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원 외국인 노동자쉼터의 소개
2. 우리나라 외국인 노동자
3. 수원외노가 만들어진 이유
4. 수원외노의 활동사례
5. NGO로서의 한계
6. 결론
2. 우리나라 외국인 노동자
3. 수원외노가 만들어진 이유
4. 수원외노의 활동사례
5. NGO로서의 한계
6. 결론
본문내용
3. 수원외노가 만들어진 이유
2) 지역 NGO의 필요성
지역사회와 외국인노동자 사이의 공존과 소통
정부나 NGO가 일일이 해결할 수 없고, 그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부분
지리적으로 가까워야 실질적으로 도움이 됨
상담, 지원, 언어교육, 문화체험, 음식, 외국인
노동자끼리 혹은 지역인과의 교류 등
개인적이고, 복지적, 실리적이 필요
믿고 의지할 곳이 부족한 외국인노동자
좀 더 가까운 곳에서 외국인노동자와 만나고 함께 할 수 있는 지역NGO
4. 수원외노의 활동 -언어
1) 이주노동자 한국어 교육
- 언어로 인한 피해사례
네팔인 여성 찬드라는 92년 초 한국에 와서 일하던 중 92년 ○월 ○일 강제로 정신병원에 입원된 후 2000년 4월 18일에야 정신질환자가 아니었음이 밝혀져 세상으로 나오게 되었다. 92년 당시, 음식점에서 음식을 시켜먹고 돈을 지불하려다가 지갑을 분실한 것을 알고 주인에게 자초지종을 설명하려고 노력했으나 그의 말을 못 알아들은 주인이 무전취식이라며 경찰서에 신고했다. 신고를 받은 경찰은 그가 행색이 초라하고 한국어를 못하는 것을 보고 정신질환자라고 잘못 판단하여 정신병원에 입원시켜 7년간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켰다. 그 후 정신병원에서 본인이 한국인이 아니고 네팔인 이며 정신질환자가 아니라고 줄곧 주장했으나 그의 말을 아무도 귀담아 듣지 않았다.
2) 지역 NGO의 필요성
지역사회와 외국인노동자 사이의 공존과 소통
정부나 NGO가 일일이 해결할 수 없고, 그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부분
지리적으로 가까워야 실질적으로 도움이 됨
상담, 지원, 언어교육, 문화체험, 음식, 외국인
노동자끼리 혹은 지역인과의 교류 등
개인적이고, 복지적, 실리적이 필요
믿고 의지할 곳이 부족한 외국인노동자
좀 더 가까운 곳에서 외국인노동자와 만나고 함께 할 수 있는 지역NGO
4. 수원외노의 활동 -언어
1) 이주노동자 한국어 교육
- 언어로 인한 피해사례
네팔인 여성 찬드라는 92년 초 한국에 와서 일하던 중 92년 ○월 ○일 강제로 정신병원에 입원된 후 2000년 4월 18일에야 정신질환자가 아니었음이 밝혀져 세상으로 나오게 되었다. 92년 당시, 음식점에서 음식을 시켜먹고 돈을 지불하려다가 지갑을 분실한 것을 알고 주인에게 자초지종을 설명하려고 노력했으나 그의 말을 못 알아들은 주인이 무전취식이라며 경찰서에 신고했다. 신고를 받은 경찰은 그가 행색이 초라하고 한국어를 못하는 것을 보고 정신질환자라고 잘못 판단하여 정신병원에 입원시켜 7년간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켰다. 그 후 정신병원에서 본인이 한국인이 아니고 네팔인 이며 정신질환자가 아니라고 줄곧 주장했으나 그의 말을 아무도 귀담아 듣지 않았다.
키워드
추천자료
외국인인 노동자 정책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 고용주의 민주적 노사관계 개선방안에 대하여
여성 이주노동자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외국인노동자 문제와 사회복지적 대안
[외국인 노동자][이주 노동자]외국인 노동자(이주 노동자) 피해 사례와 인권침해 실태 및 향...
외국인 노동자들의 피해문제, 그것이 알고싶다
이주노동자(외국인근로자)의 건강과 인권, 이주노동자(외국인근로자)에 대한 국내 법제도의 ...
외국인 노동자
외국인근로자(외국인노동자) 정책배경, 정책변천과 외국인근로자(외국인노동자)의 현황, 정책...
한국에서의 외국인노동자 고용허가제에 대한 고찰(완벽내용)
[사회복지] 외국인 노동자 실태, 문제점, 해결방안
외국인 산업연수생의 개념과 현황, 외국인 산업연수제도(산업연수생제도)의 정의와 실제, 외...
[성,사랑,사회 4공통] 참고도서가 다루고 있는 사람들의 삶과 나의 삶을 함께 참고하면서, 우...
다문화가정에 대한 한국법의 현황 및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