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민족운동
교육운동
교육운동
본문내용
행허용→기사삭제,압수,정지
1930년대: 일장기말소사건,조선동아일보 폐간
③ 국학운동
[국어연구]
조선어연국회:주시경 국문연구소 계승/강연회,강습회 개최, 잡지 한글 강행, 한글날 제정
조선어학회:조선어 연국회 확대, 개편/한글맞춤법 통일안과 표준어 제정,조선어학회사건 활동중단→광복후 한글학회계승
[국사연구]
①민족주의사학:우리역사의 주체적발전,민족의 자주성강조
민족주체성 강조→실증성 약함
신채호: 일제의 타율성정체성론 비판
<조선상고사>
-단군~백제멸망 서술,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적극평가
박은식: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참여
<한국통사>-일제의 불법적인 한국침략 과정서술,
민족정신을 ‘혼’으로 파악
<한국 독립 운동 지혈사>-한국독립운동과정 서술
정인보: 민족정신 ‘얼’로 표현,<조선사연구>
②사회경제사학(유물사관): 사회주의적관점 수용
(계급문제주력, 민족문제 과소평가)
백남운 <조선사회 경제사>, <조선봉건사회 경제사>
③실증주의사학(랑케사관)
객관적사실에 근거하는 문헌고증의 연구자세로 역사연구
식민사학에 소극적대응, 역사위한 역사중시
(민족운동으로서의 역사연구 거부)
④ 교육
조선여자교육회:여성교육의 대중화 기여, 여성교육 강조
조선교육회:민립대학설립운동 전개, 교육계몽활동전개
사립학교:근대적지식보급,항일민족운동의 거점
→일제 통제와 감시 강화
야학: 생활이 어려운 미취학자들에게 민족의식 고취
개량서당: 일제 교육제도 거부하는人→교육욕구 충족
⑤ 종교활동
천도교:31운동 주도적역할, 일제의 탄압과 감시
→제2독립운동선언운동계획, 소년운동주도, 교육사업 전개
대종교:단군사상, 무장독립전쟁 전개
불교: 조선불교 유신회 조직 저항
원불교: 개간사업, 저축운동 등 새생활 운동 전개
천주교: 지도층은 독립운동자제, 만주에서 의민단 조직 청산리대첩에 참전
⑥ 문학
[1910년대]
문학: 계몽주의적성격, 이광수 무정
음악: 창가유행
[1920년대(31운동이후)]
문학: 도피적,퇴폐적,낭만주의적
저항문학: 김소월(민요조서정시),한용운(항일문학)
신경향파문학: 식민지현실고발, 계급의식 고취
국민문학운동: 민족의식 고취
미술: 이중섭-민족정서대표 ‘소’ 그림
연극-신파극: 우리민족의 애환표현
-토월회: 반봉건사상, 저항의지표현
-극예술 연구회: 유치진 ‘토막’ 공연
[1930년대 이후(중일전쟁 이후)]
일제의 군국주의 찬양요구: 최남선,이광수 등 일제 협력
저항문학(이육사, 윤동주),순수문학, 안익태<코리아환상곡>
1930년대: 일장기말소사건,조선동아일보 폐간
③ 국학운동
[국어연구]
조선어연국회:주시경 국문연구소 계승/강연회,강습회 개최, 잡지 한글 강행, 한글날 제정
조선어학회:조선어 연국회 확대, 개편/한글맞춤법 통일안과 표준어 제정,조선어학회사건 활동중단→광복후 한글학회계승
[국사연구]
①민족주의사학:우리역사의 주체적발전,민족의 자주성강조
민족주체성 강조→실증성 약함
신채호: 일제의 타율성정체성론 비판
<조선상고사>
-단군~백제멸망 서술,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적극평가
박은식: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참여
<한국통사>-일제의 불법적인 한국침략 과정서술,
민족정신을 ‘혼’으로 파악
<한국 독립 운동 지혈사>-한국독립운동과정 서술
정인보: 민족정신 ‘얼’로 표현,<조선사연구>
②사회경제사학(유물사관): 사회주의적관점 수용
(계급문제주력, 민족문제 과소평가)
백남운 <조선사회 경제사>, <조선봉건사회 경제사>
③실증주의사학(랑케사관)
객관적사실에 근거하는 문헌고증의 연구자세로 역사연구
식민사학에 소극적대응, 역사위한 역사중시
(민족운동으로서의 역사연구 거부)
④ 교육
조선여자교육회:여성교육의 대중화 기여, 여성교육 강조
조선교육회:민립대학설립운동 전개, 교육계몽활동전개
사립학교:근대적지식보급,항일민족운동의 거점
→일제 통제와 감시 강화
야학: 생활이 어려운 미취학자들에게 민족의식 고취
개량서당: 일제 교육제도 거부하는人→교육욕구 충족
⑤ 종교활동
천도교:31운동 주도적역할, 일제의 탄압과 감시
→제2독립운동선언운동계획, 소년운동주도, 교육사업 전개
대종교:단군사상, 무장독립전쟁 전개
불교: 조선불교 유신회 조직 저항
원불교: 개간사업, 저축운동 등 새생활 운동 전개
천주교: 지도층은 독립운동자제, 만주에서 의민단 조직 청산리대첩에 참전
⑥ 문학
[1910년대]
문학: 계몽주의적성격, 이광수 무정
음악: 창가유행
[1920년대(31운동이후)]
문학: 도피적,퇴폐적,낭만주의적
저항문학: 김소월(민요조서정시),한용운(항일문학)
신경향파문학: 식민지현실고발, 계급의식 고취
국민문학운동: 민족의식 고취
미술: 이중섭-민족정서대표 ‘소’ 그림
연극-신파극: 우리민족의 애환표현
-토월회: 반봉건사상, 저항의지표현
-극예술 연구회: 유치진 ‘토막’ 공연
[1930년대 이후(중일전쟁 이후)]
일제의 군국주의 찬양요구: 최남선,이광수 등 일제 협력
저항문학(이육사, 윤동주),순수문학, 안익태<코리아환상곡>
추천자료
한국 민족주의 운동에 대한 통시적 고찰
시대별 민족 해방운동
민족 해방 운동가, 몽양 여운형
1910년 만주지역 독립운동 기지건설
독립운동시기의 좌우민족국가건설론의 이해와 좌우합작운동의 이해
[1910년대][정부수립운동][문학][동아시아][노동단체]1910년대의 정부수립운동, 1910년대의 ...
1910년대 독립운동, 1920년대 청년운동, 1930년대 재일조선인운동, 1940년대 통일운동, 1950...
1910년대 정부수립운동, 1920년대 농민운동, 1930년대 재일조선인운동, 1940년대 통일운동세...
[단재 신채호]독립운동가 단재 신채호의 역사, 독립운동가 단재 신채호의 사상, 독립운동가 ...
[독립운동가 단재 신채호][민족사학][문학]독립운동가 단재 신채호의 연혁, 독립운동가 단재 ...
사회주의 운동조선 공산당, 민족해방 운동을 전개하다
중국의 소수민족문제_ 소수민족의 분리독립운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