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독일연방정부의 상징, 문장
독일의 역사
정치 체제 및 형태
독일의 외교
독일의 정치가
독일의 역사
정치 체제 및 형태
독일의 외교
독일의 정치가
본문내용
소련군의 단계적 철수, 통독 후 독일국경의 영속성에 관한 동·서독과 미·영·프·소간의 <2+4회담>과, 소련의 <통독 NATO 잔류 수용>을 거쳐 1990년 10월 3일 서독 기본법 제23조에 의거, 서독은 동독을 흡수통합하였다.
독일의 정치가
히틀러(Hitler, Adolf.1889.4.20∼1945.4.30)
독일 정치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브라우나우암인 출생. 오스트리아 세관원의 아들로 태어나 린츠 근교에서 자랐다. 레알슐레(실업계 중등학교)에 입학하였으나 졸업하지 못하였고, 화가가 되기 위해 빈에 있는 미술학교에 1907ㆍ1908년 두 차례 응시하였다가 실패하였다. 그 뒤 빈에서 일정한 직업 없이 유산과 고아연금으로 생활하였고 그림엽서나 광고그림 등을 그려 수입을 얻기도 하였다. 13년 병역을 피해 독일 뮌헨으로 이주하였다가 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독일 군에 자원입대, 바이에른 보병의 전령병으로서 전공을 세워 2차에 걸쳐 철십자훈장을 받았다. 18년 독일 패전 후에도 군에 남아 군대 내 공산주의자를 색출하는 위원회 등에서 근무하였다.
19년 독일노동당(20년 국민사회주의 독일노동자당으로 개칭, 통칭 나치스)에 입당한 뒤 뛰어난 연설로 선전활동을 전개하여 당세를 확장하였고 20년 군에서 제대, 나치운동에 전념하였다. 21년 임시전당대회를 개최한 뒤 당의 총서기가 되어 실권을 장악하였으며 베르사유조약의 폐기, 유대인 배척, 바이마르 공화제 반대 등을 주장하여 일반 민중의 지지를 얻었다. 23년 11월 뮌헨에서 봉기하였다가 실패, 투옥되었고 25년 출옥하여 내부적으로 분열되었던 나치스의 재건에 힘써 30년 9월 총선거에서는 나치스가 600만표 이상을 득표, 독일 제 2 당으로 부상하였다. 32년 대통령선거에서 P. 힌덴부르크에게 패배하였으나, 같은 해 7월 총선거에서 나치스가 승리, 제 1 당이 되었고 33년 1월 독일 총리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2월 국회의사당 방화사건을 계기로 공산당을 억압하고 반대파에 대한 대탄 압을 강행하였으며, 이어 총선거에서 승리한 뒤 의회에서 전권위임법을 성립시켜 일당독재체제를 확립하였다. 이듬해 대통령 힌덴부르크가 죽자 대통령제를 폐지하고 자신이 총통 겸 총리로 취임하였다. 35년 베르사유조약의 군사제한조항을 폐기하고 병역의무를 다시 도입하여 군비확장에 의한 실업극복에 성공하였다.
대외적으로는 독일 민족 생존권수립의 정책을 폈는데 35년 자루의 영유권 회복, 38년 오스트리아 합병, 39년 3월 체코슬로바키아 점령 및 같은 해 9월 폴란드를 침공하여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켰다. 40년 6월 프랑스를 정복한 뒤 이듬해 소련 우크라이나를 점령하였으나 43년 2월 스탈린그라드(지금의 볼고그라드), 같은 해 5월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패배하였다. 유태인 말살정책을 고집하여 수백만의 무고한 유태인을 학살하였다. 악의 화신으로 암살될 뻔하였으나 구사일생으로 살아났고, 45년 4월 29일 소련군 포위 아래 베를린에서 E. 브라운과 결혼한 뒤 이튿날 총통관저에서 자살하였다.
엥 겔라 메르켈(Angela Merkel, 1954년7월 17일)
엥 겔라 메르켈은 독일의 여성 정치가이다. 2000년4월 10일 부터 기독민주연합(CDU) 최초 여성 의장을, 2005년 11월 22일부터는 독일의 총리를 맡고 있다.
1954년함부르크에서 첫째 딸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개신교 목사인 호르스트 카스너, 어머니는 헤어린트 카스너이며 태어날 때 이름은 앙겔라 도로테아 카스너였다. 1961년 기술고등학교에 입학했으며, 1970년대 초반에 자유독일청년회(FDJ)에 가입한다. 수학과 어학과목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이며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73년부터 1978년까지 라이프치히 대학에서 물리학을 공부하여 디플롬학위(석사학위에 해당)를 받는다. 1978년 슈타지로 불리는 동독 국가안보부 (Ministerium fuer Staatssicherheit)에서 일자리를 제안 받지만 거절한다. 슈타지는 그녀의 동독과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와 폴란드 자유노조에 대한 동조적 성향을 기록하고 있다. 1986년 루츠 췰리케 교수 밑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8년부터 1990년까지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 물리화학 연구소에서 양자화학분야의 연구원으로 일했다. 그동안 그녀는 자유독일청년회 과학 아카데미에서 지구선도위원, 선 전부 의장을 지낸다. 그러나 동독의 정당에는 가입하지 않는다.
메르켈은 1989년독일 통일 이전까지는 구동독 반대 그룹에 전혀 관여하지 않았다. 1989년의 격동 중 결성된 민주개혁(Democratischer Aufbruch, DA)에 참여하면서 정치에 입문했고, 후에 대변인이 되었다. 1990년 민주 선거로 성립된 로타 드 마지에르(Lothar de Maiziere) 정권에서 정부 대변인을 맡았으며 1990년 8월 DA와 기민당 (CDU)의 합당으로 기민 당원이 되었다. 12월에 하원 의원 후보로 뽑힌 그는 1991년 1월 헬무트 콜내각에서 여성 청소년부 장관을 지냈다. 그리고 1993년 6월 부터 2000년까지는 기민당 메클렌부르크-포어폼메른의 지역위원장으로 활동하다 1994년11월 17일 클라우스 몽퍼후임으로 환경부 장관이 되었다. 1998년 11월 볼프강 쇼이블레로부터 기민당 당대 표를 물려받아 2000년 4월까지 당 대표로 활동했다. 1999년 겨울 기민당의 암거래 헌금이 발각되자 메르켈은 재빨리 헬무트 콜전 총리와 거리를 두어야 한다고 당원에게 호소했다 (현재는 콜 전 수상과 화해했다). 2000년 비밀 헌금 문제로 쇼이블레 CDU 당수가 사임 후, 당수로 취임했다. 2000년의 시점에서는 CDU 당수 겸 CDU/CSU 연방 의회 의원 단장이라고 하는 쇼이블레씨의 직위가 당수가 메르켈에, 의원 단장이 메르트 CDU 재무 담당에 따로 따로 인계된 것은 구동독 출신의 반발이었다. 여성이며, 게다가 이혼 경력이 있는 메르켈은 CDU에서는 자유주의자로 간주되었고 보수 주류에서는 회의적인 눈길을 받았다. 톱의 암거래 헌금 의혹에 쇼크를 받은 CDU의 지방 당원·일반 당원이, 보수 주류에서는 빗나가는 메르켈을 당수에게 밀어 올렸던 것이다.
독일의 정치가
히틀러(Hitler, Adolf.1889.4.20∼1945.4.30)
독일 정치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브라우나우암인 출생. 오스트리아 세관원의 아들로 태어나 린츠 근교에서 자랐다. 레알슐레(실업계 중등학교)에 입학하였으나 졸업하지 못하였고, 화가가 되기 위해 빈에 있는 미술학교에 1907ㆍ1908년 두 차례 응시하였다가 실패하였다. 그 뒤 빈에서 일정한 직업 없이 유산과 고아연금으로 생활하였고 그림엽서나 광고그림 등을 그려 수입을 얻기도 하였다. 13년 병역을 피해 독일 뮌헨으로 이주하였다가 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독일 군에 자원입대, 바이에른 보병의 전령병으로서 전공을 세워 2차에 걸쳐 철십자훈장을 받았다. 18년 독일 패전 후에도 군에 남아 군대 내 공산주의자를 색출하는 위원회 등에서 근무하였다.
19년 독일노동당(20년 국민사회주의 독일노동자당으로 개칭, 통칭 나치스)에 입당한 뒤 뛰어난 연설로 선전활동을 전개하여 당세를 확장하였고 20년 군에서 제대, 나치운동에 전념하였다. 21년 임시전당대회를 개최한 뒤 당의 총서기가 되어 실권을 장악하였으며 베르사유조약의 폐기, 유대인 배척, 바이마르 공화제 반대 등을 주장하여 일반 민중의 지지를 얻었다. 23년 11월 뮌헨에서 봉기하였다가 실패, 투옥되었고 25년 출옥하여 내부적으로 분열되었던 나치스의 재건에 힘써 30년 9월 총선거에서는 나치스가 600만표 이상을 득표, 독일 제 2 당으로 부상하였다. 32년 대통령선거에서 P. 힌덴부르크에게 패배하였으나, 같은 해 7월 총선거에서 나치스가 승리, 제 1 당이 되었고 33년 1월 독일 총리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2월 국회의사당 방화사건을 계기로 공산당을 억압하고 반대파에 대한 대탄 압을 강행하였으며, 이어 총선거에서 승리한 뒤 의회에서 전권위임법을 성립시켜 일당독재체제를 확립하였다. 이듬해 대통령 힌덴부르크가 죽자 대통령제를 폐지하고 자신이 총통 겸 총리로 취임하였다. 35년 베르사유조약의 군사제한조항을 폐기하고 병역의무를 다시 도입하여 군비확장에 의한 실업극복에 성공하였다.
대외적으로는 독일 민족 생존권수립의 정책을 폈는데 35년 자루의 영유권 회복, 38년 오스트리아 합병, 39년 3월 체코슬로바키아 점령 및 같은 해 9월 폴란드를 침공하여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켰다. 40년 6월 프랑스를 정복한 뒤 이듬해 소련 우크라이나를 점령하였으나 43년 2월 스탈린그라드(지금의 볼고그라드), 같은 해 5월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패배하였다. 유태인 말살정책을 고집하여 수백만의 무고한 유태인을 학살하였다. 악의 화신으로 암살될 뻔하였으나 구사일생으로 살아났고, 45년 4월 29일 소련군 포위 아래 베를린에서 E. 브라운과 결혼한 뒤 이튿날 총통관저에서 자살하였다.
엥 겔라 메르켈(Angela Merkel, 1954년7월 17일)
엥 겔라 메르켈은 독일의 여성 정치가이다. 2000년4월 10일 부터 기독민주연합(CDU) 최초 여성 의장을, 2005년 11월 22일부터는 독일의 총리를 맡고 있다.
1954년함부르크에서 첫째 딸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개신교 목사인 호르스트 카스너, 어머니는 헤어린트 카스너이며 태어날 때 이름은 앙겔라 도로테아 카스너였다. 1961년 기술고등학교에 입학했으며, 1970년대 초반에 자유독일청년회(FDJ)에 가입한다. 수학과 어학과목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이며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73년부터 1978년까지 라이프치히 대학에서 물리학을 공부하여 디플롬학위(석사학위에 해당)를 받는다. 1978년 슈타지로 불리는 동독 국가안보부 (Ministerium fuer Staatssicherheit)에서 일자리를 제안 받지만 거절한다. 슈타지는 그녀의 동독과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와 폴란드 자유노조에 대한 동조적 성향을 기록하고 있다. 1986년 루츠 췰리케 교수 밑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8년부터 1990년까지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 물리화학 연구소에서 양자화학분야의 연구원으로 일했다. 그동안 그녀는 자유독일청년회 과학 아카데미에서 지구선도위원, 선 전부 의장을 지낸다. 그러나 동독의 정당에는 가입하지 않는다.
메르켈은 1989년독일 통일 이전까지는 구동독 반대 그룹에 전혀 관여하지 않았다. 1989년의 격동 중 결성된 민주개혁(Democratischer Aufbruch, DA)에 참여하면서 정치에 입문했고, 후에 대변인이 되었다. 1990년 민주 선거로 성립된 로타 드 마지에르(Lothar de Maiziere) 정권에서 정부 대변인을 맡았으며 1990년 8월 DA와 기민당 (CDU)의 합당으로 기민 당원이 되었다. 12월에 하원 의원 후보로 뽑힌 그는 1991년 1월 헬무트 콜내각에서 여성 청소년부 장관을 지냈다. 그리고 1993년 6월 부터 2000년까지는 기민당 메클렌부르크-포어폼메른의 지역위원장으로 활동하다 1994년11월 17일 클라우스 몽퍼후임으로 환경부 장관이 되었다. 1998년 11월 볼프강 쇼이블레로부터 기민당 당대 표를 물려받아 2000년 4월까지 당 대표로 활동했다. 1999년 겨울 기민당의 암거래 헌금이 발각되자 메르켈은 재빨리 헬무트 콜전 총리와 거리를 두어야 한다고 당원에게 호소했다 (현재는 콜 전 수상과 화해했다). 2000년 비밀 헌금 문제로 쇼이블레 CDU 당수가 사임 후, 당수로 취임했다. 2000년의 시점에서는 CDU 당수 겸 CDU/CSU 연방 의회 의원 단장이라고 하는 쇼이블레씨의 직위가 당수가 메르켈에, 의원 단장이 메르트 CDU 재무 담당에 따로 따로 인계된 것은 구동독 출신의 반발이었다. 여성이며, 게다가 이혼 경력이 있는 메르켈은 CDU에서는 자유주의자로 간주되었고 보수 주류에서는 회의적인 눈길을 받았다. 톱의 암거래 헌금 의혹에 쇼크를 받은 CDU의 지방 당원·일반 당원이, 보수 주류에서는 빗나가는 메르켈을 당수에게 밀어 올렸던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국제정치이론의 역사적 이해
일본의 역사와 정치
한국 근현대사의 역사성격과 정치폭력
중국 고대및 근대의 역사와 정치
한국 근&#61598;현대사의 역사성격과 정치폭력
중국 정치제도의 역사
[북한 핵문제]북한 핵개발의 역사와 원인, 북한의 핵수준, 한반도에서의 핵, 미사일 경쟁, 한...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의 역사, 인도네시아의 경제, 인도네시아의 문화와 경제, 인도네시아...
[자메이카]서인도제도 자메이카(자마이카)의 개관과 일반정보, 서인도제도 자메이카(자마이카...
정치학의 역사
[러시아정부, 행정단위, 연방행정기관]러시아정부의 역사, 러시아정부의 행정단위, 러시아정...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의 역사, 기본정보,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의 정치, 남아프리카...
[한국민족운동사] 조선공산당 - 1920년대 사회주의 운동, 조선공산당의 조직과 활동, 조선공...
러시아 탐방 [역사와 정치제도, 경제력과 주력산업, 종교와 민족문제, 문화와 관광명소 (음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