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의 메시아화
Ⅲ.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의 부활
1. 영인체는 신령한 몸
2. 예수님의 시체는 도둑 맞았나
1) 반(反) 예수파
2) 11사도
3) 비주류파
4) 그 외 여인들
3. 예수님은 ‘영적(?) 부활’임을 아셨다
4. 영적 부활도 육적 부활도 아니면
Ⅳ.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의 재림
1. 예수님 자신의 증거
2. 천상의 존재들의 증거
3. 사도들의 증거
1) 바울
2) 야고보
3) 베드로
4) 유다
5) 요한
4. 주님의 만찬의 증거
Ⅴ.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의 승천
Ⅵ.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의 재위
1. 재위의 의미
2. 성경적 증거
1) 구약의 예언
2) 예수 그리스도의 예언
3) 스데반 집사의 증언
4) 사도 바울의 증언
5) 사도 베드로의 증언
6) 히브리서의 증언
3. 하나님 우편에서의 사역
1) 선지자의 사역
2) 제사장의 사역
3) 왕이 사역
Ⅶ.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의 신비주의
Ⅷ.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와 12제자
Ⅸ. 결론
참고문헌
Ⅱ.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의 메시아화
Ⅲ.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의 부활
1. 영인체는 신령한 몸
2. 예수님의 시체는 도둑 맞았나
1) 반(反) 예수파
2) 11사도
3) 비주류파
4) 그 외 여인들
3. 예수님은 ‘영적(?) 부활’임을 아셨다
4. 영적 부활도 육적 부활도 아니면
Ⅳ.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의 재림
1. 예수님 자신의 증거
2. 천상의 존재들의 증거
3. 사도들의 증거
1) 바울
2) 야고보
3) 베드로
4) 유다
5) 요한
4. 주님의 만찬의 증거
Ⅴ.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의 승천
Ⅵ.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의 재위
1. 재위의 의미
2. 성경적 증거
1) 구약의 예언
2) 예수 그리스도의 예언
3) 스데반 집사의 증언
4) 사도 바울의 증언
5) 사도 베드로의 증언
6) 히브리서의 증언
3. 하나님 우편에서의 사역
1) 선지자의 사역
2) 제사장의 사역
3) 왕이 사역
Ⅶ.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의 신비주의
Ⅷ.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와 12제자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리스도, 예수)의 승천
그리스도에게 성령이 수여된 삼 단계를 다음과 같이 살펴보기로 하자. (1) 예수께서 잉태될 때에 하나님의 영은 예수의 영이 되어 생명을 주시고 성화케 하는 능력이 되었는데 예수께서 인자가 되어 끝까지 그의 일생을 마칠 때까지 그는 능력을 힘입어 살았던 것이다. (2) 신간이 흘러감에 따라서 성령과의 새로운 관계는 시작 되었다. 그리스도의 공생에 동안에 그의 위에 성령이 임해 있었다는 의미에서 하나님의 영은 그리스도의 영이 되었다. (3) 다른 사람들에게 성령이 부여되었다는 의미에서 승천하신 후에 성령은 그리스도의 영이 되었다. 성령께서는 그리스도 자신의 필요를 위하여 그의 위에 임하여 계셨을 뿐만 아니라 이제는 모든 신자들에게 성령이 주어지게 되었다(요1:33,특별히 \"머문다.\"는 말을 잘 음미하여 보라) 승천하신 후에 주 예수께서는 메시아이신 그에게 주어진 위대한 특권을 행사하셨다. 즉 다른 사람들에게 성령을 보내주셨다(행2:33,계5:6 참조) 그는 그가 받은 축복을 우리들에게 부여함으로써 우리들로 하여금 그의 축복의 동참자가 되게 하셨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성령의 선물 뿐 아니라 성령의 교제에 대하여 읽어 볼 수 있다. 곧 성령의 교제란 하나님의 성령이 우리들에게 주시는 축복과 특권에 참여하는 것을 말한다. 성령의 교제는 신자 상호간의 친교일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와 친교도 의미한다. 신자들은 예수께서 기름부음을 받으신 것과 같은 기름부음을 받을 수 있다. 귀중한 기름을 아론의 머리위에 부어 그 기름이 그의 수염으로 흘러내려 옷 기슭에 까지 흘러내린 것과 성령의 기름부음은 같은 것이다. 제사장의 나라로서의 그리스도의 몸의 모든 지체는 하늘나라로 승천하신 대제사장이시며 교회의 머리이신 그리스도로부터 흘러내리는 성령의 기름부음에 동참하게 되는 것이다.
Ⅵ.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의 재위
1. 재위의 의미
예수그리스도의 재위는 승귀의 셋째 단계이다(첫째 단계는 육체적 부활(resurrection)이요, 둘째 단계는 승천(ascenion)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승귀는 지상의 비하의 단계를 떠나서 바하 이전의 존귀한 상태로의 복귀를 의미한다.
(1) 그리스도의 재위는 시편 110:1(여호와께서 내 주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네 원수로 네 발등상 되게 하기까지 너는 내 우편에 앉으라 하셨도다)의 성취이다.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재위는 “아버지여 창세 전에 내가 아버지와 함께 가졌던 영화로써 지금도 아버지와 함께 나를 영화롭게 하옵소서.”(요 17:5)라고 간구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기도의 응답이었다.
(2) 하나님 우편(right hand of God)이란 구약 시편 110:1에서 인출되었다. 그리스도의 재위 즉 하나님 보좌 우편에 계심은 문자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하나님 우편이란 그리스도의 신분과 관계되는 것으로서 그리스도의 명예와 권위(honor and authority: 왕상 2:19; 시 45:9; 110:1), 능력과 위엄(power and majesty)을 가리킨다고 주석가들은 해석하였다(R. C. H. Lenski, The Acts of the Apostles, p. 304; John F. Wakvood, Roy B. Zuck, The Bible Knowledge Commentary, New Testment, p. 852)
(3)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 우편에 앉아 계신다.”란 말씀이외에도 “우편에 계신다.”(롬 8:34; 벧전 3:22), “서서 계신다.”(standing, 행 7:56), 또는 “일곱 촛대 사이에 왕래하신다.”(계 1:12; 2:1)라고도 말씀하였다.
(4) 바빙크(Herman Barvinck) 박사는 성경이 그리스도의 재위를 명확히 가리킨다는 것을 진술한 후에 매우 조심하여 추가하기를 “하나님의 우편이 하늘에 있는 한 특수한 처소를 지시하시는 것은 윌가 어떤 정도의 확실성을 가지고 말하기는 불가능하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우편의 재위는 하나님으로부터 어느 특정한 방향에 계신다기 보다는 오히려 상징적 표현으로 받아들일 것이다. 즉 예수 그리스도는 우주의 지배자로서의 최고 권능의 위치에 있음을 가리킨다.
(5) 在位는 성경에 자주 등장하는 비유적 표현이다. 즉 인간으로 하여금 이해를 돕기 위해 신인동형동성론적(神人同形同性論的)으로 신적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따라서 이는 문자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만약 성자가 성부의 우편에 앉으심을 말 그대로 이해한다면 하나님의 무한성은 없어지기 때문이다. 즉 이는 하나님을 공간적으로 제한시키는 결과를 낳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성자께서 성부로부터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공적으로 위임받았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John Calvin은 “그는 하늘과 땅의 통치자로 임명도시고 그에게 위임된 통치권을 정식으로 허락 받으시되 그가 심판하러 오시기까지 계속하기로 하신 것”하였다 라고 한다.
2. 성경적 증거
이미 밝힌 바와 같이 하나님 우편에 앉으심은 성경의 기록으로만 확인된다. 즉 이는 예수의 예언으로부터 시작하여(마26:64) 사도 베드로의 증언(행2:35, 36:5,31, 벧전2:22) 그리고 바울과(엡1:20) 사도 요한의 증언 이외에는 별다른 자료가 없다(계22:1).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 승천과 관련하여 선포된 이 말씀은 초대 교회의 말씀 증거의 주요 주제가 되어 왔다.
1) 구약의 예언
다윗은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께 “너는 나의 우편에 앉으라.”하시는 말씀을 들었다. 나의 우편은 하나님의 우편 곧 在位를 가리킨다.
시110:1 「여호와께서 내 주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네 원수로 네 발등상 되게 하기까지 너는 내 우편에 앉으라 하셨도다.」
다윗은 여호와 하나님과 다윗의 주님 즉 성부 하나님과 메시아 사이의 천상대화를 기록하였다. 이 대화에서 여호와 하나님은 다윗의 주님(Lord; 메시아)께 말씀하시기를 “너는 나의 우편에 앉으라.”고 하였다. 우편에 앉음은 그리스도께서 위엄과 권위를 지닌 통치자와 심판자의 자리에 앉으심을 뜻한다.
2) 예수 그리스도의 예언
예수 그리스도께서 대제사장 앞에서 심문(trial)을 당하실
그리스도에게 성령이 수여된 삼 단계를 다음과 같이 살펴보기로 하자. (1) 예수께서 잉태될 때에 하나님의 영은 예수의 영이 되어 생명을 주시고 성화케 하는 능력이 되었는데 예수께서 인자가 되어 끝까지 그의 일생을 마칠 때까지 그는 능력을 힘입어 살았던 것이다. (2) 신간이 흘러감에 따라서 성령과의 새로운 관계는 시작 되었다. 그리스도의 공생에 동안에 그의 위에 성령이 임해 있었다는 의미에서 하나님의 영은 그리스도의 영이 되었다. (3) 다른 사람들에게 성령이 부여되었다는 의미에서 승천하신 후에 성령은 그리스도의 영이 되었다. 성령께서는 그리스도 자신의 필요를 위하여 그의 위에 임하여 계셨을 뿐만 아니라 이제는 모든 신자들에게 성령이 주어지게 되었다(요1:33,특별히 \"머문다.\"는 말을 잘 음미하여 보라) 승천하신 후에 주 예수께서는 메시아이신 그에게 주어진 위대한 특권을 행사하셨다. 즉 다른 사람들에게 성령을 보내주셨다(행2:33,계5:6 참조) 그는 그가 받은 축복을 우리들에게 부여함으로써 우리들로 하여금 그의 축복의 동참자가 되게 하셨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성령의 선물 뿐 아니라 성령의 교제에 대하여 읽어 볼 수 있다. 곧 성령의 교제란 하나님의 성령이 우리들에게 주시는 축복과 특권에 참여하는 것을 말한다. 성령의 교제는 신자 상호간의 친교일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와 친교도 의미한다. 신자들은 예수께서 기름부음을 받으신 것과 같은 기름부음을 받을 수 있다. 귀중한 기름을 아론의 머리위에 부어 그 기름이 그의 수염으로 흘러내려 옷 기슭에 까지 흘러내린 것과 성령의 기름부음은 같은 것이다. 제사장의 나라로서의 그리스도의 몸의 모든 지체는 하늘나라로 승천하신 대제사장이시며 교회의 머리이신 그리스도로부터 흘러내리는 성령의 기름부음에 동참하게 되는 것이다.
Ⅵ.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의 재위
1. 재위의 의미
예수그리스도의 재위는 승귀의 셋째 단계이다(첫째 단계는 육체적 부활(resurrection)이요, 둘째 단계는 승천(ascenion)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승귀는 지상의 비하의 단계를 떠나서 바하 이전의 존귀한 상태로의 복귀를 의미한다.
(1) 그리스도의 재위는 시편 110:1(여호와께서 내 주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네 원수로 네 발등상 되게 하기까지 너는 내 우편에 앉으라 하셨도다)의 성취이다.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재위는 “아버지여 창세 전에 내가 아버지와 함께 가졌던 영화로써 지금도 아버지와 함께 나를 영화롭게 하옵소서.”(요 17:5)라고 간구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기도의 응답이었다.
(2) 하나님 우편(right hand of God)이란 구약 시편 110:1에서 인출되었다. 그리스도의 재위 즉 하나님 보좌 우편에 계심은 문자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하나님 우편이란 그리스도의 신분과 관계되는 것으로서 그리스도의 명예와 권위(honor and authority: 왕상 2:19; 시 45:9; 110:1), 능력과 위엄(power and majesty)을 가리킨다고 주석가들은 해석하였다(R. C. H. Lenski, The Acts of the Apostles, p. 304; John F. Wakvood, Roy B. Zuck, The Bible Knowledge Commentary, New Testment, p. 852)
(3)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 우편에 앉아 계신다.”란 말씀이외에도 “우편에 계신다.”(롬 8:34; 벧전 3:22), “서서 계신다.”(standing, 행 7:56), 또는 “일곱 촛대 사이에 왕래하신다.”(계 1:12; 2:1)라고도 말씀하였다.
(4) 바빙크(Herman Barvinck) 박사는 성경이 그리스도의 재위를 명확히 가리킨다는 것을 진술한 후에 매우 조심하여 추가하기를 “하나님의 우편이 하늘에 있는 한 특수한 처소를 지시하시는 것은 윌가 어떤 정도의 확실성을 가지고 말하기는 불가능하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우편의 재위는 하나님으로부터 어느 특정한 방향에 계신다기 보다는 오히려 상징적 표현으로 받아들일 것이다. 즉 예수 그리스도는 우주의 지배자로서의 최고 권능의 위치에 있음을 가리킨다.
(5) 在位는 성경에 자주 등장하는 비유적 표현이다. 즉 인간으로 하여금 이해를 돕기 위해 신인동형동성론적(神人同形同性論的)으로 신적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따라서 이는 문자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만약 성자가 성부의 우편에 앉으심을 말 그대로 이해한다면 하나님의 무한성은 없어지기 때문이다. 즉 이는 하나님을 공간적으로 제한시키는 결과를 낳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성자께서 성부로부터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공적으로 위임받았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John Calvin은 “그는 하늘과 땅의 통치자로 임명도시고 그에게 위임된 통치권을 정식으로 허락 받으시되 그가 심판하러 오시기까지 계속하기로 하신 것”하였다 라고 한다.
2. 성경적 증거
이미 밝힌 바와 같이 하나님 우편에 앉으심은 성경의 기록으로만 확인된다. 즉 이는 예수의 예언으로부터 시작하여(마26:64) 사도 베드로의 증언(행2:35, 36:5,31, 벧전2:22) 그리고 바울과(엡1:20) 사도 요한의 증언 이외에는 별다른 자료가 없다(계22:1).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 승천과 관련하여 선포된 이 말씀은 초대 교회의 말씀 증거의 주요 주제가 되어 왔다.
1) 구약의 예언
다윗은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께 “너는 나의 우편에 앉으라.”하시는 말씀을 들었다. 나의 우편은 하나님의 우편 곧 在位를 가리킨다.
시110:1 「여호와께서 내 주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네 원수로 네 발등상 되게 하기까지 너는 내 우편에 앉으라 하셨도다.」
다윗은 여호와 하나님과 다윗의 주님 즉 성부 하나님과 메시아 사이의 천상대화를 기록하였다. 이 대화에서 여호와 하나님은 다윗의 주님(Lord; 메시아)께 말씀하시기를 “너는 나의 우편에 앉으라.”고 하였다. 우편에 앉음은 그리스도께서 위엄과 권위를 지닌 통치자와 심판자의 자리에 앉으심을 뜻한다.
2) 예수 그리스도의 예언
예수 그리스도께서 대제사장 앞에서 심문(trial)을 당하실
추천자료
프리칭 예수
최고 경영자 예수를 읽고
복음서에 기록된 예수는 누구인가
그리스도교(기독교) 특성, 그리스도교(기독교) 여성관, 그리스도교(기독교) 이론, 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기독교) 역사, 그리스도교(기독교) 역사관, 그리스도교(기독교) 은총, 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기독교)의 경제관,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인간관,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영지주의...
그리스도교(기독교)의 흐름과 상징물,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영성,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제3...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세계관과 역사,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죽음, 그리스도교(기독교)의 포...
오늘 나에게 예수는 누구인가
교육자 예수
rejesus세상을 바꾸는 작은 예수들을 읽고 요약 및 감상 및 서평
공관복음서해석_역사적 예수에 대한 연구물을 정리하시오.
[마가복음과 공관서] 마가복음에서 예수와 갈등 관계의 의미
신약의 예수론 - 요한복음의 로고스 기독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