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현장교육연구의 의의
Ⅲ. 현장교육연구의 특징
Ⅳ. 현장교육연구의 필요성
Ⅴ. 현장교육연구의 특수성
Ⅵ. 현장교육연구의 단계
1. 논리적 단계
2. 방법론적 단계
3. 결론 도출단계
Ⅶ. 현장교육연구의 추진과정
1. 문제 발견
2. 문헌 고찰
3. 연구 문제 및 가설 설정
4. 연구 설계
5. 도구 선택 및 제작
6. 표집
7. 자료 수집
8. 자료 분석
9. 결과 평가
10. 결과 보고
Ⅷ. 현장교육연구의 방법
Ⅸ. 현장교육연구를 위한 제안
Ⅹ. 결론
참고문헌
Ⅱ. 현장교육연구의 의의
Ⅲ. 현장교육연구의 특징
Ⅳ. 현장교육연구의 필요성
Ⅴ. 현장교육연구의 특수성
Ⅵ. 현장교육연구의 단계
1. 논리적 단계
2. 방법론적 단계
3. 결론 도출단계
Ⅶ. 현장교육연구의 추진과정
1. 문제 발견
2. 문헌 고찰
3. 연구 문제 및 가설 설정
4. 연구 설계
5. 도구 선택 및 제작
6. 표집
7. 자료 수집
8. 자료 분석
9. 결과 평가
10. 결과 보고
Ⅷ. 현장교육연구의 방법
Ⅸ. 현장교육연구를 위한 제안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의미이다. 연구자는 각자 나름대로의 입장이 있겠지만,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그것을 합리화하기 위해 편협한 연구 자세를 취해서는 안 된다.
객관성 : 연구에서의 객관성이란 어떤 특정인의 연구에 대해 제삼자가 비슷한 대상과 방법, 절차에 의해 이를 반복할 때 비슷한 결과가 나타남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연구에서 발견된 지식이나 원리가 일반화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가 기존 연구에 비추어 객관성이 있는지, 그렇지 않다면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김태혁은 현장연구에 임하는 자세로 뚜렷한 목적 의식, 문제 의식, 소박한 생각, 논리적 일관성, 정직한 보고, 연구의 윤리성, 지도조언 받기 등을 강조하고 있다.
현장교육연구에 관한 공통된 견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의 주체 : 현장 교원
연구의 문제 : 현장의 교육 실천 과정에서 요구되는 실제적인 것
연구의 목적 : 현장교육 실천 개선 및 연구자의 자질 함양
연구의 초점 : 이론의 개발보다 구체적인 현장 적용
연구의 결과 : 실제 현장에서 일반화할 수 있는 결과
연구의 추진 : 현장의 주어진 사태를 수용하면서 진행
연구계획 : 추진 도중에 현장의 필요에 따라 일부 변경 가능
연구의 대상 : 표집단보다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음
연구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연구 전문가의 자문을 필요로 함
연구의 범위 : 제한된 범위 내에서의 적용
Ⅸ. 현장교육연구를 위한 제안
가. 제일먼저 내가 밤을 새워서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가를 정한다.
나. 정한 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무엇을 하려고 하는지 세목화하여 실행 내용을 정한다.
다. 세목화 된 실행내용을 어떤 방향으로 추진하고 싶은지를 적어본다.
라. 세목화 된 내용이 충실히 이루어졌을 때 어떤 효과가 있을지를 예측해 본다.
마. 1-4의 내용을 보고 2의 내용을 어떤 순서로 추진하고 싶은지 로드맵을 작성한다(기본 구조도, 개요도, 체계표 등).
바.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추진 일정표를 작성하고 시기별, 기간별 추진할 내용을 정한다.
사. 연구를 추진해 가면서 수정 보완 한다.
아. 연구를 하면서 이론 정립을 함께 한다.
자. 연구를 하면서 자신이 하는 연구를 종합한 카피를 생각한다.(경우에 따라서 수십~ 수 백 개가 될 수 있음)
차. 연구보고서의 차례를 대강 정하고 자신이 하는 일들의 결과를 차례에 맞게 차근차근 정리를 해 간다.
Ⅹ. 결론
우리의 교육을 바르게 세울 수 있는 방법과 대안은 무엇일까? 이 질문은 이제껏 자주 들어왔으며, 지금도 국가, 사회, 국민 모두의 과제이기도 하고, 이에 대한 지적과 대안도 여러 가지 제시되었으나 가시적인 효과를 체감할 수 없으며, 묘안의 창출, 공감대 형성, 실현 등에 대한 바람 또한 큰 것이 현실이고 보면, 과연 교육이 어렵기는 어렵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다.
교육을 바르게 세울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가장 기저가 되는 것은 아마도 교원이 즐겁고 아이들을 즐겁게 할 수 있는 교육적 기법이나 방법이 아닐까 싶다.
그 즐거움을 찾는 방법 중의 하나가 교원의 전문성 신장이고,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연찬의 일환으로 가장 기본적이고 적절한 것이 현장교육연구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현장교육연구는 살아 움직이는 통합적인 자기 연수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현장교육연구는 교사가 가장 필요로 하는 과학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을 통한 기초과학교육의 질적 수준을 한 단계 높인다는 근본 목적과 취지가 저변에 자리 매김하고 있으므로 자기 연수로서의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왕도는 없으나 정도는 반드시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현장에서는 학교, 교원, 전문가, 연구소간의 밀접한 상호 정보 교환, 상호 공동체적 연구 풍토 조성 및 정착을 통해 고도의 전문가적인 교수력을 길러야 할 것이다.
한편, 학생들로 하여금 그들이 자율적으로 즐겁고 신나게 학습에 임하고, 자기 자신이 주도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학습하는 힘을 길러 주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종서 - 현장연구법의 이론과 실제, 서울 : 배영사, 1968
인천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 현장교육연구의 방법, 인천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1996
이용숙·김영천 편 -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 방법과 적용, 교육과학사, 1998
조용기 - 현장연구의 필요성, 초등교육연구논총 7집,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5
조주행 - 현장교육연구 워크샵, 서울 : 교육과학사, 1999
허경철 - 현장교육연구, 서울 : 배영사, 1989
객관성 : 연구에서의 객관성이란 어떤 특정인의 연구에 대해 제삼자가 비슷한 대상과 방법, 절차에 의해 이를 반복할 때 비슷한 결과가 나타남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연구에서 발견된 지식이나 원리가 일반화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가 기존 연구에 비추어 객관성이 있는지, 그렇지 않다면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김태혁은 현장연구에 임하는 자세로 뚜렷한 목적 의식, 문제 의식, 소박한 생각, 논리적 일관성, 정직한 보고, 연구의 윤리성, 지도조언 받기 등을 강조하고 있다.
현장교육연구에 관한 공통된 견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의 주체 : 현장 교원
연구의 문제 : 현장의 교육 실천 과정에서 요구되는 실제적인 것
연구의 목적 : 현장교육 실천 개선 및 연구자의 자질 함양
연구의 초점 : 이론의 개발보다 구체적인 현장 적용
연구의 결과 : 실제 현장에서 일반화할 수 있는 결과
연구의 추진 : 현장의 주어진 사태를 수용하면서 진행
연구계획 : 추진 도중에 현장의 필요에 따라 일부 변경 가능
연구의 대상 : 표집단보다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음
연구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연구 전문가의 자문을 필요로 함
연구의 범위 : 제한된 범위 내에서의 적용
Ⅸ. 현장교육연구를 위한 제안
가. 제일먼저 내가 밤을 새워서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가를 정한다.
나. 정한 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무엇을 하려고 하는지 세목화하여 실행 내용을 정한다.
다. 세목화 된 실행내용을 어떤 방향으로 추진하고 싶은지를 적어본다.
라. 세목화 된 내용이 충실히 이루어졌을 때 어떤 효과가 있을지를 예측해 본다.
마. 1-4의 내용을 보고 2의 내용을 어떤 순서로 추진하고 싶은지 로드맵을 작성한다(기본 구조도, 개요도, 체계표 등).
바.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추진 일정표를 작성하고 시기별, 기간별 추진할 내용을 정한다.
사. 연구를 추진해 가면서 수정 보완 한다.
아. 연구를 하면서 이론 정립을 함께 한다.
자. 연구를 하면서 자신이 하는 연구를 종합한 카피를 생각한다.(경우에 따라서 수십~ 수 백 개가 될 수 있음)
차. 연구보고서의 차례를 대강 정하고 자신이 하는 일들의 결과를 차례에 맞게 차근차근 정리를 해 간다.
Ⅹ. 결론
우리의 교육을 바르게 세울 수 있는 방법과 대안은 무엇일까? 이 질문은 이제껏 자주 들어왔으며, 지금도 국가, 사회, 국민 모두의 과제이기도 하고, 이에 대한 지적과 대안도 여러 가지 제시되었으나 가시적인 효과를 체감할 수 없으며, 묘안의 창출, 공감대 형성, 실현 등에 대한 바람 또한 큰 것이 현실이고 보면, 과연 교육이 어렵기는 어렵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다.
교육을 바르게 세울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가장 기저가 되는 것은 아마도 교원이 즐겁고 아이들을 즐겁게 할 수 있는 교육적 기법이나 방법이 아닐까 싶다.
그 즐거움을 찾는 방법 중의 하나가 교원의 전문성 신장이고,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연찬의 일환으로 가장 기본적이고 적절한 것이 현장교육연구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현장교육연구는 살아 움직이는 통합적인 자기 연수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현장교육연구는 교사가 가장 필요로 하는 과학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을 통한 기초과학교육의 질적 수준을 한 단계 높인다는 근본 목적과 취지가 저변에 자리 매김하고 있으므로 자기 연수로서의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왕도는 없으나 정도는 반드시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현장에서는 학교, 교원, 전문가, 연구소간의 밀접한 상호 정보 교환, 상호 공동체적 연구 풍토 조성 및 정착을 통해 고도의 전문가적인 교수력을 길러야 할 것이다.
한편, 학생들로 하여금 그들이 자율적으로 즐겁고 신나게 학습에 임하고, 자기 자신이 주도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학습하는 힘을 길러 주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종서 - 현장연구법의 이론과 실제, 서울 : 배영사, 1968
인천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 현장교육연구의 방법, 인천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1996
이용숙·김영천 편 -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 방법과 적용, 교육과학사, 1998
조용기 - 현장연구의 필요성, 초등교육연구논총 7집,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5
조주행 - 현장교육연구 워크샵, 서울 : 교육과학사, 1999
허경철 - 현장교육연구, 서울 : 배영사, 1989
추천자료
- 개별화교육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은 영유아들에게 어떻게 개별화...
- 아동건강교육4B) 2011년 이후 영유아건강관련 기사 2개와 논문 1개를 찾아 요약하고 유아교육...
- 아동건강교육4B) 2011년 이후 영유아건강관련 기사 2개, 논문 1개요약, 유아교육현장에서의 ...
- 아동건강교육4B) 2011년 이후 영유아건강관련 기사, 논문 1개 요약, 유아교육현장에서의 건강...
- 아동건강교육4C) 영유아 건강교육관련 법령을 찾아 정리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추가되어야 할...
- 유아교육현장에서는 다양한 문학작품을 이용한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유아에게 적...
- 문화와 교육 - 유아교육현장에서 어떻게 교육이 진행되는지
- 한국방송통신대. 문화와 교육. 3학년. 2학기.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
- 문화와교육3공통)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여기에 어떤 문화가 개...
- 유아교육개론(성숙주의 구성주의) (유아교육개론) - 성숙주의 교수학습이론, 구성주의 교수학...
- [아동건강교육B형]2013년 이후 영유아건강관련 기사 2개와 논문 1개를 찾아 요약 / 유아교육...
- 예술융합교육에 대한 자신만의 생각을 쓰시오. 장단점 또는 현실적으로 교육현장에서의 적용 ...
- 아동건강교육-2013이후 영유아 건강관련 기사 2개와 논문1개를 찾아 요약하고 유아교육현장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