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본문내용
절과 유연한 전환
-사건의 일관성
*속도 조절은 사건의 발생 빈도나 빠르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첫 갈등(사건)인 성구의 죽음을 알리는 ‘S# 29. 아침바다’ 이후 혼백 구하기 장면 ‘S# 45. 장면과 장면 또는 시퀀스와 시퀀스 간의 시간적 간격을 고려해보면 각자 알맞은 속도 조절을 느낄 수 있 음
※사건 설정Ⅱ
Ⅰ.시나리오 이해하기
ⅰ.사건 설정
°유연한 전환은 사건의 마무리를 어떻게 처리하고 그 다음 이야기로 원활하게 연결하는 것에 달려있음
-성구의 죽음을 알리는 성칠이의 귀향 시퀀스
성황당과 혼백 구하기 시퀀스는 성칠이의 귀향과 불행한 소식으로 온 동네가 시끄럽게 난장판이 되는 순간에 혼백 구하기 제 의식으로 극의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굿판으로 전환시킨다
*그 예로 ‘S# 136. 대폿집(안)’과 ‘S# 143. 대폿집(밖)’에서는 해순에 대한 감독의 추태 정도가 발전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파국은 해순을 겁탈하려는 감독을 쫓다가 절벽에 떨어져 죽는 상수의 죽음장면인 ‘S# 161. 절벽’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하나의 사건은 정리됨
※긴장 형성
Ⅰ.시나리오 이해하기
ⅰ.긴장 suspense형성
°서스펜스 = 기대감, 긴장, 흥미 등의 뜻
-영화에서 긴장 : 놀라움 surprise과 구별되어 사용됨
-완화의 빈도수는 드라마의 전반부에 많다가 극의 절정에 가까워질수록 적어짐
°긴장의 형성 방식
-심각한 갈등이나 상대하기 힘든 대상의 출현은 긴장된 분위기를 조성시킴
-갈등이 복잡하게 얽히거나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데 극중 인물은 모른 채 관객만 이 알도록 극이 전개되면 긴장을 더욱 고조됨
※학습평가
Ⅰ.대사의 세가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대화 2)해설 3)독백 4)방백
Ⅱ.인물성격의 내적묘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사상 2)의식 3)품위 4)심리
※학습정리
°대사의 기능은
이야기의 발전, 인물의 심리, 감정의 표현, 상황의 사실을 전달하고 듣는 사람을 즐겁게 한다
°성격묘사는 내적묘사와 외적묘사로 이루어진다
°인물의 유형은 개성적, 전형적, 상징적 인물로 나뉜다
°사건은 내면적, 외면적 사건으로 구분된다
°시나리오는 긴장과 완화가 지속 되면서 극적 긴장감을 유지하도록 한다
14주차
■촬영과 조명
※학습목표
1.영화촬영에 있어서 카메라의 렌즈, 화면구도, 카메라 이동, 필터의 기능, 특수효과등을 소개한다
2.영화조명의 기능과 할리우드 삼각조명에 대해 이해한다
※촬영
Ⅰ.영화의 미장센론
°미장센 Mise-en-scen : 프랑스어로 ‘장면구성의 요소’를 뜻하는 무대용어
°미장센의 시청각적 제 요소 : 영화미술, 의상과 분장, 조명, 대상의 움직임, 편집과 사운 드 등
ⅰ.영화촬영
°영화의 영상 : 움직이는 화면으로 지속적인 변화가 요구됨
※카메라와 렌즈
Ⅰ.영화의 미장센론
1)카메라의 렌즈
°인간의 눈과 카메라의 렌즈는 대상을 포착하는 기능적인 원리는 같으나, 인간의 눈과 렌즈로 보는 시야는 다르다
°영화는 렌즈의 선택에 따라 대상을 포착하는 거리감각과 화면의 구도가 달라진다
※화면의 구도
2)화면의 구도
°구도는 렌즈의 기본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프레임과 앵글로서 이루어짐
※각도
Ⅰ.영화의 미장센론
°앵글은 화면의 구도를 급격히 변화시키는 쉬운 방법으로 눈높이(eye level)와 맞추는 것 이 보편적이나 눈높이보다 낮은 양각과 반대로 높은 부감이 있다
※카메라의 이동
Ⅰ.영화의 미장센론
3)카메라의 이동
°카메라의 이동은 대상을 따라 잡음으로써 고정적인 효과를 주기도 하고 반대로 고정되 어 있는 대상에게 움직이는 환영을 제공하기도 한다
°카메라의 이동과 다른 차원의 기법으로 화면을 연결하는 영상의 이동방식이 있다
※필터의 기능
Ⅰ.영화의 미장센론
°UV필터 - 기본적으로 사용, 지상이나 공중촬영시 대기 중의 흐린 광선을 제거하여 선명 한 화면을 만듦
- 칼라의 경우 뿌옇고 엷은 청색화면을 조절해 줌
°.ND 필터 - 아주 밝은 피사체(불타는 화로, 태양 등)를 촬영할 때 노출의 광량을 줄이기 위해 사용
°정색 필터 콘트라스트 필터 - 흑백영화에 주로 사용됨
°천연색 필터 - 앰버계(amber : 호박색계통)와 블루계(blue : 청색계통)로 구분
- 앰버계 : 구름 낀 날이나 비오는 날과 같이 온도가 낮은 날 화면의 푸른 색을 제거해 줌
- 블루계 : 해가 떠오르는 아침과 황혼녘의 황색이나 적색 톤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산광 필터(Diffusion filter) - 광선을 분산시켜 클로즈 업의 영상을 부드럽게 연출해 줌
°포그 필터(fog filter) - 안개의 효과를 낼때 사용
°실험용 필터(Experimental) - 현미경 촬영에 쓰임
※특수효과
5)특수효과
°직접적인 특수효과 - 바람, 폭풍우, 안개, 연기, 눈, 구름, 거미줄, 폭발 등의 효과
°화면합성 특수효과 - 배경영사법이라고도 하는 스크린 프로세스임
- 필요한 배경을 스크린 뒤에서 영사하고 그 앞에서 연기하는 것을 촬영하는 방식과 화면 속에 움직이는 두 화면을 합성시키는 트레블 링 매트가 있음
°기타 특수효과 - 특수효과를 위한 이미어춰 세트, 저속 및 고속 촬영, 역회전촬영, 원프 레임 촬영, 이중노출 및 옵티컬 프린터, 만화기법 등이 있음
°오늘날 컴퓨터 그래픽의 특수효과는 경제적, 기술적인 부담이 있지만 인간의 손에 의한 것보다 훨씬 정확한 영상 창조가 가능하다
※영화의 조명Ⅰ
Ⅰ.영화조명
°프레임 내에서 밝고 어두운 영역들은 각 쇼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차조하는데 기여하며, 나아가서 우리의 눈을 특정한 대상과 액션으로 인도한다
-밝게 비추는 부분은 관객의 주의를 끌게 하고 어두운 부분은 디테일을 감추어 줌으로 써 거기서 진행되는 음모에 대해 긴장감을 자아낸다
-부드러운 얼굴 곡선, 나무의 거친표면, 보석의 광채 등 질감을 분명하게 느길 수 있게 만들어 주는 다양한 빛의 광원과 방향 및 색깔들은 미장센의 그 어떤 요소보다도 중요 한 역할을 한다
°조명은 하이라이트와 그림자의 사용을 통해서 대상들의 윤곽과 틀을 지어준다
°조명의 질감은 빛의 상대적인 강도를 말한다
°한 쇼트 내에서 조명의 방향을 분명히 하는 것은 사실적인 조명을 위한 일관성 있는 조 명계획 때문에 중
-사건의 일관성
*속도 조절은 사건의 발생 빈도나 빠르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첫 갈등(사건)인 성구의 죽음을 알리는 ‘S# 29. 아침바다’ 이후 혼백 구하기 장면 ‘S# 45. 장면과 장면 또는 시퀀스와 시퀀스 간의 시간적 간격을 고려해보면 각자 알맞은 속도 조절을 느낄 수 있 음
※사건 설정Ⅱ
Ⅰ.시나리오 이해하기
ⅰ.사건 설정
°유연한 전환은 사건의 마무리를 어떻게 처리하고 그 다음 이야기로 원활하게 연결하는 것에 달려있음
-성구의 죽음을 알리는 성칠이의 귀향 시퀀스
성황당과 혼백 구하기 시퀀스는 성칠이의 귀향과 불행한 소식으로 온 동네가 시끄럽게 난장판이 되는 순간에 혼백 구하기 제 의식으로 극의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굿판으로 전환시킨다
*그 예로 ‘S# 136. 대폿집(안)’과 ‘S# 143. 대폿집(밖)’에서는 해순에 대한 감독의 추태 정도가 발전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파국은 해순을 겁탈하려는 감독을 쫓다가 절벽에 떨어져 죽는 상수의 죽음장면인 ‘S# 161. 절벽’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하나의 사건은 정리됨
※긴장 형성
Ⅰ.시나리오 이해하기
ⅰ.긴장 suspense형성
°서스펜스 = 기대감, 긴장, 흥미 등의 뜻
-영화에서 긴장 : 놀라움 surprise과 구별되어 사용됨
-완화의 빈도수는 드라마의 전반부에 많다가 극의 절정에 가까워질수록 적어짐
°긴장의 형성 방식
-심각한 갈등이나 상대하기 힘든 대상의 출현은 긴장된 분위기를 조성시킴
-갈등이 복잡하게 얽히거나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데 극중 인물은 모른 채 관객만 이 알도록 극이 전개되면 긴장을 더욱 고조됨
※학습평가
Ⅰ.대사의 세가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대화 2)해설 3)독백 4)방백
Ⅱ.인물성격의 내적묘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사상 2)의식 3)품위 4)심리
※학습정리
°대사의 기능은
이야기의 발전, 인물의 심리, 감정의 표현, 상황의 사실을 전달하고 듣는 사람을 즐겁게 한다
°성격묘사는 내적묘사와 외적묘사로 이루어진다
°인물의 유형은 개성적, 전형적, 상징적 인물로 나뉜다
°사건은 내면적, 외면적 사건으로 구분된다
°시나리오는 긴장과 완화가 지속 되면서 극적 긴장감을 유지하도록 한다
14주차
■촬영과 조명
※학습목표
1.영화촬영에 있어서 카메라의 렌즈, 화면구도, 카메라 이동, 필터의 기능, 특수효과등을 소개한다
2.영화조명의 기능과 할리우드 삼각조명에 대해 이해한다
※촬영
Ⅰ.영화의 미장센론
°미장센 Mise-en-scen : 프랑스어로 ‘장면구성의 요소’를 뜻하는 무대용어
°미장센의 시청각적 제 요소 : 영화미술, 의상과 분장, 조명, 대상의 움직임, 편집과 사운 드 등
ⅰ.영화촬영
°영화의 영상 : 움직이는 화면으로 지속적인 변화가 요구됨
※카메라와 렌즈
Ⅰ.영화의 미장센론
1)카메라의 렌즈
°인간의 눈과 카메라의 렌즈는 대상을 포착하는 기능적인 원리는 같으나, 인간의 눈과 렌즈로 보는 시야는 다르다
°영화는 렌즈의 선택에 따라 대상을 포착하는 거리감각과 화면의 구도가 달라진다
※화면의 구도
2)화면의 구도
°구도는 렌즈의 기본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프레임과 앵글로서 이루어짐
※각도
Ⅰ.영화의 미장센론
°앵글은 화면의 구도를 급격히 변화시키는 쉬운 방법으로 눈높이(eye level)와 맞추는 것 이 보편적이나 눈높이보다 낮은 양각과 반대로 높은 부감이 있다
※카메라의 이동
Ⅰ.영화의 미장센론
3)카메라의 이동
°카메라의 이동은 대상을 따라 잡음으로써 고정적인 효과를 주기도 하고 반대로 고정되 어 있는 대상에게 움직이는 환영을 제공하기도 한다
°카메라의 이동과 다른 차원의 기법으로 화면을 연결하는 영상의 이동방식이 있다
※필터의 기능
Ⅰ.영화의 미장센론
°UV필터 - 기본적으로 사용, 지상이나 공중촬영시 대기 중의 흐린 광선을 제거하여 선명 한 화면을 만듦
- 칼라의 경우 뿌옇고 엷은 청색화면을 조절해 줌
°.ND 필터 - 아주 밝은 피사체(불타는 화로, 태양 등)를 촬영할 때 노출의 광량을 줄이기 위해 사용
°정색 필터 콘트라스트 필터 - 흑백영화에 주로 사용됨
°천연색 필터 - 앰버계(amber : 호박색계통)와 블루계(blue : 청색계통)로 구분
- 앰버계 : 구름 낀 날이나 비오는 날과 같이 온도가 낮은 날 화면의 푸른 색을 제거해 줌
- 블루계 : 해가 떠오르는 아침과 황혼녘의 황색이나 적색 톤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산광 필터(Diffusion filter) - 광선을 분산시켜 클로즈 업의 영상을 부드럽게 연출해 줌
°포그 필터(fog filter) - 안개의 효과를 낼때 사용
°실험용 필터(Experimental) - 현미경 촬영에 쓰임
※특수효과
5)특수효과
°직접적인 특수효과 - 바람, 폭풍우, 안개, 연기, 눈, 구름, 거미줄, 폭발 등의 효과
°화면합성 특수효과 - 배경영사법이라고도 하는 스크린 프로세스임
- 필요한 배경을 스크린 뒤에서 영사하고 그 앞에서 연기하는 것을 촬영하는 방식과 화면 속에 움직이는 두 화면을 합성시키는 트레블 링 매트가 있음
°기타 특수효과 - 특수효과를 위한 이미어춰 세트, 저속 및 고속 촬영, 역회전촬영, 원프 레임 촬영, 이중노출 및 옵티컬 프린터, 만화기법 등이 있음
°오늘날 컴퓨터 그래픽의 특수효과는 경제적, 기술적인 부담이 있지만 인간의 손에 의한 것보다 훨씬 정확한 영상 창조가 가능하다
※영화의 조명Ⅰ
Ⅰ.영화조명
°프레임 내에서 밝고 어두운 영역들은 각 쇼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차조하는데 기여하며, 나아가서 우리의 눈을 특정한 대상과 액션으로 인도한다
-밝게 비추는 부분은 관객의 주의를 끌게 하고 어두운 부분은 디테일을 감추어 줌으로 써 거기서 진행되는 음모에 대해 긴장감을 자아낸다
-부드러운 얼굴 곡선, 나무의 거친표면, 보석의 광채 등 질감을 분명하게 느길 수 있게 만들어 주는 다양한 빛의 광원과 방향 및 색깔들은 미장센의 그 어떤 요소보다도 중요 한 역할을 한다
°조명은 하이라이트와 그림자의 사용을 통해서 대상들의 윤곽과 틀을 지어준다
°조명의 질감은 빛의 상대적인 강도를 말한다
°한 쇼트 내에서 조명의 방향을 분명히 하는 것은 사실적인 조명을 위한 일관성 있는 조 명계획 때문에 중
키워드
추천자료
중국영화의 이해
영화의 이해 게임
북한영화의 이해 및 남북한 영화의 비교
아도르노의 음악과 예술 철학, 아도르노의 예술 정신화와 물화의 변증법, 아도르노와 집단 무...
영화기법의 이해
영화의 이해55
대중영화의이해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방통대 2012년 2학기 국어국문학과 대중영화의 이해 D형 - 교재에 소개된 네오리얼리즘 사조...
영화로 보는 춤 이야기 (기말)
영화의 이해 레포트 스티븐 스틸버그의 영화 세계
[대중영화의이해 공통자료] 영화의 역사에서 언급되고 있는 영화들 중 한 편(네멋대로해라)을...
영화감상문 - 수상한 그녀 (카니발이론 관점에서 본 분석과 감상) [세계영화기행, 영화의 이해]
죽여주는 여자 [영화감상문, 영화리뷰, 안락사, 존엄사, 노인의 성 문제, 영화의 이해, 박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