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본론
1910년대
1. 시대개관 : 문학의 태동
2. 최남선(1890~1957)
1920년대
1.시대개관 : 자유시의 출발기
2.김억(1896.11.30~?)
3. 한용운(1879.8.29~1944.6.29)
1930년대
1.시대개관
2. 작품과 작가
1)시문학파
2)모더니즘파
3)생명파
3.이상(1620~1690)
1940년대
1. 시대개관
2. 작품과 작가
3. 이육사(1904.4.4~1944.1.16)
4.박목월(1916.1.16~1978.3.24)
1950년대
1.시대개관
2.작품과 작가
3. 박인환(1926.8.15~1956.3.20)
1960년대
1.시대개관
2.작품과 작가
1)현대 참여시
2)전통적서정시
3)모더니즘
3. 신경림(1936.4.6~)
1970년대
1.시대개관
2. 특징
3. 작품과 작가
1)민중시
4. 고은(1933.8.1~)
1980년대
1.시대개관
2.작품과 작가
3. 박노해(1958.11.20~)
Ⅲ. 결론
Ⅳ. 느낀점
Ⅱ.본론
1910년대
1. 시대개관 : 문학의 태동
2. 최남선(1890~1957)
1920년대
1.시대개관 : 자유시의 출발기
2.김억(1896.11.30~?)
3. 한용운(1879.8.29~1944.6.29)
1930년대
1.시대개관
2. 작품과 작가
1)시문학파
2)모더니즘파
3)생명파
3.이상(1620~1690)
1940년대
1. 시대개관
2. 작품과 작가
3. 이육사(1904.4.4~1944.1.16)
4.박목월(1916.1.16~1978.3.24)
1950년대
1.시대개관
2.작품과 작가
3. 박인환(1926.8.15~1956.3.20)
1960년대
1.시대개관
2.작품과 작가
1)현대 참여시
2)전통적서정시
3)모더니즘
3. 신경림(1936.4.6~)
1970년대
1.시대개관
2. 특징
3. 작품과 작가
1)민중시
4. 고은(1933.8.1~)
1980년대
1.시대개관
2.작품과 작가
3. 박노해(1958.11.20~)
Ⅲ. 결론
Ⅳ. 느낀점
본문내용
191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시의 흐름 정리
Ⅰ. 서론
우리 근대시의 처음 모습은 창가에서 엿볼 수 있다. 원래, 창가는 노래 부를 때의 가사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그 형식은, 종래의 가사(歌辭)나 민요에 바탕을 두면서도 변형을 시도한 것으로, 3(4).4조에서 조금 자유로워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창가의 내용에는 근대적 문물제도를 노래한 것, 자주 독립을 노래한 것, 의병 운동을 노래한 것 등이 있다. \'경부 철도 노래\', \'애국가\', \'창의가\' 등이 이런 작품이다. 이들은, 순수 서정시와는 달리, 개인적 감정보다는 집단적인 이상과 현실적인 문제의식을 주된 내용으로 다루었다.
창가의 뒤를 이어 좀 더 본격적인 새로운 시가가 나타났다.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가 그 대표적인 작품인데, 새 시대의 인간상과 포부를 노래했다. 이 시가는, 아직도 개인의 정서가 충분히 드러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창가와 크게 다를 바 없으나, 형식과 운율이 매우 자유로워진 점에서 새로운 것이었다. 또, 계몽사상을 담고자 한 이 시가는, 창가와는 달리, 작자의 창작 의식이 어느 정도 작용하였다.
Ⅱ.본론
1910년대
1. 시대개관 : 문학의 태동
<독립신문>에 실린 작가를 보면 다양한 사람들이 자신의 견해를 가사의 형식으로 발표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대한매일신보>에는 작가의 이름도 없이 많은 양의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애국가\', \'독립가\', \'동심가\', 자주 독립가\', \'애국하는 노래\' 등의 제목으로 발표되었으나 한편 1905년의 을사 강제 조약을 고비로 불길처럼 일어난 의병 운동의 과정에서는 의병들의 신념과 투쟁 경험을 담은 의병 가사가 생겨나기도 했다.
주목할 만한 것은 이 시기에 신체시가 생겨났으며 신체시는 주로 최남선, 이광수 두 사람이 주도가 되어 이루어졌다.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 \'태백산가\', \'대한 소년행\' 등과 이광수의 \'우리 영웅\', \'새 아이\' 등 많은 작품들이 신체시의 형태로 발표되었다.
◈주요 작품과시인
주요작품
시대
시인
만파식적
1917
김여제
시내, 봄, 눈, 샘물이 혼자서
1919
주요한
겨울의 황혼
1919
김억
불노리
1919
주요한
2. 최남선(1890~1957)
본관 동주(東州:鐵原), 호 육당(六堂), 자 공륙(公六), 아명 창흥(昌興), 세례명 베드로이다. 자습으로 한글을 깨쳐 1901년(광무 5)부터 《황성신문》에 투고했고 이듬해 경성학당에 입학하여 일본어를 배웠다. 1904년 황실유학생으로 소년반장(少年班長)이 되어, 도쿄[東京]부립중학에 입학했으나 3개월 만에 귀국했다. 1906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早稻田]대학 지리역사학과에 들어가 유학생회보 《대한흥학회보(大韓興學會報)》를 편집하면서 새로운 형식의 시와 시조를 발표했다.
잡지 《소년》를 창간하여 논설문과 새로운 형식의 자유시 〈해(海)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하고, 한편 이광수의 계몽적인 소설을 실어 한국 근대문학의 선구자의 한 사람이 되었다. 1909년 안창호(安昌浩)와 함께 청년학우회 설립위원이 되고, 이듬해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를 창설하여 고전을 간행하고 20여 종의 육전소설(六錢小說)을 발간했다. 1913년 다시 《아이들 보이》를 창간했으나 이듬해 폐간되자 다시 《청춘(靑春)》을 발간하여 초창기 문학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대표시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남선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때린다, 부슨다, 무너버린다.
태산(泰山) 같은 높은 뫼에 짚채같은 바위돌이나
요것이 무어냐, 요게 무어야.
나의 큰 힘 아나냐, 모르나냐, 호통까지 하면서
때린다. 부순다. 무너 버린다.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내게는, 아모것, 두려움 없어,
육상(陸上)에서 아모런 힘과 권(權)을 부리던 자(者)라도,
내 앞에 와서는 꼼짝 못하고
아무리 큰 물건도 내게는 행세하디 못하네.
내게는 내게는 나의 앞에는.
처……ㄹ썩, 텨……ㄹ썩,
Ⅰ. 서론
우리 근대시의 처음 모습은 창가에서 엿볼 수 있다. 원래, 창가는 노래 부를 때의 가사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그 형식은, 종래의 가사(歌辭)나 민요에 바탕을 두면서도 변형을 시도한 것으로, 3(4).4조에서 조금 자유로워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창가의 내용에는 근대적 문물제도를 노래한 것, 자주 독립을 노래한 것, 의병 운동을 노래한 것 등이 있다. \'경부 철도 노래\', \'애국가\', \'창의가\' 등이 이런 작품이다. 이들은, 순수 서정시와는 달리, 개인적 감정보다는 집단적인 이상과 현실적인 문제의식을 주된 내용으로 다루었다.
창가의 뒤를 이어 좀 더 본격적인 새로운 시가가 나타났다.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가 그 대표적인 작품인데, 새 시대의 인간상과 포부를 노래했다. 이 시가는, 아직도 개인의 정서가 충분히 드러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창가와 크게 다를 바 없으나, 형식과 운율이 매우 자유로워진 점에서 새로운 것이었다. 또, 계몽사상을 담고자 한 이 시가는, 창가와는 달리, 작자의 창작 의식이 어느 정도 작용하였다.
Ⅱ.본론
1910년대
1. 시대개관 : 문학의 태동
<독립신문>에 실린 작가를 보면 다양한 사람들이 자신의 견해를 가사의 형식으로 발표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대한매일신보>에는 작가의 이름도 없이 많은 양의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애국가\', \'독립가\', \'동심가\', 자주 독립가\', \'애국하는 노래\' 등의 제목으로 발표되었으나 한편 1905년의 을사 강제 조약을 고비로 불길처럼 일어난 의병 운동의 과정에서는 의병들의 신념과 투쟁 경험을 담은 의병 가사가 생겨나기도 했다.
주목할 만한 것은 이 시기에 신체시가 생겨났으며 신체시는 주로 최남선, 이광수 두 사람이 주도가 되어 이루어졌다.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 \'태백산가\', \'대한 소년행\' 등과 이광수의 \'우리 영웅\', \'새 아이\' 등 많은 작품들이 신체시의 형태로 발표되었다.
◈주요 작품과시인
주요작품
시대
시인
만파식적
1917
김여제
시내, 봄, 눈, 샘물이 혼자서
1919
주요한
겨울의 황혼
1919
김억
불노리
1919
주요한
2. 최남선(1890~1957)
본관 동주(東州:鐵原), 호 육당(六堂), 자 공륙(公六), 아명 창흥(昌興), 세례명 베드로이다. 자습으로 한글을 깨쳐 1901년(광무 5)부터 《황성신문》에 투고했고 이듬해 경성학당에 입학하여 일본어를 배웠다. 1904년 황실유학생으로 소년반장(少年班長)이 되어, 도쿄[東京]부립중학에 입학했으나 3개월 만에 귀국했다. 1906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早稻田]대학 지리역사학과에 들어가 유학생회보 《대한흥학회보(大韓興學會報)》를 편집하면서 새로운 형식의 시와 시조를 발표했다.
잡지 《소년》를 창간하여 논설문과 새로운 형식의 자유시 〈해(海)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하고, 한편 이광수의 계몽적인 소설을 실어 한국 근대문학의 선구자의 한 사람이 되었다. 1909년 안창호(安昌浩)와 함께 청년학우회 설립위원이 되고, 이듬해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를 창설하여 고전을 간행하고 20여 종의 육전소설(六錢小說)을 발간했다. 1913년 다시 《아이들 보이》를 창간했으나 이듬해 폐간되자 다시 《청춘(靑春)》을 발간하여 초창기 문학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대표시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남선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때린다, 부슨다, 무너버린다.
태산(泰山) 같은 높은 뫼에 짚채같은 바위돌이나
요것이 무어냐, 요게 무어야.
나의 큰 힘 아나냐, 모르나냐, 호통까지 하면서
때린다. 부순다. 무너 버린다.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내게는, 아모것, 두려움 없어,
육상(陸上)에서 아모런 힘과 권(權)을 부리던 자(者)라도,
내 앞에 와서는 꼼짝 못하고
아무리 큰 물건도 내게는 행세하디 못하네.
내게는 내게는 나의 앞에는.
처……ㄹ썩, 텨……ㄹ썩,
키워드
추천자료
[현대문학사] 1960년대의 시
[현대시론] 김춘수와 이승훈의 시와 사상
한국 현대 해체시 연구
(현대문학강독)청록파시인 3인의 시세계가 지니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조지훈,박목...
[현대시론][시적 화자][모더니즘][김기림][박인환][김규동][시론]현대시론과 시적 화자, 현대...
[민중][민중예술][민중시][한국현대문학][김태준][뷔히너][남미민중][인도민중]민중과 민중예...
[현대시강독] <1940년대 한국시>
현대 미국시에 대한 성찰
[현대문학사] 1930년~1945년대 전반의 시대적 배경과 시
[현대문학교육론] 김소월과 한용운의 시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진달래꽃」과 「님의 침...
[한국 현대 시론] 제 4장 시의 방법
현대문학 - 정지용(민족의 기억에 빛날 시의 성좌)
현대문학 - 괴기함을 통한 인식의 변화(그로테스크적 표현을 중심으로 본 ‘최승호’ 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