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 요약
1. 음운과 음운 체계
1.1. 말소리와 발음 기관
1.2. 국어의 음운 체계
2. 자음과 관련된 동화현상
Ⅱ. 자음교육
1. 한글의 자음
2. 현행 한국어 교육에서의 자음 교육
3. 자음 교육방법
참고문헌
참고
1. 음운과 음운 체계
1.1. 말소리와 발음 기관
1.2. 국어의 음운 체계
2. 자음과 관련된 동화현상
Ⅱ. 자음교육
1. 한글의 자음
2. 현행 한국어 교육에서의 자음 교육
3. 자음 교육방법
참고문헌
참고
본문내용
소리, 후음)
·자음의 조음 방법 - 파열음(폐쇄음) : 공깃길의 어느 한 곳에서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순간적으로 터뜨 려서 내는 소리 (터뜨림소리, 예) ‘바’), ‘ㅂ, ㅍ, ㅃ’ (두 입술), ‘ㄷ, ㅌ, ㄸ’ (윗잇몸), ‘ㄱ, ㅋ, ㄲ’ (여린입천장)
파찰음(붙갈이소리) : 능동부를 고정부에 닿게 하여 공기의 흐름을 한 순간 막았다가 터뜨리되, 그 속도를 조금 더디게 하면 순간적으로 생기는 마 찰을 이용한 소리. ‘ㅈ’ , ‘ㅊ’, ‘ㅉ’ 앞 혓바닥이 센입천장에 닿 았다가 떨어지면서 나는 경구개 파찰음
마찰음(갈이소리) : 능동부를 고정부에 닿기 직전의 상태까지 접근시켜 좁은 틈의 공 기가 통과되면서 마찰이 생겨서 나는 소리. ‘ㅅ’, ‘ㅆ’ 혀끝과 윗잇 몸에서 나는 마찰음 ‘ㅎ’ 목청에서 마찰이 나는 성문 무성 마찰음 (성문(聲門)은 성대의 두 막 사이의 공간을 가리키는 말이다. 성문 의 개폐정도에 따라 음성의 무성 성대(聲帶)를 진동시키지 않고 내는 소리. 국어에서는, 자음의 ‘ㄱ’, ‘ㄷ’, ‘ㅂ’, ‘ㅅ’,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이다.
, 유성 등이 결정된다.
경음(된소리) : 파열음이나 파찰음, 마찰음 소리를 낼 떼 막히거나 좁혀졌던 공깃길을 여는 순간 성문을 힘주어 좁히면 조음 기관의 근육들이 긴장되면서 밖 으로 나가는 공기가 단단하고 된 소리로 나는 현상. ‘ㅃ’ (양순파열음), ‘ㄸ’ (치조 파열음), ‘ㅆ’(치조마찰음), ‘ㅉ’ (경구개 파찰음)
유기음(격음, 거센소리) : 막혔던 공깃길이 개방되면서 성문이 넓게 열리고 강한 기류 가 빠져 나가면서 무성의 마찰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를 ‘기’ 라고 한다. 파열음이나 파찰음 중에서 ‘기’를 수반하는 소리 를 유기음이라 한다. ‘ㅍ’(양순파열음), ‘ㅌ’ (치조 파열음), ‘ㅋ’ (연구개 파열음), ‘ㅊ’)경구개 파찰음)
비음(콧소리) : 막혔던 공기를 터뜨리는 순간 코로 공기를 통과시켜 내는 소리로 코안 을 울리면서 나는 소리인 동시에 목청을 떨려서 내는 소리이므로 모두 유성음에 해당됨. ‘ㅁ’, ‘ㄴ’, ‘ㅇ’ 은 연구개 비음 송철의, 앞의 책. p9 에서는 비음에 대해 다음과 같이 추가적인 설명을 하고 있다. 국어의 비음에는 ‘ㅁ, ㄴ, ㅇ\' 이 있다. ‘ㅁ‘은 ‘ㅂ’ 과 같은 위치에서 발음되는 양순 비음이고, ‘ㄴ’은 ‘ㄷ’과 같은 위치에서 발음되는 치경 비음이며, ‘ㅇ’ 은 ‘ㄱ’과 같은 위치에서 발음되는 연구개 비음이다. 이들 비음들은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들과는 달리 대체로 어떤 위치에서나 동일한 음가로 발음된다. 파열음 ‘ㅂ’ 이 놓이는 위치에 따라 달리 발음되는 것과는 다르다.
유음(흐름소리) : 공깃길을 완전히 막지 않아서 자유롭게 흘러 나가는 소리
설측음 : 혀끝의 중앙부를 윗잇몸 근처에 댄 상태에서 공기를 혀 양 옆 으로 흘러 보내는 소리
탄설음 : 혀끝을 윗잇몸 쪽에 가볍게 닿게 해서 내는 소리 송철의, 앞의 책. p10 에서는 유음에 대해 다음과 같이 추가적인 설명을 하고 있다. 국어의 유음에는 ‘ㄹ’이 있다. 그런데 이 ‘ㄹ’도 항상 동일한 음가로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달, 불고’ 등에서의 ‘ㄹ’은 설측음 [l]로 발음된다. 어말이나 자음 앞에 오는 ‘ㄹ’은 모두 이 소리로 발음된다. 그러나 ‘흐르다’ 에서의 ‘ㄹ’은 ‘달’에서의 ‘ㄹ’과는 다르게 발음된다. 이 경우의 ‘ㄹ’은 혀끝이 치경에 닿아 있는 채로 발음되는 것이 아니라 한번 닿았다 떨어지면서 발음된다. 이 때의 ‘ㄹ’을 흔히 [] 로 적기도 하는데 정확히는 []이다.
<그림 2 국어의 자음체계>
2. 자음과 관련된 동화 현상
송철의, 「자음 체계와 자음 동화, 『새국어생활 제 8권 제4호』, 1998. pp226-234. 요약
조음 위치가 다르던 것들이 조음 위치가 같아지거나 조음 방법이 다르던 것들이 조음 방법이 같아지는 것
조음 위치가 같아지는 것 - 위치 동화
조음 방법이 같아지는 것 - 방법 동화
2.1. 자음 동화
2.1.1. 방법 동화
국어의 방법 동화에는 비음화와 유음화가 있다.
비음화 : ‘ㄱ, ㄷ, ㅂ’ 과 같은 폐쇄음들이 비음(ㄴ,ㅁ) 의 영향을 받아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
예) 죽 + 는 → [중는], 잡 + 는 → [잠는]
유음화 : 비음 ‘ㄴ’ 이 유음 ‘ㄹ’에 동화되어 ‘ㄹ’로 바뀌는 현상으로 ‘ㄴ’과 ‘ㄹ’은 조음 위치는 같고 조음 방법만 다르므로 유음화도 역시 방법 동화에 해당
예) 앓 + 는 → [알른], 끓 + 는 → [끌른]
2.1.2. 위치 동화
위치 동화란 조음 방법은 그대로이면서 조음 위치가 바뀌어서 동화가 이루어지는 경우로 치경음이 연구개음과 만날 때에는 연구개음으로 동화되고 양순음과 만날 때에는 양순음으로 동화되는 경우와 양순음이 연구개음과 만날 때 연구개음으로 동화되는 경우가 있다.
예) 듣 + 고 → [득꼬], 돈 + 보다 → [돔보다], 신문→ [심문]
Ⅱ. 자음 교육
1. 한글의 자음
먼저 한글 맞춤법 규정을 보면 한글의 자모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 있다.
제 4 항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넉 자로 하고,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치읓) ㅋ(키읔) ㅌ(티읕)
ㅍ(피읖) ㅎ(히읗)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ㅣ(이)
[붙임 1] 위의 자모로써 적을 수 없는 소리는 두 개 이상의 자모를
어울러서 적되,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ㄲ(쌍기역) ㄸ(쌍디귿) ㅃ(쌍비읍) ㅆ(쌍시옷)
ㅉ(쌍지읒) ㅐ(애) ㅒ(얘) ㅔ(에)
ㅖ(예) ㅘ(와) ㅙ(왜) ㅚ(외)
ㅝ(워) ㅞ(웨) ㅟ(위) ㅢ(의)
[붙임 2] 사전에 올릴 적의 자모 순서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
자음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모음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1.1. 자음의 이름
한글 자음의 이름에서 ‘ㄱ’, ‘ㄷ’, ‘ㅅ’의 경우 나머지 글자의 경우처럼 ‘기윽, 디
·자음의 조음 방법 - 파열음(폐쇄음) : 공깃길의 어느 한 곳에서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순간적으로 터뜨 려서 내는 소리 (터뜨림소리, 예) ‘바’), ‘ㅂ, ㅍ, ㅃ’ (두 입술), ‘ㄷ, ㅌ, ㄸ’ (윗잇몸), ‘ㄱ, ㅋ, ㄲ’ (여린입천장)
파찰음(붙갈이소리) : 능동부를 고정부에 닿게 하여 공기의 흐름을 한 순간 막았다가 터뜨리되, 그 속도를 조금 더디게 하면 순간적으로 생기는 마 찰을 이용한 소리. ‘ㅈ’ , ‘ㅊ’, ‘ㅉ’ 앞 혓바닥이 센입천장에 닿 았다가 떨어지면서 나는 경구개 파찰음
마찰음(갈이소리) : 능동부를 고정부에 닿기 직전의 상태까지 접근시켜 좁은 틈의 공 기가 통과되면서 마찰이 생겨서 나는 소리. ‘ㅅ’, ‘ㅆ’ 혀끝과 윗잇 몸에서 나는 마찰음 ‘ㅎ’ 목청에서 마찰이 나는 성문 무성 마찰음 (성문(聲門)은 성대의 두 막 사이의 공간을 가리키는 말이다. 성문 의 개폐정도에 따라 음성의 무성 성대(聲帶)를 진동시키지 않고 내는 소리. 국어에서는, 자음의 ‘ㄱ’, ‘ㄷ’, ‘ㅂ’, ‘ㅅ’,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이다.
, 유성 등이 결정된다.
경음(된소리) : 파열음이나 파찰음, 마찰음 소리를 낼 떼 막히거나 좁혀졌던 공깃길을 여는 순간 성문을 힘주어 좁히면 조음 기관의 근육들이 긴장되면서 밖 으로 나가는 공기가 단단하고 된 소리로 나는 현상. ‘ㅃ’ (양순파열음), ‘ㄸ’ (치조 파열음), ‘ㅆ’(치조마찰음), ‘ㅉ’ (경구개 파찰음)
유기음(격음, 거센소리) : 막혔던 공깃길이 개방되면서 성문이 넓게 열리고 강한 기류 가 빠져 나가면서 무성의 마찰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를 ‘기’ 라고 한다. 파열음이나 파찰음 중에서 ‘기’를 수반하는 소리 를 유기음이라 한다. ‘ㅍ’(양순파열음), ‘ㅌ’ (치조 파열음), ‘ㅋ’ (연구개 파열음), ‘ㅊ’)경구개 파찰음)
비음(콧소리) : 막혔던 공기를 터뜨리는 순간 코로 공기를 통과시켜 내는 소리로 코안 을 울리면서 나는 소리인 동시에 목청을 떨려서 내는 소리이므로 모두 유성음에 해당됨. ‘ㅁ’, ‘ㄴ’, ‘ㅇ’ 은 연구개 비음 송철의, 앞의 책. p9 에서는 비음에 대해 다음과 같이 추가적인 설명을 하고 있다. 국어의 비음에는 ‘ㅁ, ㄴ, ㅇ\' 이 있다. ‘ㅁ‘은 ‘ㅂ’ 과 같은 위치에서 발음되는 양순 비음이고, ‘ㄴ’은 ‘ㄷ’과 같은 위치에서 발음되는 치경 비음이며, ‘ㅇ’ 은 ‘ㄱ’과 같은 위치에서 발음되는 연구개 비음이다. 이들 비음들은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들과는 달리 대체로 어떤 위치에서나 동일한 음가로 발음된다. 파열음 ‘ㅂ’ 이 놓이는 위치에 따라 달리 발음되는 것과는 다르다.
유음(흐름소리) : 공깃길을 완전히 막지 않아서 자유롭게 흘러 나가는 소리
설측음 : 혀끝의 중앙부를 윗잇몸 근처에 댄 상태에서 공기를 혀 양 옆 으로 흘러 보내는 소리
탄설음 : 혀끝을 윗잇몸 쪽에 가볍게 닿게 해서 내는 소리 송철의, 앞의 책. p10 에서는 유음에 대해 다음과 같이 추가적인 설명을 하고 있다. 국어의 유음에는 ‘ㄹ’이 있다. 그런데 이 ‘ㄹ’도 항상 동일한 음가로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달, 불고’ 등에서의 ‘ㄹ’은 설측음 [l]로 발음된다. 어말이나 자음 앞에 오는 ‘ㄹ’은 모두 이 소리로 발음된다. 그러나 ‘흐르다’ 에서의 ‘ㄹ’은 ‘달’에서의 ‘ㄹ’과는 다르게 발음된다. 이 경우의 ‘ㄹ’은 혀끝이 치경에 닿아 있는 채로 발음되는 것이 아니라 한번 닿았다 떨어지면서 발음된다. 이 때의 ‘ㄹ’을 흔히 [] 로 적기도 하는데 정확히는 []이다.
<그림 2 국어의 자음체계>
2. 자음과 관련된 동화 현상
송철의, 「자음 체계와 자음 동화, 『새국어생활 제 8권 제4호』, 1998. pp226-234. 요약
조음 위치가 다르던 것들이 조음 위치가 같아지거나 조음 방법이 다르던 것들이 조음 방법이 같아지는 것
조음 위치가 같아지는 것 - 위치 동화
조음 방법이 같아지는 것 - 방법 동화
2.1. 자음 동화
2.1.1. 방법 동화
국어의 방법 동화에는 비음화와 유음화가 있다.
비음화 : ‘ㄱ, ㄷ, ㅂ’ 과 같은 폐쇄음들이 비음(ㄴ,ㅁ) 의 영향을 받아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
예) 죽 + 는 → [중는], 잡 + 는 → [잠는]
유음화 : 비음 ‘ㄴ’ 이 유음 ‘ㄹ’에 동화되어 ‘ㄹ’로 바뀌는 현상으로 ‘ㄴ’과 ‘ㄹ’은 조음 위치는 같고 조음 방법만 다르므로 유음화도 역시 방법 동화에 해당
예) 앓 + 는 → [알른], 끓 + 는 → [끌른]
2.1.2. 위치 동화
위치 동화란 조음 방법은 그대로이면서 조음 위치가 바뀌어서 동화가 이루어지는 경우로 치경음이 연구개음과 만날 때에는 연구개음으로 동화되고 양순음과 만날 때에는 양순음으로 동화되는 경우와 양순음이 연구개음과 만날 때 연구개음으로 동화되는 경우가 있다.
예) 듣 + 고 → [득꼬], 돈 + 보다 → [돔보다], 신문→ [심문]
Ⅱ. 자음 교육
1. 한글의 자음
먼저 한글 맞춤법 규정을 보면 한글의 자모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 있다.
제 4 항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넉 자로 하고,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치읓) ㅋ(키읔) ㅌ(티읕)
ㅍ(피읖) ㅎ(히읗)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ㅣ(이)
[붙임 1] 위의 자모로써 적을 수 없는 소리는 두 개 이상의 자모를
어울러서 적되,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ㄲ(쌍기역) ㄸ(쌍디귿) ㅃ(쌍비읍) ㅆ(쌍시옷)
ㅉ(쌍지읒) ㅐ(애) ㅒ(얘) ㅔ(에)
ㅖ(예) ㅘ(와) ㅙ(왜) ㅚ(외)
ㅝ(워) ㅞ(웨) ㅟ(위) ㅢ(의)
[붙임 2] 사전에 올릴 적의 자모 순서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
자음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모음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1.1. 자음의 이름
한글 자음의 이름에서 ‘ㄱ’, ‘ㄷ’, ‘ㅅ’의 경우 나머지 글자의 경우처럼 ‘기윽, 디
추천자료
[인문과학] 독 해 를 위 한 필 수 영 문 법
독 해 를 위 한 필 수 영 문 법
고등학교 영어과 교수 모형.
영문법 총정리 요약본
국어과 7차 교육과정과 7차 개정 교육과정 해설 및 비교분석(8학년 문법)
교수학습 지도안(문법)
생활 언어 속의 잘못된 문법 찾기
[국어교육론] 말하기 교육과정 분석, 문법 교육방법 요약과 분석
초등학교 국어 수업을 전문화하는 교사의 능력
<한국어 교안(문법)> 단원명 : 비빔밥이 좋아요. 맛있어요.. / 학습목표 : 비격식체 ‘-아/어...
[아동언어발달] 아동기 언어발달(아동의 어휘-문법발달, 의사소통능력발달, 읽기와 쓰기능력...
[고등학교 국어과 본시 수업안](3. 함께하는 언어생활 학습지도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