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목차
1.산성비
2.지구온난화
3.오존층파괴1.2
4.사막화 및 기후변화 1.2
5.지구환경 문제와 국제협력
6.관경영향평가 1,2
7.녹색성장의 미래 1.2
8.환경교육 1.2
2.지구온난화
3.오존층파괴1.2
4.사막화 및 기후변화 1.2
5.지구환경 문제와 국제협력
6.관경영향평가 1,2
7.녹색성장의 미래 1.2
8.환경교육 1.2
본문내용
도지수가 5.6미만인 비
= 일반적으로 빗물은 pH5.6~6.5정도의 약산성이지만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에서는 강 한 산성의 산성비가 내기도함.
황산화물 = 황과 산소와의 화합물을 총칭하는 것으로 이산화황, 황산 그리고 황산구리와 같은 황산염등이속함.
= 주요한 대기오염물질로ㅆ 산성비의 원인인데, 식물의 엽록소를 파괴하여 말라 죽 게 하는 등 피해가 큼
지구온난화 = 지구 표면의 평균온도가 상승하는 현상
= 땅이나 물에 있는 생태계가 변화하거나 해수면이 올라가서 해안선이 달라지는 등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포함.
온실효과 = 대기를 가지고 있는 행성 표면에서 나오는 복사에너지가 대기를 빠져나가기 전에 흡수되어, 그 에너지가 대기에 남아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
교토의정서 = 지구 온난화의 규제 및 방지를 위한 국제 협약인 기후변화협약의 수정안이 의정 서를 인준한 국가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여섯 종류의 온실 가스의 배출량을 감축하며, 배출량을 줄이지 않는 국가에 대해서는 비관세 장벽을 적용하게 됨.
1.산성비의 정의
1)산성비의 정의
=산성비 = ph5.6보다 낮은 빗물.
=산성물질이 빗물에 녹아 지표면으로 침착 -> 습성침착
=직접 지표면으로 강하하여 침착 -> 건성침착
==>산성 침착물, 산성 강하물
<산성비의 생성결로와 과정>
<산성도를 나타내는 ph값>
2.산성비의 생성 및 원인
1)황산
=화석연료 - 불순물(황)이 들어 있음.<등유 0.5%이하 경유 1.6%이하 중유4.9%이하)
-석탄 수 %이하의 황분 함유 무연탄 0.4!4.5%
-황분의 연소 시 --> 이산화황
-삼산화황, 황산이온, 황화수소--> 대기 중에서 이산화황
2)질산
=질소산화물 -> 변개의 방전으로도 생김.
->석유 석탄의 연소시 생김.
3)염산
=석탄 -> 황분의 20%정도 염소 포함.
3.산성비의 영향
1)수중 생태계의 피해
=하천,호수의 물이 --산성 ph가 낮아지면 --> 중금속인 용출이 나옴.
=중금속 용출 -> 수중 생태계 영향 -> 호수 밑바닥의 알루미늄 증가(0.2ppm)-> 물고기 호 흡장애로 죽음
=알루미늄 + 인산염 -> 영양분으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림.
=수생식물 및 저서생물의 조성이 바뀌고 단순해짐.
=호수의 물이 아주 맑아지게 되어 깨끗한 호수와 구별하기 어려움.
2)토양의 피해
=호수, 하천보다 산성화 저항력이 강함. - 토양의 산성화정도->토양의 유형, 모암의 종류, 토양을 다루는 방법등.
=산성에 가장 약한 땅 - 화감암, 편마암 및 석영이 많은 암석을 모암으로 하는 토양.
- 산성을 거의 중화시키지 못해 산성비에 매우 약함.
=토양에 산성비가 스며들 경우 -> 산성화가 촉진
-토양 중 염기가 먼저 유실
-음이온 중에서는 질산잉온, 염소이온이 가장 쉽게 유실.
=ph5이하에서는 토양의 산성화가 가속화되어 알루미늄의 농도증가
=Al3+가 토양수에서 가수분해 됨으로써 생기는 독성
->생태계에 퍼져 들어가 먹이사슬에 의한 중금속 중독 피해를 유발.
3)산림의 피해
=산도가 높은 비가 수목의 상층부에 직적 피해 or 토양에 침투하여 뿌리에 피해를 줌.
->나무가 고사됨.
=산성비가 광합성을 하는 식물의 엽록소를 제거 -> 탄수화물 생산 못함 -> 식물의 생산력 저하
=토양의 pH4.2 이하로 떨어지면 알루미늄은 독성을 띤 al3+로 변함.
=Al3+
-뿌리를 통해 식물의 내부에 흡수되어 피해.
-토양 미생물이 살 수 없는 환경을 만듦
-나무의 잔뿌리를 손상 및 뿌리조직의 중요한 영양소 파괴
=식물의 잎 표면에 산성비에 인해 생긴 검은 반점.
-광합성 작용을 방해 -> 엽록소가 탈색 -> 잎 조직이 파괴 -> 말라 죽음.
4)인체에 미치는 영향
=눈이나 피부를 자극, 불쾌감 통증 유발.
=산성가스, 산성화된 안개 or 안개비에 영향 <--사례는 적음.
=유해중금속이 장기간에 걸쳐 먹이사슬을 통해 농작물 및 물고기에 축적 -> 인체에 간접적 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5)재산에 미치는 영향
=금속이나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동상 기념탑 등의 유적과 각종 구조물을 부식.
=산성비로 인한 인공 석조물의 부식도는 자연 풍화보다 30배 정도 빠르다.
= 금속이 가장 심하게 부식 가죽, 고무, 섬유제품이 쉽게 변색되거나 못쓰게 됨.
4.산성비의 국가별 대응책과 국제분쟁.
1)각국의 대응책
=1984년 3월 캐나다 오타와 [산성비에 관한 환경장관회의] 1993년까지 황산화물 배출량을 1980년 배출량 보다 30%식감을 목표.
=1985년 30% 삭감을 결정한 장거리월경대기오염조약에 기초한 헬싱키협정서 체결.
<영국>
=석탄의존도가 높아 이산화황 배출량을 조기에 대폭 삭감은 곤란하나 점진적으로 추진.
=1087년 발표된 산성우 대책은 10년간 14% 삭감을 목표로 정함.
<독일>
=1974년부터 82년 까지 이산화황 배출량을 17% 삭감토록 함.
=1983년 고정발생원 대책(탈황장치 설치)을 강화하여 향후 10년간 이산화황 배출량을 550% 삭감토록 함.
<프랑스>
= 1986년 종합적 대기오염대책을 발표하여 신설보일러에 탈황장치를 설치토록 하며, 1988~1989년에 4개 석탄화력발전소에 탈황장치를 설치.
<미국>
=1970년 미국과 캐나다간 동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산성비 문제 제기.
=1991년 3월 양국은 이산화황 등 산성비 원인물질의 대폭삭감을 요구하는 air Quality Agreement에 서명
<캐나다>
=1983년 환경성과 온타리오주 등 8개주는 이산화황 배출량 50%삭감을 표명, 미국에도 대촉 삭감을 요구,
=1994년에는 1980년의 배출량보다 40% 삭감하고, 습성황산염강하량 목표치를 2kg/ha년으로 정함,
<중국>
=최근까지 중국 외부로 이동되는 오염물질은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였으나, 1994년 이동하는 것을 인정.
=중국내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조사 및 산성비와 장거리이동에 관한 연구 진행.
<일본>
=엄격한 대기오염방지대책으로 최근 이산화황 농도가 많이 감소되었으나 질소산화물농도는 상 승하여 탈진장치를 설치,.
=환경청은 1988년부터 5년간 제2차 산성우 대책으로서 만성적피해의 실태해명과 오염물질의 중거리 장거리수송모델에 대한 조사를 수행.
<한국>
=전
= 일반적으로 빗물은 pH5.6~6.5정도의 약산성이지만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에서는 강 한 산성의 산성비가 내기도함.
황산화물 = 황과 산소와의 화합물을 총칭하는 것으로 이산화황, 황산 그리고 황산구리와 같은 황산염등이속함.
= 주요한 대기오염물질로ㅆ 산성비의 원인인데, 식물의 엽록소를 파괴하여 말라 죽 게 하는 등 피해가 큼
지구온난화 = 지구 표면의 평균온도가 상승하는 현상
= 땅이나 물에 있는 생태계가 변화하거나 해수면이 올라가서 해안선이 달라지는 등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포함.
온실효과 = 대기를 가지고 있는 행성 표면에서 나오는 복사에너지가 대기를 빠져나가기 전에 흡수되어, 그 에너지가 대기에 남아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
교토의정서 = 지구 온난화의 규제 및 방지를 위한 국제 협약인 기후변화협약의 수정안이 의정 서를 인준한 국가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여섯 종류의 온실 가스의 배출량을 감축하며, 배출량을 줄이지 않는 국가에 대해서는 비관세 장벽을 적용하게 됨.
1.산성비의 정의
1)산성비의 정의
=산성비 = ph5.6보다 낮은 빗물.
=산성물질이 빗물에 녹아 지표면으로 침착 -> 습성침착
=직접 지표면으로 강하하여 침착 -> 건성침착
==>산성 침착물, 산성 강하물
<산성비의 생성결로와 과정>
<산성도를 나타내는 ph값>
2.산성비의 생성 및 원인
1)황산
=화석연료 - 불순물(황)이 들어 있음.<등유 0.5%이하 경유 1.6%이하 중유4.9%이하)
-석탄 수 %이하의 황분 함유 무연탄 0.4!4.5%
-황분의 연소 시 --> 이산화황
-삼산화황, 황산이온, 황화수소--> 대기 중에서 이산화황
2)질산
=질소산화물 -> 변개의 방전으로도 생김.
->석유 석탄의 연소시 생김.
3)염산
=석탄 -> 황분의 20%정도 염소 포함.
3.산성비의 영향
1)수중 생태계의 피해
=하천,호수의 물이 --산성 ph가 낮아지면 --> 중금속인 용출이 나옴.
=중금속 용출 -> 수중 생태계 영향 -> 호수 밑바닥의 알루미늄 증가(0.2ppm)-> 물고기 호 흡장애로 죽음
=알루미늄 + 인산염 -> 영양분으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림.
=수생식물 및 저서생물의 조성이 바뀌고 단순해짐.
=호수의 물이 아주 맑아지게 되어 깨끗한 호수와 구별하기 어려움.
2)토양의 피해
=호수, 하천보다 산성화 저항력이 강함. - 토양의 산성화정도->토양의 유형, 모암의 종류, 토양을 다루는 방법등.
=산성에 가장 약한 땅 - 화감암, 편마암 및 석영이 많은 암석을 모암으로 하는 토양.
- 산성을 거의 중화시키지 못해 산성비에 매우 약함.
=토양에 산성비가 스며들 경우 -> 산성화가 촉진
-토양 중 염기가 먼저 유실
-음이온 중에서는 질산잉온, 염소이온이 가장 쉽게 유실.
=ph5이하에서는 토양의 산성화가 가속화되어 알루미늄의 농도증가
=Al3+가 토양수에서 가수분해 됨으로써 생기는 독성
->생태계에 퍼져 들어가 먹이사슬에 의한 중금속 중독 피해를 유발.
3)산림의 피해
=산도가 높은 비가 수목의 상층부에 직적 피해 or 토양에 침투하여 뿌리에 피해를 줌.
->나무가 고사됨.
=산성비가 광합성을 하는 식물의 엽록소를 제거 -> 탄수화물 생산 못함 -> 식물의 생산력 저하
=토양의 pH4.2 이하로 떨어지면 알루미늄은 독성을 띤 al3+로 변함.
=Al3+
-뿌리를 통해 식물의 내부에 흡수되어 피해.
-토양 미생물이 살 수 없는 환경을 만듦
-나무의 잔뿌리를 손상 및 뿌리조직의 중요한 영양소 파괴
=식물의 잎 표면에 산성비에 인해 생긴 검은 반점.
-광합성 작용을 방해 -> 엽록소가 탈색 -> 잎 조직이 파괴 -> 말라 죽음.
4)인체에 미치는 영향
=눈이나 피부를 자극, 불쾌감 통증 유발.
=산성가스, 산성화된 안개 or 안개비에 영향 <--사례는 적음.
=유해중금속이 장기간에 걸쳐 먹이사슬을 통해 농작물 및 물고기에 축적 -> 인체에 간접적 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5)재산에 미치는 영향
=금속이나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동상 기념탑 등의 유적과 각종 구조물을 부식.
=산성비로 인한 인공 석조물의 부식도는 자연 풍화보다 30배 정도 빠르다.
= 금속이 가장 심하게 부식 가죽, 고무, 섬유제품이 쉽게 변색되거나 못쓰게 됨.
4.산성비의 국가별 대응책과 국제분쟁.
1)각국의 대응책
=1984년 3월 캐나다 오타와 [산성비에 관한 환경장관회의] 1993년까지 황산화물 배출량을 1980년 배출량 보다 30%식감을 목표.
=1985년 30% 삭감을 결정한 장거리월경대기오염조약에 기초한 헬싱키협정서 체결.
<영국>
=석탄의존도가 높아 이산화황 배출량을 조기에 대폭 삭감은 곤란하나 점진적으로 추진.
=1087년 발표된 산성우 대책은 10년간 14% 삭감을 목표로 정함.
<독일>
=1974년부터 82년 까지 이산화황 배출량을 17% 삭감토록 함.
=1983년 고정발생원 대책(탈황장치 설치)을 강화하여 향후 10년간 이산화황 배출량을 550% 삭감토록 함.
<프랑스>
= 1986년 종합적 대기오염대책을 발표하여 신설보일러에 탈황장치를 설치토록 하며, 1988~1989년에 4개 석탄화력발전소에 탈황장치를 설치.
<미국>
=1970년 미국과 캐나다간 동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산성비 문제 제기.
=1991년 3월 양국은 이산화황 등 산성비 원인물질의 대폭삭감을 요구하는 air Quality Agreement에 서명
<캐나다>
=1983년 환경성과 온타리오주 등 8개주는 이산화황 배출량 50%삭감을 표명, 미국에도 대촉 삭감을 요구,
=1994년에는 1980년의 배출량보다 40% 삭감하고, 습성황산염강하량 목표치를 2kg/ha년으로 정함,
<중국>
=최근까지 중국 외부로 이동되는 오염물질은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였으나, 1994년 이동하는 것을 인정.
=중국내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조사 및 산성비와 장거리이동에 관한 연구 진행.
<일본>
=엄격한 대기오염방지대책으로 최근 이산화황 농도가 많이 감소되었으나 질소산화물농도는 상 승하여 탈진장치를 설치,.
=환경청은 1988년부터 5년간 제2차 산성우 대책으로서 만성적피해의 실태해명과 오염물질의 중거리 장거리수송모델에 대한 조사를 수행.
<한국>
=전
추천자료
과학기술과 환경문제 사이의 관계
환경오염과 과학기술
내가 만약 환경 과학자라면
고1 환경과 과학의 갯벌 파트 PPT자료
[학습지도안] 고1 환경과 과학의 갯벌 파트
구성주의 유아 과학교육 교육환경 교사의 역할
자연환경 관찰을 통한 유아 감각기관 발달에 관한 연구(과학)
6)과학-생태계와 환경-환경 오염이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 알기(세안)
6)과학-4.생태계와 환경-생태계 평형이 유지되는 조건과, 생태계에 사는 다양한 생물의 소중...
6)과학-생태계와 환경-생물이 환경에 적응하는 방법 살펴보기(중안)
6)과학-생태계와 환경-환경 오염이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기(중안)
한국사회문제4C) 과학·기술·의료·환경과 같은 문제에서 전문가의 말을 맹신하지 않고 사회적 ...
과학·기술·의료·환경과 같은 문제에서 전문가의 말을 맹신하지 않고 사회적 맥락을 잘 따져서...
사회과학방법론 연구보고서 [경찰대학 교육 환경과 연구 역량에 대한 평가정도가 대학원 설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