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MMPI는 피검자의 심리적 상태 및 정상으로부터의 이탈을 매우 신뢰롭고 타당하게 반영해 준다.
⑤ 진단을 목적으로 하는 병원중심의 임상척도 뿐 아니라 일반인의 적응이나 성격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특수내용 척도가 있어 정상인의 적응과 성격을 예측, 이해하는데 효율성이 높다.
Rorschach test
스위스의 정신의학자 H. 로르샤흐가 발표한 인격진단검사로 투영법의 대표적인 방법이다. 10장의 원도판 잉크블롯을 사용한다. 좌우대칭으로 된 것을 한 장씩 피검자에게 보여 어떻게 보이는가를 묻는다.
그 대답이 얼룩 전체에 대한 상상인가 아니면 부분적인 대답인가, 또 그 상상의 주체가 얼룩의 형태인가, 색채인가, 얼룩이 움직여 보이는가 등을 다각도로 분석한다. 색채에 대한 반응은 개인의 정동 특성을, 농담에 대한 반응은 불안을, 운동에 대한 반응은 공상이나 타인과의 공감성을, 형체에 대한 반응은 지적 특성을 추측할 수 있다. 본래 이 검사는 정신병이나 병적 성격의 진단기법으로서 개발된 것으로, 현재는 보통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성격심리학 ·임상심리학 ·문화인류학 등의 분야에서 널리 응용하고 있다.
주제통각검사 (thematic apperception test)
문학적인 창조성을 자극하여 상상한 내용에서 무의식의 복합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심리테스트의 하나로 테마해명검사 또는 과제통각검사라고도 한다. 주로 인물이 등장하는 그림(20∼30매)을 보여서 자유로운 공상적 이야기를 만들게 하고, 그 의미 부여의 방법이나 이야기의 전개방법 또는 표현방법을 분석함으로써 본인이 뚜렷하게 의식하지 못하는 마음의 응어리나 숨은 욕구를 찾아내기도 하고, 퍼스널리티 전체를 진단하기도 한다. 검사 결과의 분석과 해석은 통찰적이고 심층 심리학적이기 때문에 경험을 쌓은 검사자가 실시해야 한다.
벤더게슈탈트시험 (Bender Gestalt test)
임상심리 테스트로 1938년 L.벤더가 발표한 방법이다. M.벨트하이머가 제작한 9개의 도형을 피검사자에게 보이고 쓰게 하여 그 결과에 따라 장애나 이상을 발견한다. 시각·운동기능이 성숙이나 기질장애의 영향을 받아 도형의 게슈탈트 구성에 나타날 뿐만 아니라, 정서적 요인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성숙도나 퇴행의 사정뿐만 아니라 투영법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문장완성검사
미완성의 문장에 적절한 말을 추가하여 완전한 문장을 만들게 하는 검사로 여기에 사용한 단어를 보고 그 사람의 특성을 진단한다.
단어연상검사
단어연상검사 방법은 1879년 F. Galton이 시작했다. 그 뒤 C.G. Jung이 일반적인 정서적 도착을 검사하기 위해 100개의 단어를 사용하여 연구하기도 했다. 그는 피검사자에게 단어를 불러 주고 제일 처음 마음에 떠오르는 단어를 말하게 했다. 가장 유명한 단어연상검사는 G.H. Kent, A.J. Rosanoff(1910)가 정신적 환자와 정상인을 변별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이다. 단어 100개를 미리 정상인과 이상인에게 실시해서 그 반응어의 빈도를 정상과 이상의 준거로 삼고, 피험자를 정상인, 이상인으로 변별하려는 방법이다.
13.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
약물치료
-zyprexa 10mg (IV)
▷ 효능효과
:경구 치료제의 투여가 적합하지 않은 정신 분열병 환자의 흥분 및 행동장애의 급성 치료
▷ 이상반응
1) 심장계 이상
-흔함(1-10%) : 저혈압 또는 실신, 빈맥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서맥
-흔하지 않음(0.1-1%) : 동휴지기
2) 혈관계 이상
-흔함(1-10%): 기립성 저혈압, 저혈압
3) 호흡기계 이상
-흔하지 않음(0.1-1%): 저환기
4) 일반질환과 투여부위 상태
-흔함(1-10%): 주사 부위의 불쾌감
-zeldox 200mg (PO)
▷ 효능.효과
1) 정신분열병
2) 정신병적 양상이 수반되는 혹은 수반되지 않은 양극성 장애와 관련된 급성 조증 혹 은 혼재 삽화 (episode)의 치료
▷ 이상반응
1) 전신계 : 실험실 검사 이상, 동통
2) 심혈관계 : 저혈압, 체위성 저혈압, 빈맥
3) 소화기계 : 소화불량, 고창, 혀부종
4) 혈액 및 림프계 : 호산구증가증
5) 대사 및 영양계 : SGPT 증가, 목마름
6) 근골격계 : 관절질환, 다리경련
7) 신경계 : 무도병아테토제, 차골성경축, 우울증, 구음장애, 대발작, 환각, 적개심, 운 동기능감소증, 근력저하, 안구운동발작, 지각이상, 언어장애, 지연성 운동 장애, 현기증
8) 호흡기계 : 비염
9) 피부 및 부속기관 : 반점상구진성 발진, 발진, 두드러기
10) 특수기관 : 시각이상
11) 요로비뇨기계 : 요실금
일반 집단 치료
주 2회 이상 실시
작업 및 오락요법
주 5회 이상 실시
특별 치료
운동, 에어로빅, 영화, 오락, 명상
14. 의학적 진단 (DSM-Ⅳ)
① AxisⅠ(임상적 장애) : 과대망상 (grandiose delusion)
② Axis Ⅱ (인격장애와 정신지연) : 정신이상 (psychotic disorder NOS)
③ Axis Ⅲ (일반적 의학상태) : 오심, 구토 (현재는 없음)
④ Axis Ⅳ (심리사회적, 환경적 문제) : 대인관계결핍, 사회적응장애
⑤ Axis Ⅴ (전반적인 기능평가) : GAF(Global Assessment Function) = 40
* GAF(Global Assessment Function)
: 정신장애의 진단과 통계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미국에서 만들어진 척도이다.
진단을 위한 검사 도구가 아니라 진단에 관계없이 현재의 기능 상태만을 평가하는 것으로 특별한 평가 항목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현재 기능이 이 정도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평가자가 환자의 여러가지 상태를 모두 고려하여 \"이 환자의 현재 기능상태는 GAF상 70-61입니다\" 라고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관적인 평가이고, 어떤 검사를 통한 절대 평가가 아니기 때문에, 장애 진단시 이 정도의 기능장애가 이 정도의 장애등급에 해당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 자료 항목이다.
간호과정
사정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나는 산에 가야해. 그래야 안 아프다산에 가면 낫는 병인데 뭐하로 여 있
⑤ 진단을 목적으로 하는 병원중심의 임상척도 뿐 아니라 일반인의 적응이나 성격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특수내용 척도가 있어 정상인의 적응과 성격을 예측, 이해하는데 효율성이 높다.
Rorschach test
스위스의 정신의학자 H. 로르샤흐가 발표한 인격진단검사로 투영법의 대표적인 방법이다. 10장의 원도판 잉크블롯을 사용한다. 좌우대칭으로 된 것을 한 장씩 피검자에게 보여 어떻게 보이는가를 묻는다.
그 대답이 얼룩 전체에 대한 상상인가 아니면 부분적인 대답인가, 또 그 상상의 주체가 얼룩의 형태인가, 색채인가, 얼룩이 움직여 보이는가 등을 다각도로 분석한다. 색채에 대한 반응은 개인의 정동 특성을, 농담에 대한 반응은 불안을, 운동에 대한 반응은 공상이나 타인과의 공감성을, 형체에 대한 반응은 지적 특성을 추측할 수 있다. 본래 이 검사는 정신병이나 병적 성격의 진단기법으로서 개발된 것으로, 현재는 보통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성격심리학 ·임상심리학 ·문화인류학 등의 분야에서 널리 응용하고 있다.
주제통각검사 (thematic apperception test)
문학적인 창조성을 자극하여 상상한 내용에서 무의식의 복합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심리테스트의 하나로 테마해명검사 또는 과제통각검사라고도 한다. 주로 인물이 등장하는 그림(20∼30매)을 보여서 자유로운 공상적 이야기를 만들게 하고, 그 의미 부여의 방법이나 이야기의 전개방법 또는 표현방법을 분석함으로써 본인이 뚜렷하게 의식하지 못하는 마음의 응어리나 숨은 욕구를 찾아내기도 하고, 퍼스널리티 전체를 진단하기도 한다. 검사 결과의 분석과 해석은 통찰적이고 심층 심리학적이기 때문에 경험을 쌓은 검사자가 실시해야 한다.
벤더게슈탈트시험 (Bender Gestalt test)
임상심리 테스트로 1938년 L.벤더가 발표한 방법이다. M.벨트하이머가 제작한 9개의 도형을 피검사자에게 보이고 쓰게 하여 그 결과에 따라 장애나 이상을 발견한다. 시각·운동기능이 성숙이나 기질장애의 영향을 받아 도형의 게슈탈트 구성에 나타날 뿐만 아니라, 정서적 요인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성숙도나 퇴행의 사정뿐만 아니라 투영법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문장완성검사
미완성의 문장에 적절한 말을 추가하여 완전한 문장을 만들게 하는 검사로 여기에 사용한 단어를 보고 그 사람의 특성을 진단한다.
단어연상검사
단어연상검사 방법은 1879년 F. Galton이 시작했다. 그 뒤 C.G. Jung이 일반적인 정서적 도착을 검사하기 위해 100개의 단어를 사용하여 연구하기도 했다. 그는 피검사자에게 단어를 불러 주고 제일 처음 마음에 떠오르는 단어를 말하게 했다. 가장 유명한 단어연상검사는 G.H. Kent, A.J. Rosanoff(1910)가 정신적 환자와 정상인을 변별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이다. 단어 100개를 미리 정상인과 이상인에게 실시해서 그 반응어의 빈도를 정상과 이상의 준거로 삼고, 피험자를 정상인, 이상인으로 변별하려는 방법이다.
13.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
약물치료
-zyprexa 10mg (IV)
▷ 효능효과
:경구 치료제의 투여가 적합하지 않은 정신 분열병 환자의 흥분 및 행동장애의 급성 치료
▷ 이상반응
1) 심장계 이상
-흔함(1-10%) : 저혈압 또는 실신, 빈맥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서맥
-흔하지 않음(0.1-1%) : 동휴지기
2) 혈관계 이상
-흔함(1-10%): 기립성 저혈압, 저혈압
3) 호흡기계 이상
-흔하지 않음(0.1-1%): 저환기
4) 일반질환과 투여부위 상태
-흔함(1-10%): 주사 부위의 불쾌감
-zeldox 200mg (PO)
▷ 효능.효과
1) 정신분열병
2) 정신병적 양상이 수반되는 혹은 수반되지 않은 양극성 장애와 관련된 급성 조증 혹 은 혼재 삽화 (episode)의 치료
▷ 이상반응
1) 전신계 : 실험실 검사 이상, 동통
2) 심혈관계 : 저혈압, 체위성 저혈압, 빈맥
3) 소화기계 : 소화불량, 고창, 혀부종
4) 혈액 및 림프계 : 호산구증가증
5) 대사 및 영양계 : SGPT 증가, 목마름
6) 근골격계 : 관절질환, 다리경련
7) 신경계 : 무도병아테토제, 차골성경축, 우울증, 구음장애, 대발작, 환각, 적개심, 운 동기능감소증, 근력저하, 안구운동발작, 지각이상, 언어장애, 지연성 운동 장애, 현기증
8) 호흡기계 : 비염
9) 피부 및 부속기관 : 반점상구진성 발진, 발진, 두드러기
10) 특수기관 : 시각이상
11) 요로비뇨기계 : 요실금
일반 집단 치료
주 2회 이상 실시
작업 및 오락요법
주 5회 이상 실시
특별 치료
운동, 에어로빅, 영화, 오락, 명상
14. 의학적 진단 (DSM-Ⅳ)
① AxisⅠ(임상적 장애) : 과대망상 (grandiose delusion)
② Axis Ⅱ (인격장애와 정신지연) : 정신이상 (psychotic disorder NOS)
③ Axis Ⅲ (일반적 의학상태) : 오심, 구토 (현재는 없음)
④ Axis Ⅳ (심리사회적, 환경적 문제) : 대인관계결핍, 사회적응장애
⑤ Axis Ⅴ (전반적인 기능평가) : GAF(Global Assessment Function) = 40
* GAF(Global Assessment Function)
: 정신장애의 진단과 통계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미국에서 만들어진 척도이다.
진단을 위한 검사 도구가 아니라 진단에 관계없이 현재의 기능 상태만을 평가하는 것으로 특별한 평가 항목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현재 기능이 이 정도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평가자가 환자의 여러가지 상태를 모두 고려하여 \"이 환자의 현재 기능상태는 GAF상 70-61입니다\" 라고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관적인 평가이고, 어떤 검사를 통한 절대 평가가 아니기 때문에, 장애 진단시 이 정도의 기능장애가 이 정도의 장애등급에 해당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 자료 항목이다.
간호과정
사정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나는 산에 가야해. 그래야 안 아프다산에 가면 낫는 병인데 뭐하로 여 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