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목차
1주 ~ 14주
각주마다 1차 ~ 3차
각주마다 1차 ~ 3차
본문내용
차도 쪽으로 간다
.자동차 기차 버스 등을 탈 때는 일반적으로 여성이 먼저 타고 (승용차 제외)
내릴 때는 남성이 먼저 내려 필요하면 여성의 손을 잡아준다 이는 옛날 마차시대부터 내려 오는 서양의 에티켓이다.
.계단을 오를 때는 남자가 앞서고 내려올 때는 여성이 앞서도록 한다
.여성이 자동차를 탈 때는 자동차의 상석인 조수석 뒷자리에 앉도록 배려한다.
.겨울철에 여성이 외투를 입고 벗을 때 꼭 도와준다.
.식당이나 극장에서 외투를 벗어 맡길 때나 찾을 때도 남성이 맡기고 찾는다.
*“레이디 퍼스트 대접을 받으면?
미소를 짓고 땡큐 하면서 가볍에 묵례를 하고 부담없이 호의를 받는 것이 옳고 자연스럽다
“여성존중의 실천적 사례”.
.유교에 바탕을둔 가족 가치 중시
.여성 인력 활용의 필요성 인식
.여성 친화적 기업 환경 조성(기업내 성희롱의 엄격한 처 벌 / 유축실과 모성 보호실,여성 상담소, 보육시설 운영)
“전 HP 회장 칼리피오리나의 사례
.가장 영향력 있는 미국 여성 기업인 50인에서 6년 연속 1위 차지
.사람의 가치는 직위나 직책이 아니라 됨됨이와 본인이 어떻게 쓰느냐 에 따라 결정된다.
.사랑받는 것보다 존중받는게 더 중요하다.
.자신의 영혼을 지켜야 한다.
적극적 의미의 여성 존중은 여성 자신의 의지와 노력이 필요
3주 1차
우리의 전통예절
*세계화와 우리것
우리것은 소중한 것이여
박동진-우리것은 좋은 것이여
*우리 것을 이야기 하면
60년대에는
고루하다
진취성이 없다
골동품으로 틀어박혀 있어야할
바깥세상을 모르는 무식한 사람
지금은
해외에서의 한국산 브랜드의 기술력 인정
한류열풍
*코스모폴리탄과 국제화
국가를 초월한 시야가 넓은 사고와 외국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지닌 앞서가는 사람으로 인식
60년대- 코스모폴리탄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국제적인 것이다 -국제화
무한경쟁시대-세계화
*선진국의 경우
선진국은 자기문화를 보존하고 남의 무형 유형의 문화도 수용
군사 경제 저보 산업 과학기술 지적소유권 등도 선정
무한경쟁은 허약한 어린아이와 건강하고 힘센 어른이 싸우는 것과 마찬가지다
*세계화 시대에 우리의 할 일
줏대를 세우고 중심을 잡아 나가는 일
우리 것 + 남의 것
우리 것을 알아 그것이 기본이 되고 남의 것을
잘 이해 소화하여 우리 것과 남의 것이 하나가 되어야 함
*우리나라는 예절의 나라
동방예의지국: 공자의 7대손 공빈이 동이열전에서 언급
우리의 예절은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
중국 송나라 학자 주자 가례를 받아들였지만 우리 문화와 다른 것은 수용하지 않음
*주자가례와 우리 가례의 차이
혼례의 경우
주자가례 : 남자 집에서 여자를 데려와 예식을 올리고 부부가 된다
우리 가례: 여자 집에서 예식을 올리고 부부가 되며 남자가 장가간다 한다
* 우리 예절의 역사적 변천
우리 문화유산의 소실( 서기 668년 고구려 멸망시 당나라 장군 이세훈에 의해 소각)
중국문화의 유입
오교: 부의父義, 모의母儀, 자의子義, 형의兄義, 제의弟義
오륜: 군신유의(君臣有義)
부자유친(父子有親)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
586년 신라 진평왕 8년 예절을 관장하는 예부를 둠
혼인윤리: 1147년 5촌까지의 근친혼 금함
1308년 성이 다르더라도 4촌 이내면 혼인 금지
조선조에 들어와 동성동본 혼인 금지
1475년 조선성종 6년 나라의 예절을 정하는 국조 오례의를 펴냄
*예학의 종장 사계 김장생 선생
상례비요, 가례즙람
기본예절의 응용방법을 다룬 사례편람
우리 현실과 풍속에 맞도록 우리 예절을 고유문화로 규정
*갑오경장 전후
가정의례의 절차만 간추린 사례편람 간행
1894년 갑오경장: 신분제도 철폐
의상의 변화:도포
* 1910년 이후
1910년 국권상실과 일본의 생활문화 침투
1945년 해방이후 서구 문화 범람으로 미풍양속의 예절 흔들림
1950년 한국전쟁
*예절이란?
관행성, 사회계약적, 생활 규범
의사소통의 수단
공자:예와 인은 모두 사람 사이에서 일어나는 하나의 감정표현
예의 기본은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행동
3주2차
*절 예절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인사법으로 상대방에 대한 공경을 나타내 보이는 기본적인 동작
큰 절과 평절 반절이 있으며 남자와 여자가 절을 하는 방법이 다름
몸을 상대적으로 낮추는 수직형 인사
절이라는 말 자체가 몸을 낮추기 위해 발을 절다에서 비롯됨
*공수
우리나라 사람의 공손한 자세에서의 손의 모습
두손을 앞으로 모아 맞잡는 것
의식행사에 참석하거나 전통배례를 할 때 또는 어른 앞에서 공손한 자세를 취할 때 공수한다
남자와 여자가 다르고 평상시와 흉사시가 다름
*공수의 기본동작
두손의 손가락을 가지런히 붙여서 편 다음. 앞으로 모아 위로 가는 손바닥으로 아래 손의 등을 덮어서 포개 잡으며 두 엄지 손가락은 깍지 끼듯이 교차 시킨다.
소매가 좁은 평상복을 입었을 때는 공수한 손의 엄지가 배꼽부위에 닿도록 자연스럽기 앞으로 내린다.
공수하고 않을 때의 공수한 손의 위치는 남자는 두 다리의 중앙에 얹고 여자는 오른 쪽 다리의에 세운 무릎위에 얹는다
*평상시 및 흉사시 공수법
남자
여자
평상시 공수
왼손이 위로 가게
오른손이 위로 가게
흉사시 공수
오른손이 위로 가게
왼손이 위로 가게
*남좌여우
평상시 공수 (남자:왼손, 여자:오른손)
남녀가 나란히 서서 절할 때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 쪽에 섬
음양오행에 따라 남자는 하늘, 여자는 땅
*예절 방향
자연방향: 동서남북
예절방향: 상석을 북쪽으로 간주(임금님, 결혼 주례 등)
상석의 좌가 동, 우가 서
상석의 앞이 남, 뒤가 북
따라서 예절의 좌우란 상석 어른의 좌우 이다
*남자의 전통 배례
기본동작
공수한 자세로 선다
허리를 굽혀 공수한 손으로 바닥을 짚는다 (손을 벌리지 않는다)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오른쪽 무릎을 왼쪽과 가지런히 꿇는다
왼발이 앞(아래)이 되게 발등을 포개어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갓을 썼을 양는 양 태)가 손등에 닿도록 조아린다(이때 엉덩이가 들리면 안된다)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뗀다.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운다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 오른쪽 무릎 위에 얹는다.
오른쪽 무?
.자동차 기차 버스 등을 탈 때는 일반적으로 여성이 먼저 타고 (승용차 제외)
내릴 때는 남성이 먼저 내려 필요하면 여성의 손을 잡아준다 이는 옛날 마차시대부터 내려 오는 서양의 에티켓이다.
.계단을 오를 때는 남자가 앞서고 내려올 때는 여성이 앞서도록 한다
.여성이 자동차를 탈 때는 자동차의 상석인 조수석 뒷자리에 앉도록 배려한다.
.겨울철에 여성이 외투를 입고 벗을 때 꼭 도와준다.
.식당이나 극장에서 외투를 벗어 맡길 때나 찾을 때도 남성이 맡기고 찾는다.
*“레이디 퍼스트 대접을 받으면?
미소를 짓고 땡큐 하면서 가볍에 묵례를 하고 부담없이 호의를 받는 것이 옳고 자연스럽다
“여성존중의 실천적 사례”.
.유교에 바탕을둔 가족 가치 중시
.여성 인력 활용의 필요성 인식
.여성 친화적 기업 환경 조성(기업내 성희롱의 엄격한 처 벌 / 유축실과 모성 보호실,여성 상담소, 보육시설 운영)
“전 HP 회장 칼리피오리나의 사례
.가장 영향력 있는 미국 여성 기업인 50인에서 6년 연속 1위 차지
.사람의 가치는 직위나 직책이 아니라 됨됨이와 본인이 어떻게 쓰느냐 에 따라 결정된다.
.사랑받는 것보다 존중받는게 더 중요하다.
.자신의 영혼을 지켜야 한다.
적극적 의미의 여성 존중은 여성 자신의 의지와 노력이 필요
3주 1차
우리의 전통예절
*세계화와 우리것
우리것은 소중한 것이여
박동진-우리것은 좋은 것이여
*우리 것을 이야기 하면
60년대에는
고루하다
진취성이 없다
골동품으로 틀어박혀 있어야할
바깥세상을 모르는 무식한 사람
지금은
해외에서의 한국산 브랜드의 기술력 인정
한류열풍
*코스모폴리탄과 국제화
국가를 초월한 시야가 넓은 사고와 외국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지닌 앞서가는 사람으로 인식
60년대- 코스모폴리탄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국제적인 것이다 -국제화
무한경쟁시대-세계화
*선진국의 경우
선진국은 자기문화를 보존하고 남의 무형 유형의 문화도 수용
군사 경제 저보 산업 과학기술 지적소유권 등도 선정
무한경쟁은 허약한 어린아이와 건강하고 힘센 어른이 싸우는 것과 마찬가지다
*세계화 시대에 우리의 할 일
줏대를 세우고 중심을 잡아 나가는 일
우리 것 + 남의 것
우리 것을 알아 그것이 기본이 되고 남의 것을
잘 이해 소화하여 우리 것과 남의 것이 하나가 되어야 함
*우리나라는 예절의 나라
동방예의지국: 공자의 7대손 공빈이 동이열전에서 언급
우리의 예절은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
중국 송나라 학자 주자 가례를 받아들였지만 우리 문화와 다른 것은 수용하지 않음
*주자가례와 우리 가례의 차이
혼례의 경우
주자가례 : 남자 집에서 여자를 데려와 예식을 올리고 부부가 된다
우리 가례: 여자 집에서 예식을 올리고 부부가 되며 남자가 장가간다 한다
* 우리 예절의 역사적 변천
우리 문화유산의 소실( 서기 668년 고구려 멸망시 당나라 장군 이세훈에 의해 소각)
중국문화의 유입
오교: 부의父義, 모의母儀, 자의子義, 형의兄義, 제의弟義
오륜: 군신유의(君臣有義)
부자유친(父子有親)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
586년 신라 진평왕 8년 예절을 관장하는 예부를 둠
혼인윤리: 1147년 5촌까지의 근친혼 금함
1308년 성이 다르더라도 4촌 이내면 혼인 금지
조선조에 들어와 동성동본 혼인 금지
1475년 조선성종 6년 나라의 예절을 정하는 국조 오례의를 펴냄
*예학의 종장 사계 김장생 선생
상례비요, 가례즙람
기본예절의 응용방법을 다룬 사례편람
우리 현실과 풍속에 맞도록 우리 예절을 고유문화로 규정
*갑오경장 전후
가정의례의 절차만 간추린 사례편람 간행
1894년 갑오경장: 신분제도 철폐
의상의 변화:도포
* 1910년 이후
1910년 국권상실과 일본의 생활문화 침투
1945년 해방이후 서구 문화 범람으로 미풍양속의 예절 흔들림
1950년 한국전쟁
*예절이란?
관행성, 사회계약적, 생활 규범
의사소통의 수단
공자:예와 인은 모두 사람 사이에서 일어나는 하나의 감정표현
예의 기본은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행동
3주2차
*절 예절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인사법으로 상대방에 대한 공경을 나타내 보이는 기본적인 동작
큰 절과 평절 반절이 있으며 남자와 여자가 절을 하는 방법이 다름
몸을 상대적으로 낮추는 수직형 인사
절이라는 말 자체가 몸을 낮추기 위해 발을 절다에서 비롯됨
*공수
우리나라 사람의 공손한 자세에서의 손의 모습
두손을 앞으로 모아 맞잡는 것
의식행사에 참석하거나 전통배례를 할 때 또는 어른 앞에서 공손한 자세를 취할 때 공수한다
남자와 여자가 다르고 평상시와 흉사시가 다름
*공수의 기본동작
두손의 손가락을 가지런히 붙여서 편 다음. 앞으로 모아 위로 가는 손바닥으로 아래 손의 등을 덮어서 포개 잡으며 두 엄지 손가락은 깍지 끼듯이 교차 시킨다.
소매가 좁은 평상복을 입었을 때는 공수한 손의 엄지가 배꼽부위에 닿도록 자연스럽기 앞으로 내린다.
공수하고 않을 때의 공수한 손의 위치는 남자는 두 다리의 중앙에 얹고 여자는 오른 쪽 다리의에 세운 무릎위에 얹는다
*평상시 및 흉사시 공수법
남자
여자
평상시 공수
왼손이 위로 가게
오른손이 위로 가게
흉사시 공수
오른손이 위로 가게
왼손이 위로 가게
*남좌여우
평상시 공수 (남자:왼손, 여자:오른손)
남녀가 나란히 서서 절할 때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 쪽에 섬
음양오행에 따라 남자는 하늘, 여자는 땅
*예절 방향
자연방향: 동서남북
예절방향: 상석을 북쪽으로 간주(임금님, 결혼 주례 등)
상석의 좌가 동, 우가 서
상석의 앞이 남, 뒤가 북
따라서 예절의 좌우란 상석 어른의 좌우 이다
*남자의 전통 배례
기본동작
공수한 자세로 선다
허리를 굽혀 공수한 손으로 바닥을 짚는다 (손을 벌리지 않는다)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오른쪽 무릎을 왼쪽과 가지런히 꿇는다
왼발이 앞(아래)이 되게 발등을 포개어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갓을 썼을 양는 양 태)가 손등에 닿도록 조아린다(이때 엉덩이가 들리면 안된다)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뗀다.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운다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 오른쪽 무릎 위에 얹는다.
오른쪽 무?
키워드
추천자료
[졸업논문]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IT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
경영권 방어 제도의 외국 사례와 시사점
산업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정책참여자들의 역할분석
전자금융시스템의 개혁 및 은행과 기업간 관계정립을 위한 과제
국내외 기업의 CEO(최고경영자) 양성사례 및 성공요인
한국정부의 규제완화전략을 제시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라
LG전자의 중국시장 진출 성공사례 (소싱전략)
GE(General Electric Company)
맥도날드 최종본
현대자동차의 미국시장 진출전략 및 마케팅 전략 분석
나이키(Nike)의 기업경영
[조직] 리더십과 조직관리 (21세기 패러다임 변화와 도전, 리더십의 필수요소, 성공적인 조직...
ABB의 인적자원관리,ABB의 조직구조 인적자원관리,ABB의 매트릭스 글로벌 조직 구조,ABB의 ...
소개글