 현상의 차이점을 서술하시오.
㉠ 되어 → 돼
㉡ 쓰어 → 써
18. 다음 제시된 두 단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서술하시오.
㉠ 산길
㉡ 냇가
< 수행 평가 >
19. <보기>에 나온 음운의 변동 현상을 예시 단어를 들어 설명하시오. ( 각 문항 4점씩.)
보기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2) 비음화
3) ‘ ㅡ ’탈락
4) 자음 축약
5) ‘ ㄴ ’첨가
답안 예시
(가) 유음화
유음화는 자음 동화 중 하나로 ‘ㄴ’이‘ㄹ’앞이나 뒤에서‘ㄹ’로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신라’의 ‘ㄴ’이 뒤의 \'ㄹ\'의 영향을 받아 [실라]로 발음되거나 칼날이 [칼랄]로 발음되는 것을 말한다.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2) 비음화
3) ‘ ㅡ ’탈락
4) 자음축약
5) ‘ ㄴ ’첨가
< 논술 형 평가 >
20. 대단원 목표‘음운의 변동을 탐구하고 올바르게 발음하며 표기하는 생활을 한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국어 문법의 필요성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논술 하시오. (300~500자)
3 국어의 이해와 탐구
1. 교체 2. 탈락 3. 첨가 4. 축약 5.
6. X 7. X8. ③9. ⑤10. ④
11. ④12. ③ 13. ① 14. ④ 15. ②
16. ④ 17. 기준 참조 18. 기준 참조
02 음운의 변동
1.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은 교체이다.
2. 두 개의 음운이 마주칠 때 그 중 한 음운이 없어지는 현상은 탈락이다.
3. 형태소가 합성될 때 형태소 사이에 없던 음운이 추가되는 현상은 첨가이다.
4. 두 개의 음운이 마주칠 때 두 음운이 합쳐 져서 하나의 음운이 되는 현상은 축약이다.
5.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서 음절의 끝에서 발음되는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이다.
6. ‘ㄴ’이‘ㄹ’앞이나 뒤에서‘ㄹ’로 변하는 현상은 유음화이다.
7. ‘따님’에 반영된 음운 변동 현상은 딸+님 이 합쳐져 ‘ㄹ’이 탈락한 것이다. 즉, ‘ㄹ’탈락이다.
8. 받침 ‘ㄷ, ㅅ, ㅈ, ㅊ, ㅌ’은 모두 ‘ㄷ’으로 교체되어 소리 난다.
9. ‘받히다[바치다]’는 ‘[바티다] → [바치다]’의 변화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10. ‘앓는’은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11. 보기의 음운 변동 현상은 ‘구개음화’이다. 우산꽂이→[우산꼬지]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해당하는 낱말이다.
12. ‘굵(다)’는 [국ː따]로 발음해야 하고, ‘맑고’는 뒤에 ‘ㄱ’이 이어지는 예외적 환경이므로 [말꼬]로 발음해야 한다.
13. ‘촛불’은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여 [초뿔/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07.15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68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