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시기의 좌우민족국가건설론의 이해와 좌우합작운동의 이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립운동시기의 좌우민족국가건설론의 이해와 좌우합작운동의 이해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좌익노선의 민족국가건설론
2. 우익노선의 민족국가건설론
3. 좌우합작운동의 경위와 그 성격
4. 4 19운동

본문내용

문제가 UN으로 이관되고 민족 분단의 위험이 높아진 후에야 중도세력을 통한 남북회담을 주선하려 했지만 이미 때가 늦은 후였음.
③합작운동의 지지기반
-좌우익 쌍방으로부터 비판받았지만, 지지하는 정치세력의 기반이 있었다는 것이 중요.
-좌우합작운동은 단순히 좌익 우익 세력의 합작을 중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일정한 중간노선적 정치제제였음. 그것을 통해 남북을 통한 통일정부 성립을 시도. 사회민주주의 체제라고 볼 수 있음. 남북분단의 위험 앞에서, 순수자본주의 순수공산주의가 아닌 제 3의 방향으로 선택한 민중이 상당히 많았음.
4. 합작운동의 성격
-합작운동이 실패한 이유
a. 좌익 세력의 극좌주의화와 우익 세력의 극우주의화 : 두 세력은 해외에서 귀국한 독립운동 세력을 각각 자기 진영으로 흡수하려 들면서 정국을 극우적, 극좌적 방향으로 양분하여 제3세력이 존속할 수 있는 공간을 두려하지 않은 것으로 보임.
b. 좌우합작운동의 정치적 기반이 그만큼 확고하지 못한 점에 실패한 원인이 있음 : 그 당시 이 좌우합작운동을 지지할만한 사회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이, 좌우합작운동이 이끄는 통일민족국가 수립의 방향으로 이끌고 갈 만한 역사의식과 정치의식을 갖출 단계에 있지 못했음.
c. 좌우합작운동이 미국 측의 원조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은 근본적 한계를 드러냄 : 합작위원회는 어떤 의미에서 미군정의 일종의 여당같이 된 셈.
-합작운동의 역사적 의의
a. 식민지 시대의 독립운동 전선에서 형성되어가던 민족연합전선운동의 하나의 연장이라고 볼 수 있음
b. 좌우합작운동이 식민지 시대의 독립운동전선에 나타난 민족연합전선운동의 연장선상에 있었다는 사실은 ‘통일민족국가’를 수립하는 방법론에서 그 맥을 잇고 있다는 점의 의미로움.
c. 민족의 분단을 막고 통일민족국가를 수립하기 위한 좌우합작운동은 곧, ‘분단시대 민족주의 운동’의 일환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
03. 4월 혁명의 민족사적 맥락
-4 19혁명은 민주주의 운동과 민족통일 운동의 역사를 지님.
<민주주의운동사 속의 4 19운동>
-분단체제를 정착화하면서 이승만 정권이 성립됨
-식민지 시대의 항일운동은 독립전쟁론, 외교독립론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승만은 외교독립론. 그러나 또 다른 제국주의의 세력에서 독립을 얻어내려 한 이 방법론은 독립전쟁론자들에 의해 비판 받음.
-식민지 시대의 항일운동은 절대독립론과 상대독립론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승만은 상대독립론에 해당
-이승만 정권의 튼튼하지 못한 항일운동적 자산은, 사실 친일적 성격이 있었음
-반공주의를 무기로 삼아 민주주의 운동을 철저히 탄압. 독재체제를 굳힘 : 반공이 유지됨으로써(외부에 적을 둠으로써) 내부를 결집. 권력을 강화.
but 반공주의와 외교정책 상의 반일주의로 유지되던 독재체제는 곧 한계성을 드러내고 4 19혁명의 도전을 받음. 민족주의 운동의 성격이 나타나는 역사적 단계성을 가진 민주주의 운동이라고 볼 수 있음
<민족통일운동으로서의 4 19운동>
-4 19운동이 민주주의 운동으로 출발했지만, 장면정권이 성립된 후 그 방향이 급격히 민족통일운동으로 옮겨감.
-이승만 정권은 통일민족국가 수립운동을 저지하는 과정에서 성립되었음. 따라서 이를 무너뜨린 4 19혁명은 민족국가수립운동의 연장선 상이라고 보아야 함.
-장면 정권은 ‘유엔감시와 남북 총선거를 통한 평화적 자유민주통일방안’을 제시했지만 지지받지 못함. 현실적인 방안을 내 놓치 못하고 구호적 차원에서 머무르는 데 반해, 젊은 세대의 운동은 구체적이고도 현실적인 방향에서 민족적 차원의 통일론을 제시.
-1960년 서울대학교 ‘민족통일연맹’결성 : 학생층의 통일운동. 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을 결합하고자 함. 그러나 이 남북학생회담을 장면 정부 인사들이 비판. (장면정권 역시 분단 상황을 전제로 해야 존립 가능한 정권이었으므로, 통일이 지향되는 역사과정에서 존립할 수 있는 정권이 아니었음.)
-4 19 민족통일운동은 학생 주도에 의해 남북학생회담의 실현 직전까지 갔으나, 5 16이 발생함에 따라 실패. 통일운동 자체가 불법화되기에 이른다.
-장면 정권은 4 19혁명에 의해 세워진 정권이지만, 민족통일운동으로 그것을 발전시킬만한 역량이 없었고, 분단체제 아래에서 존속할 수 있는 성격의 정권일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었다. 민주주의 운동, 민족통일운동이 일체가 동결되는 원인을 제공하는 정부였다.
**4 19민족운동은 민주주의 운동이 민족통일 운동으로 발전한 분단시대의 민중운동의 거대한 출발점이었다는 역사적 의의가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6.18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27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