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유아 과학교육 교육환경 교사의 역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성주의 유아 과학교육 교육환경 교사의 역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구성주의의 이론적 기초

학자들의 구성주의

구성주의 유아 과학육과정 모델

구성주의에 입각한 교육환경의 창안

구성주의에서의 교사의 역할

수업의 절차

본문내용

회적 문제 해결 능
력을 배양한다.
- 유아에게 제공되는 경험의 일부분은 회피하기 어렵거나 예측 불가능한 사 회적 문제들을 다룰 수 있는 기제를 제공하도록, 그리고 후원 적이고 협조 적인 분위기 속에서 그러한 기제를 사용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도록 구 성되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정당하고 합리적인 환경-교실에서 필요한 규칙이 유아들에게 확실히 설명되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유아들은 교실 안에서 뛰어다니고 싶어 한다고 예상하는 것은 현실적인 기대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미끄러지거나 넘어져서 무 엇과 충돌하거나 사람과 부딪히기 쉬운 실내에서조차도 유아들이 뛰게 방 치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 그러므로 \" 실내에서는 걷는 것만 허용 된다\" 는 규칙은 이치에 맞는다.
* 구성주의 교사의 역할
교사는 활동 소개자이다. 교사는 집단의 유아에게 활동을 소개하고, 개개 인의 유아에게 선택권을 주며,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유아에게 아이디어 를 제시하여야 한다.
교사는 관찰자이다. 교사가 우수하고 도움이 되는 선택권을 유아에게 제 공하고, 유아와 적합하게 상호작용 한다.
교사는 질의자이며 문제 제기자이다. 교사는 유아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이론 정립을 고무할 수 있는 질문을 던지고 문제를 제기하여야 한다.
교사는 환경구성자이다. 학습 환경은 반드시 주의 깊게 그리고 명확하게 구성됨으로써 유아들이 어떻게 해야 할지를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교사는 공보 관리자이다. 교육적 노력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많은 사 람들의 이해와 지원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교사는 학습의 기록자이다. 유아들이 무엇을 하는지 또 무엇을 배웠는지 를 의미 있게 기록하는 것은 학급에서 매우 중요한 측면이다.
교사는 교실 문화의 조성자이다. 교사가 던지는 질문 유형에서부터 교실 을 어떻게 배치하고 구성하는지, 그리고 교사가 사용하는 어조까지도 교 사가 맡고 있는 교실의 문화와 가치관에 기여한다.
교사는 이론정립자이다. 유아들에게 반응적이 되기 위해서 교사는 반드시 자신의 이해와 흥미를 배양하고 열정을 유지해야 한다.
* 수업의 절차
드라이버의 구성주의적 수업단계
도 입
수업 이전 개념 끌어내기
개념의 재구조화
사전 개념과 (1)개념의 명료화 및 교환
비교 (2)갈등 상황의 노출
(3)새로운 개념의 구성
(4)평가
새로운 개념의 응용
개념의 변화 검토
ex)수업 지도안
(1) 교과 : 과학
(2) 차시 내용 : 압력의 차이에 의하여 유체가 이동한다.
단 계
핵심 활동
교수 - 학습 활동
비 고
도입
생활과 관련된
경험
· 빨대로 음료수를 마시는 장면을 보여준다.
· 선풍기에서 바람이 나오는 장면을 보여준다.
수업이전
개념
끌어내기
생각의 표현
· 학생들에게 빨대로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하게 한다.
- 우리가 입으로 물을 빨아들이기 때문이다 등
개념의
재구조화
개념의 명료화

교환
· 빨대로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이유를 조별로 발표하게 한다.
· 조별 발표 결과를 서로 비교하게 한다.
· 조별 발표 결과의 좋은 점과 나쁜 점을 비교하게 한다.
갈등 상황의 노출
· 오개념 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상황을 제시한다. (ex: 병 안에 물을 넣고 고무마개에 구멍을 뚫어 빨대를 끼운 후, 고무마개를 병에 끼워 빨대를 빨도록 한다. 실험 후 학생들은 빠는 것만으로는 물이 올라오지 않음을 깨달을 것이다.)
새로운 개념의
구성
· 실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어떻게 하면 좋을지 학생에게 질문한다.
-입안의 변화에서 기압이 낮아짐을 인식한다.
- 음료수가 빨려오는 것은 대기압보다 입안의 기압이 낮기 때문이다.
평가
· 스프레이를 보여주고 스프레이에서 물이 뿜어지는 과정을 새로운 개념으로 설명하게 한다.
새로운 개념의 응용
도입된 개념의 응용
· 진공 청소기의 내부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고 작동 원리를 설명하게 한다.
- 청소기 내부의 압력이 낮아 외부 공기를 빨아들일 수 있다.
개념의 변화 검토
처음 생각과 도입된 개념의 비교
· 빨대로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이유를 다시 설명하게 한다.
- 입안의 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 처음 생각과 변화가 없는 경우 적절한 피드백을 시행 한다.
참고문헌
- 구성주의 교수 · 학습론 ; 재클린 브룩스 ; 도서출판 백의 ; 1992
- 유아과학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 Christine Chaille ; 교육과학사 ; 2000
- 구성주의적 수업이 초등학생의 탐구 능력 및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 ; 김진규 · 임청환 ; 1998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8.25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82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