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중요성
Ⅱ.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장점
1. 한글은 그 탄생 기록을 가지고 있는 문자다
2. 한글의 제자 원리는 매우 과학적이고 조직적이다
3. 한글은 모아쓰기라는 특이한 방식의 운영 체계를 가진다
Ⅲ.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실태
1. 한글 맞춤법에 어긋난 경우
2. 표준어 규정에 어긋난 경우
3. 외래어 표기법에 어긋난 경우
Ⅳ.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문제점
1. 외래 요소와 본애 바탕의 문제
2. 언어의 층위별 문제
3. 말의 문제와 글의 문제
4. 어문 규정의 문제
Ⅴ. 대중가수의 영어 남용
1. 자료
2. 가수들의 이름에 만연한 영어
3. 제목에 나타난 영어들
4. 노래 가사 중 영어. 영문들
5. 해결책 및 방안
1) 우리나라말 가꾸기
2) 의식 가꾸기
Ⅵ. 외래어 남용
Ⅶ. 인터넷언어 남용
1. 내용상의 문제
1) 비속어 사용
2) 은어 사용
2. 형식상의 문제
1) 맞춤법 파괴
2) 글자 파괴
3) 일상 언어로의 사용
참고문헌
Ⅱ.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장점
1. 한글은 그 탄생 기록을 가지고 있는 문자다
2. 한글의 제자 원리는 매우 과학적이고 조직적이다
3. 한글은 모아쓰기라는 특이한 방식의 운영 체계를 가진다
Ⅲ.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실태
1. 한글 맞춤법에 어긋난 경우
2. 표준어 규정에 어긋난 경우
3. 외래어 표기법에 어긋난 경우
Ⅳ.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문제점
1. 외래 요소와 본애 바탕의 문제
2. 언어의 층위별 문제
3. 말의 문제와 글의 문제
4. 어문 규정의 문제
Ⅴ. 대중가수의 영어 남용
1. 자료
2. 가수들의 이름에 만연한 영어
3. 제목에 나타난 영어들
4. 노래 가사 중 영어. 영문들
5. 해결책 및 방안
1) 우리나라말 가꾸기
2) 의식 가꾸기
Ⅵ. 외래어 남용
Ⅶ. 인터넷언어 남용
1. 내용상의 문제
1) 비속어 사용
2) 은어 사용
2. 형식상의 문제
1) 맞춤법 파괴
2) 글자 파괴
3) 일상 언어로의 사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기본자에다 획을 하나씩 더해서 만들었다. 그 과정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ㄱ → ㅋ
ㄴ → ㄷ → ㅌ ( ㄷ → ㄹ )
ㅁ → ㅂ → ㅍ
ㅅ → ㅈ → ㅊ
ㅇ → ㆆ → ㅎ ( ㅇ → )
모음(당시의 용어로는 중성(中聲)) 글자 11자는 역시 먼저 기본자 세 자를 만들고 나머지는 이것들을 조합하여 만드는 방식을 취하였다. 기본자는 ‘, ㅡ, ㅣ’인데 이들의 제자 원리는 “ㆍ는 하늘의 둥근 모습, ㅡ는 땅의 평평한 모습, ㅣ는 사람의 선 모습을 본떴다”고 되어 있다. 모음자의 나머지 여덟 글자는 ‘’를 ‘ㅡ’와 ‘ㅣ’에 결합하여 만들었다. 즉 ‘ㆎ(ㅓ)’를 예로 들면 ‘ + ㅣ’로 만들었는데, 이처럼 ‘ㆍ’를 ‘ㅣ’의 왼쪽이나 오른쪽, 또는 ‘ㅡ’의 위쪽이나 아래쪽에 결합시켜 만든 것이다. 그리고 거기에 ‘’를 하나씩 더 결합하여 ‘ㅑ, ㅕ, ㅛ, ㅠ’를 만들었다.
여기서 ‘’의 위치는 중요한 뜻을 담고 있다. 가 왼쪽과 오른쪽에 찍힌 것은 그 모음이 양모음(陽母音)임을 나타내 주고, 아래쪽과 왼쪽에 찍힌 것은 음모음(陰母音)임을 나타내 주는 것이 그것이다. 당시에는 지금보다도 더 엄격한 모음조화 규칙이 있었으며, 더욱이 훈민정음 제작의 철학적 배경이 되었던 성리학(性理學)에서 음양(陽陰)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었으므로 양모음, 음모음의 구분이 이처럼 제자의 원리에까지 적용되었던 것이다. 또 ‘’가 하나냐 둘이냐는 그 모음이 단모음이냐 이중모음임을 구별하기 위함이었다.(당시는 이것은 ‘초출(初出)’과 ‘재출(再出)’이라는 용어로 구별하였다.) 글자 하나하나가 오묘한 질서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3. 한글은 모아쓰기라는 특이한 방식의 운영 체계를 가진다
한글은 음절 단위로 묶어 다시 한 자로 만들어 쓰는, 즉 ‘ㅂㅗㅁ’이라 쓰는 것이 정상적인데 그러지 않고 ‘봄’처럼 이른바 모아쓰기라는 특이한 운영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것은 세종실록 권 102의 기록을 비롯하여 훈민정음의 예의(例義)와 합자해(合字解) 등 최초기 문헌에 규정되어 있어 훈민정음이 출발할 때부터의 엄격한 규정이었음을 알 수 있다.
한글을 이처럼 모아쓰기로 운영하려 한 데는 한자의 영향이 컸을 것이다. 당시 문헌은 으레 한자와 한글이 섞여 쓰였고 또 한자에는 한글로 한자음을 다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 때 한자 하나에 한글도 한 글자의 꼴로 나타내는 것이 한글을 풀어 썼을 때보다 어울렸을 것이다. 또 한자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도 ‘訓民’을 ‘ㅎㅜㄴㅁㅣㄴ’으로 표기하는 것보다 ‘훈민’으로 표기하는 것이 서로의 관계를 쉽게 연결시킬 수 있어 좋았을 것이다.
그런데 이 모아쓰기에 대해 한때 부정적인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주시경, 최현배 선생 등은 풀어쓰기 운동을 전개하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모아쓰기는 한글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우리는 ‘흙이 많으면’처럼 이른바 어법에 맞는 맞춤법을 채택해 씀으로써 큰 혜택을 입고 있는데 이것은 전적으로 모아쓰기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모아쓰기의 장점에 대해서는 최근에 와서 점차 바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어법에 맞는 표기법, 즉 표의주의(表意主義) 표기법의 장점에 대해서도 이제 겨우 바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우리는 진작부터 이 좋은 방식을 채택해 온 행운을 누려 왔다. 말하자면 국어의 힘을 키워 갈 여건은 이것저것 잘 갖추어져 있었던 것이다.
Ⅲ.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실태
1. 한글 맞춤법에 어긋난 경우
(1)2시간 밖에(→2시간밖에), 40분동안(→40분 동안), 5백억원(→5백억 원), 아는게 없느냐(→아는 게 없느냐), 안써요(→안 써요), 안돼(→안 돼), 안 되게(→안 되게), 서라고 해도 안서(→서라고 해도 안 서),
(2)만화가게(→만홧가게), 하룻동안(→하루 동안), 별따기(→별 따기), 안갯속(→안개 속), 이행하는데(→이행하는 데), 담배가게(→담뱃가게), 사태해결(→사태 해결), 화제거리(→화젯거리), 일일히(→일일이), 붓기(→부기)
(3)감자국(→감잣국), 우스개소리(→우스갯소리), 세배돈(→세뱃돈), 분양율(→분양률), 아니예요(→아니에요), 말이예요(→말이에요), 병원엘 가 보던 지(→병원엘 가 보든지), 새로와진(→새로워진), 몇일 전에(→며칠 전에)
2. 표준어 규정에 어긋난 경우
(1)풍지박산(→풍비박산), 새앙쥐(→생쥐), 맨날(→만날), 티각태각(→티격태 격), 목이 메이는(→목이 메는), 되겠구만(→되겠구먼), 헤메는(→헤매는), 삐지고(→삐치고), 임마(→인마), 어떤 것이길래(→것이기에)
(2)담은(→담근) 김치, 양발(→양말), 언능(→얼른), 놀래키다(→놀래다), 얼 로(→어디로), 심(→힘)
(3)갑작스런(→갑작스러운), 핀다(→피운다), 의심스런(→의심스러운), 수놈(→수놈), 부담스런(→부담스러운), 조심스런(→조심스러운), 끼여들어(→끼어들어), 있을런지(→있을는지), 꼬매야(→꾀매야), 싫여(→싫어)
3. 외래어 표기법에 어긋난 경우
(1)라커룸(→로커룸), 스카웃(→스카우트), 페스티발(→페스티벌), 오리엔털(→오리엔탈), 인터내셔날(→인터내셔널), 포탈사이트(→포털사이트), 프레쉐트(→프레세트), 타이거즈(→타이거스), 샤콘느(→샤콘), 뎃상(→데생)
(2)화이팅(→파이팅), 후라이팬(→프라이팬), 어나운서(→아나운서)
(3)커텐(→커튼), 헬맷(→헬멧), 샷시(→섀시), 프랭카드(→프래카드), 칼라믹스(→컬러믹스), 퀵보드(→킥보드), 라신느(→라신)캠씨(→캠시), 핼맷(→헬멧), 이태리타올(→이태리타월), 액센트(→악센트), 커텐(→커튼)
Ⅳ.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문제점
1. 외래 요소와 본애 바탕의 문제
국어 순화의 문제를 관찰하거나 논의할 때에는 늘 두 측면을 ㅎㅁ께 고려해야 한다. 그 하나는 국어 자채(내부)의 문제, 다시 말하면, 본애 바탕의 문제요, 다른 하나는 국어에 섞여있는 외애 요소의 문제이다.
(1) ㄱ.미스킴, 홀ㅇ;는 와리바시하고 시보리 두개 가져 오고, 열번 ㄹ테이블에는 사사미 한 사라!
ㄴ.그 레스토랑에서 라이브 콘서트가 있었는데, 게스트로 나온 그여자, 언발란스한 헤어 스타일에, 칼라풀한 의상에, 노
ㄱ → ㅋ
ㄴ → ㄷ → ㅌ ( ㄷ → ㄹ )
ㅁ → ㅂ → ㅍ
ㅅ → ㅈ → ㅊ
ㅇ → ㆆ → ㅎ ( ㅇ → )
모음(당시의 용어로는 중성(中聲)) 글자 11자는 역시 먼저 기본자 세 자를 만들고 나머지는 이것들을 조합하여 만드는 방식을 취하였다. 기본자는 ‘, ㅡ, ㅣ’인데 이들의 제자 원리는 “ㆍ는 하늘의 둥근 모습, ㅡ는 땅의 평평한 모습, ㅣ는 사람의 선 모습을 본떴다”고 되어 있다. 모음자의 나머지 여덟 글자는 ‘’를 ‘ㅡ’와 ‘ㅣ’에 결합하여 만들었다. 즉 ‘ㆎ(ㅓ)’를 예로 들면 ‘ + ㅣ’로 만들었는데, 이처럼 ‘ㆍ’를 ‘ㅣ’의 왼쪽이나 오른쪽, 또는 ‘ㅡ’의 위쪽이나 아래쪽에 결합시켜 만든 것이다. 그리고 거기에 ‘’를 하나씩 더 결합하여 ‘ㅑ, ㅕ, ㅛ, ㅠ’를 만들었다.
여기서 ‘’의 위치는 중요한 뜻을 담고 있다. 가 왼쪽과 오른쪽에 찍힌 것은 그 모음이 양모음(陽母音)임을 나타내 주고, 아래쪽과 왼쪽에 찍힌 것은 음모음(陰母音)임을 나타내 주는 것이 그것이다. 당시에는 지금보다도 더 엄격한 모음조화 규칙이 있었으며, 더욱이 훈민정음 제작의 철학적 배경이 되었던 성리학(性理學)에서 음양(陽陰)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었으므로 양모음, 음모음의 구분이 이처럼 제자의 원리에까지 적용되었던 것이다. 또 ‘’가 하나냐 둘이냐는 그 모음이 단모음이냐 이중모음임을 구별하기 위함이었다.(당시는 이것은 ‘초출(初出)’과 ‘재출(再出)’이라는 용어로 구별하였다.) 글자 하나하나가 오묘한 질서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3. 한글은 모아쓰기라는 특이한 방식의 운영 체계를 가진다
한글은 음절 단위로 묶어 다시 한 자로 만들어 쓰는, 즉 ‘ㅂㅗㅁ’이라 쓰는 것이 정상적인데 그러지 않고 ‘봄’처럼 이른바 모아쓰기라는 특이한 운영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것은 세종실록 권 102의 기록을 비롯하여 훈민정음의 예의(例義)와 합자해(合字解) 등 최초기 문헌에 규정되어 있어 훈민정음이 출발할 때부터의 엄격한 규정이었음을 알 수 있다.
한글을 이처럼 모아쓰기로 운영하려 한 데는 한자의 영향이 컸을 것이다. 당시 문헌은 으레 한자와 한글이 섞여 쓰였고 또 한자에는 한글로 한자음을 다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 때 한자 하나에 한글도 한 글자의 꼴로 나타내는 것이 한글을 풀어 썼을 때보다 어울렸을 것이다. 또 한자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도 ‘訓民’을 ‘ㅎㅜㄴㅁㅣㄴ’으로 표기하는 것보다 ‘훈민’으로 표기하는 것이 서로의 관계를 쉽게 연결시킬 수 있어 좋았을 것이다.
그런데 이 모아쓰기에 대해 한때 부정적인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주시경, 최현배 선생 등은 풀어쓰기 운동을 전개하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모아쓰기는 한글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우리는 ‘흙이 많으면’처럼 이른바 어법에 맞는 맞춤법을 채택해 씀으로써 큰 혜택을 입고 있는데 이것은 전적으로 모아쓰기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모아쓰기의 장점에 대해서는 최근에 와서 점차 바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어법에 맞는 표기법, 즉 표의주의(表意主義) 표기법의 장점에 대해서도 이제 겨우 바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우리는 진작부터 이 좋은 방식을 채택해 온 행운을 누려 왔다. 말하자면 국어의 힘을 키워 갈 여건은 이것저것 잘 갖추어져 있었던 것이다.
Ⅲ.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실태
1. 한글 맞춤법에 어긋난 경우
(1)2시간 밖에(→2시간밖에), 40분동안(→40분 동안), 5백억원(→5백억 원), 아는게 없느냐(→아는 게 없느냐), 안써요(→안 써요), 안돼(→안 돼), 안 되게(→안 되게), 서라고 해도 안서(→서라고 해도 안 서),
(2)만화가게(→만홧가게), 하룻동안(→하루 동안), 별따기(→별 따기), 안갯속(→안개 속), 이행하는데(→이행하는 데), 담배가게(→담뱃가게), 사태해결(→사태 해결), 화제거리(→화젯거리), 일일히(→일일이), 붓기(→부기)
(3)감자국(→감잣국), 우스개소리(→우스갯소리), 세배돈(→세뱃돈), 분양율(→분양률), 아니예요(→아니에요), 말이예요(→말이에요), 병원엘 가 보던 지(→병원엘 가 보든지), 새로와진(→새로워진), 몇일 전에(→며칠 전에)
2. 표준어 규정에 어긋난 경우
(1)풍지박산(→풍비박산), 새앙쥐(→생쥐), 맨날(→만날), 티각태각(→티격태 격), 목이 메이는(→목이 메는), 되겠구만(→되겠구먼), 헤메는(→헤매는), 삐지고(→삐치고), 임마(→인마), 어떤 것이길래(→것이기에)
(2)담은(→담근) 김치, 양발(→양말), 언능(→얼른), 놀래키다(→놀래다), 얼 로(→어디로), 심(→힘)
(3)갑작스런(→갑작스러운), 핀다(→피운다), 의심스런(→의심스러운), 수놈(→수놈), 부담스런(→부담스러운), 조심스런(→조심스러운), 끼여들어(→끼어들어), 있을런지(→있을는지), 꼬매야(→꾀매야), 싫여(→싫어)
3. 외래어 표기법에 어긋난 경우
(1)라커룸(→로커룸), 스카웃(→스카우트), 페스티발(→페스티벌), 오리엔털(→오리엔탈), 인터내셔날(→인터내셔널), 포탈사이트(→포털사이트), 프레쉐트(→프레세트), 타이거즈(→타이거스), 샤콘느(→샤콘), 뎃상(→데생)
(2)화이팅(→파이팅), 후라이팬(→프라이팬), 어나운서(→아나운서)
(3)커텐(→커튼), 헬맷(→헬멧), 샷시(→섀시), 프랭카드(→프래카드), 칼라믹스(→컬러믹스), 퀵보드(→킥보드), 라신느(→라신)캠씨(→캠시), 핼맷(→헬멧), 이태리타올(→이태리타월), 액센트(→악센트), 커텐(→커튼)
Ⅳ.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문제점
1. 외래 요소와 본애 바탕의 문제
국어 순화의 문제를 관찰하거나 논의할 때에는 늘 두 측면을 ㅎㅁ께 고려해야 한다. 그 하나는 국어 자채(내부)의 문제, 다시 말하면, 본애 바탕의 문제요, 다른 하나는 국어에 섞여있는 외애 요소의 문제이다.
(1) ㄱ.미스킴, 홀ㅇ;는 와리바시하고 시보리 두개 가져 오고, 열번 ㄹ테이블에는 사사미 한 사라!
ㄴ.그 레스토랑에서 라이브 콘서트가 있었는데, 게스트로 나온 그여자, 언발란스한 헤어 스타일에, 칼라풀한 의상에, 노
추천자료
PC 통신 언어가 국어 생활에 미치는 영향
속담 패러디를 활용한 국어 표현능력 신장 방안 연구
우리나라 초등특수학급 국어교육의 문제점과 발전과제에 관하여 논의하시오
[페이퍼] 국어의 띄어쓰기에 대하여
한결 김윤경의 사상과 국어학
80,90년대 현대 국어 연구의 개황
서포 김만중의 국어․국문에 대한 시각과 애정
중세 국어 <-오/우->의 기능 연구
중세 국어 <-오/우->의 기능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음운 관련 단원의 몇 가지 문제점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음운 관련 단원의 몇 가지 문제점
서법 - 중세국어 부차서법 위주로 -
서법 - 중세국어 부차서법 위주로 -
통일을 대비한 국어교육의 현황과 대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